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52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학교 공간 변화의 요소들과 사례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학교 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
전후 도시 재건과 인구 밀집,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의 재생, 재건축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한편 학생수가 급감한 학교에서는 빈교실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
학교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교육모델,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지식전달식 주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융합교육(STEM / STEAM), 제작교육으로 교육모델의 변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걸맞는 교육환경과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용도 교육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다양한 놀이와 신체 활동 유도)
- 아동의 신체 활동과 놀이활동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건물과 운동장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학습환경과 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
- 안전, 내진, 에너지효율 외에도 채광, 환기, 온도, 소음 등 학습환경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교 공간, 특히 교실 디자인의 변화는 학습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역중심 복합화)
- 지역사회와 학교의 소통과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공간 요구를 수용할 필요 증대.
(청소년기의 생활공간화)
-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습공간이자 하루의 대다수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학습
외에도 소통, 친교, 휴식, 놀이, 문화 사회 활동 등 아동, 청소년기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성
학교공간 변화의 7가지 주제
1. 풍부한 활동 공간 마련
- 전문 활동, 활동 다양성, 새로운 활동, 변하지 않는 활동,
- 고기능화 (전문 랩, 제작자 스튜디오, 특활실, 교과센터(클러스터))
- 다양한 활동에 적합한 학교 가구, 학습 가구
2. 쾌적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
- 안락함, 여유, 쾌적한, 편리한 학교 생활 환경 제공
3. 개개인의 차이 수용
- 개성, 맞춤형, 무장애, 통합 디자인
4. 신체활동 촉진
- 놀이, 운동, 식사, 먹거리 교육, 생활 습관, 건강 증진, 유지
5. 지역 사회와 제휴
- 지역축소, 압축도시에 의한 통폐합에 대응, 지역적 연계, 개방, 역사·문화의 계승, 시설복합화
6. 안전 안심
- 내진, 방범, 방재, 피난
7. 정보공유와 접근성 개선
- ICT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국제화
* 건학의 정신을 반영한 특색있는 학교 디자인
* 학교 통폐합에 따른 초, 중, 고 공유공간, 고기능공간
학교 교육 시스템의 변화 1
학교 교육 시스템의 변화 2
학교의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
Dr Kenn Fisher. Director, Learning Futures. Rubida Research Pty Ltd
Linking Pedagogy and space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운동장의 변화
학교운동장의 변화들
학교 운동장재구조화의 기본 문제 의식
- 학교운동장 사용의 불균형
학교운동장 접근과 사용, 공간과 활동자원의 제공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학교
운동장에서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2.5배 더 많은 공간을 장악한다. 기존 학교
운동장의 배치와 전통적 구조는 남성성 중심의 운동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성차별로 이어진다. 축구나 구기 외 다른 취향이나 요구를 가진 상당수 학생들이나 여학생
들, 어린 학생들의 참여를 제한한다.
- 야외 학습공간이자 놀이공간인 학교운동장
운동장을 보다 포괄적이고 경험적인 교육과 활동이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학교 운동장의 변화는 단지 놀이시설의 확충이나 개선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안전 공간, 학교운동장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와 요소, 기타 (공간, 시설) 자원을
변화시켜 실제로 안전한 활동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페인 엥겔 나바로 빈센트(Ángel Navarro Vicente)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에 대한 2018년 9월 아라곤 주정부가
개최한 교육혁신 국제회의에서 발표. 엥겔 나바로는 스페인 북동부 아라곤 지역 사라고사에서 “Sport : Fun and
Enjoyment”라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주 정부로부터 1등 학교 상을 수상했다.
- 아동 체력 및 피지컬 리터러시 저하.
인터넷, 모바일 게임에 학생들이 몰두하는 경향이 있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자극하기에
지루하고 충분치 않은 학교운동장 때문에 동서양을 물분하고 많은 국가에서 아동들의
비만율이 증가하고, 체력이 저하했다. 또한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즉 신체적
조절능력과 지형지물에 대한 파악, 대응 능력 등 다양한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었다.
학교 운동장재구조화의 키워드
- 운동장을 야외 학습장화
(미술, 음악, 제작, 체육, 과학(관찰), 독서 공간화)
- 다용도 공간 구획을 통해 다양한 활동 포괄
(축구장, 놀이터, 텃밭, 정원, 휴식 공간, 사교 공간, 심지어 야외 주방까지)
- 평면 조성이 아닌 입체 지형화
- 비와 햇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이나 차양 확충
- 학교 뒷 공간이나 구석 공간 활용
- 운동장을 탐색과 인지 환경으로 조성
-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운동장 바닥과 시설을 조성
(다양한 인지 기회 제공)
- 다양한 운동장 가구의 설치
(야외 학습, 다양한 활동, 휴식을 위해)
- 보다 다양한 놀이시설 보강
- 타원형 육상 트랙과 축구장 축소
(-> 펜스 소형 다용도 구기장으로)
독일 카타리나 하인로트 초등학교의 생태통합운동장
독일에서도 최근 학교 운동장을 텃밭, 정원, 야외 학습장, 운동장, 놀이터, 휴식 공간, 산책로를 통합한
생태통합운동장으로 바꾸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카타리나 하인로트 그룬트슐레(katharina-heinroth grundschule)는
2016년 학교 운동장을 새롭게 바꾸었다. 학교 운동장은 야외 학습공간이자 휴식과 소통, 놀이의 장소가 되었다.
덴마크 아마 필르 학교
학교 운동장을 마을의 중심으로
덴마크 토룹의 학교운동장 마을 놀이터, 학교운동장을 다용도 놀이공간이자 마을의 중심공간으로
변화시킨 프로젝트이다. 개방된 학교 운동장에 울타리를 치고, 곳곳에 개방할 수 있는 문을 설치, 그리고
마을 건물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놀이시설과 야외 교육공간을 배치, 운동장 지면 역시 부드러운 바닥
부분을 구성. Mutopia가 진행하는 학교를 마을공동체의 중심공간으로 변화시키는 프로젝트 중 하나.
2015년 단체 지원과 클라우드 펀딩으로 기금 마련
Guldberg Skole 운동장 개편- 학교 운동장에서 놀이시설의 비중을 크게 높임.
워싱턴 Oak Park Irving 초등학교 운동장 개편 디자인
덴마크 라이징학교(Risingskolen)의 다이아몬드
운동장의 강렬한 색상으로 디자인된 건축적 구조물과 색상이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과 놀이를 자극한다.
덴마크 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 운동장
덴마크의 학교 운동장 혁신 사례들을 보면 그들은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구획을 나누고 있다. 대부분
바닥 도색, 바닥 포장, 때로는 높고 낮은 턱 또는 펜스 등을 이용해서 운동장 구획을 나눈다. 학교 건물의 뒷마당도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좀 더 밝고 역동적인 활동 공간으로 바꾼다. 각 구획은 상이한 놀이, 휴식, 그 밖의 야외 활동을
유도한다. 또 다른 변화는 운동장에 야외 라운지처럼 쉴 수 있는 그늘과 앉을 자리들을 충분히 만들어 만남과 소통의
장소로 만든다는 점이다. 덴마크 2)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는 입체적으로 학교 운동장을 조성하고,
활동에 따라 구획을 나누고, 자연적 요소들과 정적인 활동을 수용했다.
덴마크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 캠페인 ‘학교 운동장의 드론’ Drøn på skolegården
2010~2016년간 진행한 프로젝트. 2013년 106개 학교의 아이디어를 검토한 후 17개 학교 운동장 개선 지원
이후에도 계속 진행 * 아래 사진 코펜하겐의 Vanløse 학교와 Hyltebjerg 학교 사이 (학교
운동장 밖 도로를 커뮤니티 놀이터로 변신시킨 사례) 을 개방하여 연결한 사례)
뉴욕 로우어 학교 운동장 놀이터 조성안
칠레 렝카의 유치원 - Jardín Infantil Cumbre Monte Everest
큰 나무 중심으로 조성되나 인공 원형 둔덕과 데크, 놀이터널이 조합된 유치원의 운동장
칠레 렝카구아의 학교 Colegio Ayelén
비영리재단인 Patio Vivo의 지원으로 학교 중앙 원형 중정 내부의 운동장, 벽돌 언덕, 벽돌 계단, 벽돌 경사면,
우드칩 바닥, 직각 정글짐으로 축구장을 대체 - 프리츠커상 수상자 알레한드로 아라베나가 설계
“학교에는 교사가 셋이다. 첫번째는 교사, 두번째는 친구, 세번째는 공간이다. 다양한 요소가 조화롭게
배열된 공간은 학생들에게 공간적, 신체적, 감각적, 자연적 경험과 다양한 활동의 동기를 제공한다.”
칠레의 학교 Colegio San Esteban Mártir Barnechea
벽돌로 쌓아 만든 대형 모래 놀이터와 등반 경사 놀이터가 합쳐져 있다.
이란 Bastam 시의 Noor Mobin School
이 학교의 설계자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과거의 학교 경험과 달리, 그늘진 곳과 밝은 곳, 돌출된 곳과 함몰된 곳, 좁은 골목과 넓은
광장을 조합해서 장소 감각과 독특한 공간의 독립성과 같은 개념과 결합 될 수 있는 교육공간을 조성했다.
노르웨이 도시 작은 학교인 스토어하우그의 학교운동장 변화 사례
운동장 가구들 – 다용도 블럭
런던 사우스홀의 빌리어스 고등학교(Villiers High School in Southall, London)는 1300명의
학생 수에 비해 마음껏 뛰어 놀거나 밖으로 나가 즐길 외부공간이 부족했다. 학교 운동장과 외부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종종 학생들 사이에 자리 다툼이 일어났다. 게다가 일반적인 학교
놀이시설들은 막상 고등학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학교 운동장 개선을 담당한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출신 디자이너 클라라 가거로(Clara Gaggero)는 학생들과
함께 콘크리트 우수관 같은 블럭 구조물을 운동장 곳곳에 쌓아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
구조물은 우선 쉴 수 있는 쉼터이자 등반놀이기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공간이나
영역을 갖고 싶은 아이들의 잠재적 욕망을 만족시켰다. 이 단순하지만 튼튼한 사각 블럭
구조물들을 곳곳에 분산 배치했기 때문에 학생들은 서로 방해 받지 않고 자신만의 놀이나 공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이 블럭을 칠할 수 있게 하거나, 그래피티를 그릴 수 있게
허락했다. 블럭 디자인 작업에 참여한 학생 그룹들은 각각 자신들이 디자인 작업에 관여한 블럭에
대해 주인의식과 자부심을 갖고 관리하기 시작했다.
덴마크의 Skørping 학교 운동장 - 운동장 가구의 필요성
스케이트장, 원형극장, 순환 나무 데크, 나무 오두막, 멀티 트랙, 농구장, 다용도 구기장, 등반 그물 외 고연령
여학생들을 위해 노천 카페같은 원형 파라솔 테이블을 운동장에 설치 (이 학교 운동장은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없게 차단하고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게 유도)
불라 불라
학교에는 교실과 운동장 외에도 다양한 휴식 공간 또는 생활 공간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이기도 하다.
데크와 조경, 야외 학습공간을 결합
덴마크 콩스 링비(Kongens Lyngby) 학교 운동장의 다용도 구기장
축구장은 주로 고학년 남학생들이 점거해버리고 저학년 특히 여학생들을 외곽으로 밀어낸다. 축구장이나
농구장 같은 구기장을 규격보다 작게 만들거나, 차벽을 세우고, 운동장 한편으로 몰아두거나, 축구장, 농구장을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다양한 구기 종목이 가능한 다용도 구기장을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나의 큰 축구장 보다는 작은 펜스 축구장 여러 곳이 필요하다.
펜스 축구장을 도입해서 공간 확보
학교 뒷 공간의 활용
학교 뒷 공간의 활용
학교 뒷 공간의 활용- 굴곡 지면으로 활동 자극
학교 뒷 공간의 활용- 조경, 휴식, 놀이 공간화
학교 뒷 공간의 활용- 휴식, 소무대, 놀이공간화
–학교 구석공간 놀이공간화 도약 놀이
京都市立朱雀第四小学校녹색 중정
도서관의 변화
멕시코 Monterrey Conarte Library – 어린이 도서관
산업단지 산업시설을 개조한 Fundidora 공원 내 문화시설 중 하나. 산과 계곡을 모사한 서가와 독서 공간
덴마크 빌룰(Billund) 어린이 도서관
놀이터와 책은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북유럽의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도서관과 놀이터 실내외에서 통합하고 있다.
학습지원성, 거주성을 개선한 도서관
우리는 어떤 자세로 책을 읽을까?
도서관 종합 미디어센터로의 변신
무사시노(武蔵野) 대학 중학교 · 고등학교 도서관
칠판벽, 인조잔디, 다용도 칠판, 독서 탁자, 서가, 이동 좌석, 안락 소파나 의자
종합학습미디어 센터로서 도서관
도서 외 각종 디지털 미디어 자료 접근, 토론, 학습이 가능한 공간
케에센(恵泉) 여학원 중고등학교 미디어 센터
약 90,000 권 (개가식 7 만권)의 장서와 신문, 잡지뿐만 아니라 학습실과 컴퓨터 실이 각 2 실, 방송실, 학원 사료실, 학습실을
포함한 좌석 수는 220 석 이상. 영화, 음악감상, 독서, 조사, 자습, 토론 학습도 가능. 급변하는 사회를 사는 학생들이 과제를
찾아 내고 질문을 하고, 정보를 찾고, 그것을 바탕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생각을 발신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학습 지원
복도의 변화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적인 공간, 숨겨진 공간 등 소규모 공간 제공은 학교 공간 변화의 주요한 요소다.
이러한 공간은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소통과 교류를 촉진한다.
학교의 교실 밖 공간은 학습, 생활, 소통, 놀이의 공간이 된다. 학교가구의 섬세한 선택과 배치가 중요하다.
복도를 사물함, 가방
보관 등 수납공간으로
활용
편복도 교실이 편안하고 즐거운 리듬이 있는 공간으로
베를린의 에리카 만(Erika-Mann) 초등학교는 1915년 권위주의적인 교육 문화가 그대로 반영된 일련의 편복도
교실형 학교로 건축되었다. 최근 이 옛 학교는 성공적으로 편복도 교실을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겁고
리듬 있는 학습-생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대형 거울이 있는 복도와 다양한 용도의 공동 공간, 놀이 공간은 기존
교실을 터서 조성했다. 편복도 교실 형태가 많은 우리의 학교에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참조할만한 사례.
복도에 유리 부착
아츠 노조미 유치원(厚木のぞみ幼稚園) 복도 놀이터
불라
불라
불라
불라
다양한 복도 포켓 공간들
큐슈 문화소학교 복도 리모델링 - 복도의 서가-전시공간화
외부 연결 공간
야외 활동의 촉진 – 외부로 개방되고 연결된 교실들
‘스마트폰 좀비’, ‘비만’, ‘신체활동 문맹’이 문제가 되고, 이에 대한
이동언어(Moving Vocabulary), 신체활동 리터러시(Physical Lit
향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
조성되는 학교의 교실을 야외로 직접 개방하고 연결하는 추세다.
네델란드 흐로닝언의 초등학교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学小学校)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폐교가 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駅 保田小学校)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우리의 학교들도 이렇게 외부 복도 공간을 만들 수는 없을까?
지역거점이 된 와키(和木)초등학교의 외부 차양 데크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정
国立音楽大学 附属小学校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学校)
중정 공간
학교의 가족들을 위한 중정 →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
중정 아트리움 -
사각 지대없는 ‘큰 집’
西南学院小学校는 규슈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학교 법인인 西南学院이 초등학교를
신설하며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보통 교실, 예배당, 체육관,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을 중정
아트리움의 순환동선에 배치했다. 또한
층고를 낮게 하되, 열린 공간을 층마다 다시
두어 안정감과 개방감의 균형을 만들고,
공간적으로 상하 층의 교류를 촉진시켰다.
아트리움 중앙의 큰 계단은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합창, 공연, 념 촬영, 발표
등 다양한 행사가 벌어진다.
홋카이도 삿포로서고등학교(北海道札幌西高等学校)
아트리움의 상승기류에 의한 환기흐름
계단의 변화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
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중정 공간에 마련한 대형 광폭 다용도 계단
계단 밑 암석 등반 놀이 공간
소규모 학습 계단
야외 계단 교실
St Mels primary school
제작자 공방
학교에서 제작자교육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핀란드 로바니에미 오오나스린뗀(Ounasrinteen) 초등중학교의 다양한 유형의 공작실습실 (요리,목공,재봉,기계,전자제작 등).
학교들에서 제작공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보편 공작교실에서 세분화된 전문 제작공방으로 분리하여 조성한다. 또한 습식공간,
화재예방 작업, 분진 소음 작업 공간 등 공간 특성에 따라서도 나눠지며, 전문 장비의 종류에 따라서도 공간을 분리한다.
* 작업 공간, 제작 설비 공간, 설계 공간(CAD), 공구와 재료 보관, 참조 자료 (책, 인터넷) 비치 공간 통합 경향
음악실
음악실 악기 수납합
독일 외국인 학교
악기 보관함.
가변 무대, 이동식 의자
독일 외국인 학교
독일 외국인 학교
연습, 공연, 학습을 위한 가변성
교실 공간의 변화
교탁 위치의 변경
Kings School
북미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열린교실운동'이 일어났다. 모든 교육활동은 어느
곳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학교건축의 변화를 시도했다. 학교 건물 중앙에 학습센터 ·
자료센터 ·활동센터 또는 학습 공유지역을 만들어 어린이의 자주 학습활동을 기대했다. 또한 각 교실은
한국 교실의 3 4∼ 배 크기로 학습활동 전개에 따라 칸막이 ·책장 등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구분하고,
어린이들의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개방했다. 출입문이나 벽을 없앴다. 아이들은 언제든지, 어느
곳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이때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에 융단을 깐다. 각 교실에는
수학코너 ·자연코너, 읽기와 쓰기 코너 등의 학습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어린이는 각자의 흥미에
맞는 코너에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었다.
1996년 한국에서도 열린학교(Open School)라는 학교개방 정책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유학습공간이 조성된 학교들도 지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열린교실운동'은 대개 실패했다. 모든 공간이
다양한 모든 교육에 적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학교현장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도 컸다.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지도할 역량도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듯 하고, 개방된 다목적의
공유학습공간에서 지도방식이나 교육내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했거나 적응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이유인 듯 하다.
2010년대 부터 다시 '열린교실운동'이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과거와 조금은
차이가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인터넷 보급,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제작자운동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 STEM( STEAM)이라는 융합교육 열풍, 일방적 지식주입형 집체적 주지주의 교육에서 소규모
맞춤형 구성주의 교육으로 변화에 대한 필요등 이에 걸맞는 교실공간의 변화 요구가 커졌다. 인터넷, AI를
활용한 정보검색, 지식습득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교사의 역할도 지식의 권위적 전달자에서 학습
조력자이나 코디네이터로 바뀔 것을 요구받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다목적 공간의 조성이 다시 학교건축에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열린교실운동과 21C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横浜市小中学校)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교실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요코하마시의 쿠라타 초등학교는 빈교실을 일본 민가풍으로 리모델링했고, 요시다 중학교는 특별교실을 다목적
교실로 만들고, 모든 교과에 대해 전용 교실을 마련했다.
하카타 초등학교(博多小学校)
츠쿠바(つくば) 초등학교
베를린 에리카 만 초등학교 빈 교실을 놀이, 휴식, 교류 공간으로
빈 교실을 수납 및 휴식 공간으로
빈 교실을 놀이공간으로
탐색의 공간, 추억의 장소- 암스테르담의 스콜렉스터(Scholekster) 몬테소리 학교
스콜렉스터 몬테소리 학교 중앙 입구 홀에는 옷장, 스탠드, 교실, 무대, 침묵의 장소, 대화 장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중장소로 활용되는 여유교실인 학습 상자가 있다. 학교 건물 내에 다락방 같은 높은 공간은 아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자극한다.
교실 수납함 및 다락방 공간
St Mels primary school
Sun Room 자율 공간
Caulfield Grammar School
문 없는 칸막이 교실만 있는 학교
Marshland School
창턱 공간
Marshland School
빈 교실 간이 침대
국내 교실 공간 변화 – 서울시 꿈담교실사업 사례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줄고 있는 곳의 경우 새로운 공간을 새로 만들기 보다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교건물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두 개 이상의 교실을 터서 통합학습공간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교실벽을 없애고 놀이시설, 휴게와 소통공간을 만든 사례가 있다. 학생 인원수가 줄어든 점을 감안해서 교실
뒤에 별도 특이공간을 만든 사례도 있다. 또는 기존 교실에 내부 상자공간을 만들거나 다용도-가변 교실 가구를
활용한다.
본래 열린교실이 적용된 대형 복도 공간을
활용하여 차분한 무대공간을 만든 사례
(면동초등학교)
접이식 창문, 독서대, 작은 다락방으로 교체한 사례
(서울 동답초 1학년 교실)
인원이 적은 교실 뒷편에 전이공간을 만듦
교실 속의 또 다른 작은 공간 구현
(상월초등학교).
가변적인 교실 좌석, 교실가구의 개선
(송정 초등학교).
서울 면동초등학교 – 실내 놀이터
학습 스튜디오
(Active Learning Class)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과거의 열린학교 모델)
- 다양한 학습을 위한 큰 개방된 공간
- 강당, 도서관 등 기존 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 -
유연성을 갖는 가변적 공간
- 임시 수업이나 소규모 맞춤형 수업에 적합한
교실가구(이동가변형 의자, 책상 등)
(21C 학습 스튜디오의 차이점)
-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과 미디어 이용 지원
- 설비 비치, 제작활동이 가능한 제작자공방
(이곳은 일반적인 다목적교육실과 다르다.)
- 상이한 학습 범주에 따라 의도적으로 설계된
여러 유형의 전용 공유학습공간 조성
* Intrinsic School, Chicago
* Intrinsic School, Chicago
Kenny Stanfield, AIA, LEED AP. Sherman Carter Barnhart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21 세기 학습 스튜디오에서는 학습실, STEM 실험실, 세미나 실습실 및 공동협업학습공간(commons)라는
4 개의 주요 학습공간과 부대 공간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분할된 학습공간은 읽기, 쓰기
및 산술이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 소통 및 협업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된다.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matics)은 빠르게 변하는 기술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융합학습이다. STEM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 필요와 요구, 조별 작업, 조별 논의, 등에
적합하게 유연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학습공간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때 인터넷 정보검색, 발표 공간, 강의
공간, 팀 작업 공간, 휴식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단 이때 시각적으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한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한국-미래학교 실험 운영 모델
교실 가구와 다양한 좌석 배치가 중요해진다.

Contenu connexe

Tendances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Seongwon Kim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Seongwon Kim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Seongwon Kim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Seongwon Kim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Seongwon Kim
 

Tendances (20)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Similaire à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Seongwon Kim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진 이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다운 이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Heekyung12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cbs15min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Henry Sung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makered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Seongwon Kim
 

Similaire à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14)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쌓기 놀이
쌓기 놀이쌓기 놀이
쌓기 놀이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
Youth Makerspace Playbook(Korean)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
유스메이커스페이스플레이북 한글번역본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Plus de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Seongwon Kim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Seongwon Kim
 

Plus de Seongwon Kim (13)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 1. 학교 공간 변화의 요소들과 사례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 2. 학교 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 전후 도시 재건과 인구 밀집,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의 재생, 재건축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한편 학생수가 급감한 학교에서는 빈교실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 학교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교육모델,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지식전달식 주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융합교육(STEM / STEAM), 제작교육으로 교육모델의 변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걸맞는 교육환경과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용도 교육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다양한 놀이와 신체 활동 유도) - 아동의 신체 활동과 놀이활동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건물과 운동장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학습환경과 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 - 안전, 내진, 에너지효율 외에도 채광, 환기, 온도, 소음 등 학습환경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교 공간, 특히 교실 디자인의 변화는 학습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역중심 복합화) - 지역사회와 학교의 소통과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공간 요구를 수용할 필요 증대. (청소년기의 생활공간화) -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습공간이자 하루의 대다수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학습 외에도 소통, 친교, 휴식, 놀이, 문화 사회 활동 등 아동, 청소년기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성
  • 3. 학교공간 변화의 7가지 주제 1. 풍부한 활동 공간 마련 - 전문 활동, 활동 다양성, 새로운 활동, 변하지 않는 활동, - 고기능화 (전문 랩, 제작자 스튜디오, 특활실, 교과센터(클러스터)) - 다양한 활동에 적합한 학교 가구, 학습 가구 2. 쾌적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 - 안락함, 여유, 쾌적한, 편리한 학교 생활 환경 제공 3. 개개인의 차이 수용 - 개성, 맞춤형, 무장애, 통합 디자인 4. 신체활동 촉진 - 놀이, 운동, 식사, 먹거리 교육, 생활 습관, 건강 증진, 유지 5. 지역 사회와 제휴 - 지역축소, 압축도시에 의한 통폐합에 대응, 지역적 연계, 개방, 역사·문화의 계승, 시설복합화 6. 안전 안심 - 내진, 방범, 방재, 피난 7. 정보공유와 접근성 개선 - ICT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국제화 * 건학의 정신을 반영한 특색있는 학교 디자인 * 학교 통폐합에 따른 초, 중, 고 공유공간, 고기능공간
  • 6. 학교의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 Dr Kenn Fisher. Director, Learning Futures. Rubida Research Pty Ltd Linking Pedagogy and space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 9. 학교 운동장재구조화의 기본 문제 의식 - 학교운동장 사용의 불균형 학교운동장 접근과 사용, 공간과 활동자원의 제공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학교 운동장에서 남자 아이들이 여자 아이들보다 2.5배 더 많은 공간을 장악한다. 기존 학교 운동장의 배치와 전통적 구조는 남성성 중심의 운동과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국 성차별로 이어진다. 축구나 구기 외 다른 취향이나 요구를 가진 상당수 학생들이나 여학생 들, 어린 학생들의 참여를 제한한다. - 야외 학습공간이자 놀이공간인 학교운동장 운동장을 보다 포괄적이고 경험적인 교육과 활동이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학교 운동장의 변화는 단지 놀이시설의 확충이나 개선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안전 공간, 학교운동장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와 요소, 기타 (공간, 시설) 자원을 변화시켜 실제로 안전한 활동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페인 엥겔 나바로 빈센트(Ángel Navarro Vicente)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에 대한 2018년 9월 아라곤 주정부가 개최한 교육혁신 국제회의에서 발표. 엥겔 나바로는 스페인 북동부 아라곤 지역 사라고사에서 “Sport : Fun and Enjoyment”라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주 정부로부터 1등 학교 상을 수상했다. - 아동 체력 및 피지컬 리터러시 저하. 인터넷, 모바일 게임에 학생들이 몰두하는 경향이 있고, 학생들의 신체적 활동을 자극하기에 지루하고 충분치 않은 학교운동장 때문에 동서양을 물분하고 많은 국가에서 아동들의 비만율이 증가하고, 체력이 저하했다. 또한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즉 신체적 조절능력과 지형지물에 대한 파악, 대응 능력 등 다양한 신체적 능력이 저하되었다.
  • 10. 학교 운동장재구조화의 키워드 - 운동장을 야외 학습장화 (미술, 음악, 제작, 체육, 과학(관찰), 독서 공간화) - 다용도 공간 구획을 통해 다양한 활동 포괄 (축구장, 놀이터, 텃밭, 정원, 휴식 공간, 사교 공간, 심지어 야외 주방까지) - 평면 조성이 아닌 입체 지형화 - 비와 햇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이나 차양 확충 - 학교 뒷 공간이나 구석 공간 활용 - 운동장을 탐색과 인지 환경으로 조성 -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운동장 바닥과 시설을 조성 (다양한 인지 기회 제공) - 다양한 운동장 가구의 설치 (야외 학습, 다양한 활동, 휴식을 위해) - 보다 다양한 놀이시설 보강 - 타원형 육상 트랙과 축구장 축소 (-> 펜스 소형 다용도 구기장으로)
  • 11. 독일 카타리나 하인로트 초등학교의 생태통합운동장 독일에서도 최근 학교 운동장을 텃밭, 정원, 야외 학습장, 운동장, 놀이터, 휴식 공간, 산책로를 통합한 생태통합운동장으로 바꾸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카타리나 하인로트 그룬트슐레(katharina-heinroth grundschule)는 2016년 학교 운동장을 새롭게 바꾸었다. 학교 운동장은 야외 학습공간이자 휴식과 소통, 놀이의 장소가 되었다.
  • 13. 학교 운동장을 마을의 중심으로 덴마크 토룹의 학교운동장 마을 놀이터, 학교운동장을 다용도 놀이공간이자 마을의 중심공간으로 변화시킨 프로젝트이다. 개방된 학교 운동장에 울타리를 치고, 곳곳에 개방할 수 있는 문을 설치, 그리고 마을 건물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놀이시설과 야외 교육공간을 배치, 운동장 지면 역시 부드러운 바닥 부분을 구성. Mutopia가 진행하는 학교를 마을공동체의 중심공간으로 변화시키는 프로젝트 중 하나. 2015년 단체 지원과 클라우드 펀딩으로 기금 마련
  • 14.
  • 15. Guldberg Skole 운동장 개편- 학교 운동장에서 놀이시설의 비중을 크게 높임.
  • 16.
  • 17.
  • 18.
  • 19. 워싱턴 Oak Park Irving 초등학교 운동장 개편 디자인
  • 20.
  • 21. 덴마크 라이징학교(Risingskolen)의 다이아몬드 운동장의 강렬한 색상으로 디자인된 건축적 구조물과 색상이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과 놀이를 자극한다.
  • 22. 덴마크 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 운동장 덴마크의 학교 운동장 혁신 사례들을 보면 그들은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구획을 나누고 있다. 대부분 바닥 도색, 바닥 포장, 때로는 높고 낮은 턱 또는 펜스 등을 이용해서 운동장 구획을 나눈다. 학교 건물의 뒷마당도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좀 더 밝고 역동적인 활동 공간으로 바꾼다. 각 구획은 상이한 놀이, 휴식, 그 밖의 야외 활동을 유도한다. 또 다른 변화는 운동장에 야외 라운지처럼 쉴 수 있는 그늘과 앉을 자리들을 충분히 만들어 만남과 소통의 장소로 만든다는 점이다. 덴마크 2)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는 입체적으로 학교 운동장을 조성하고, 활동에 따라 구획을 나누고, 자연적 요소들과 정적인 활동을 수용했다.
  • 23.
  • 24.
  • 25. 덴마크의 학교운동장 재구조화 캠페인 ‘학교 운동장의 드론’ Drøn på skolegården 2010~2016년간 진행한 프로젝트. 2013년 106개 학교의 아이디어를 검토한 후 17개 학교 운동장 개선 지원 이후에도 계속 진행 * 아래 사진 코펜하겐의 Vanløse 학교와 Hyltebjerg 학교 사이 (학교 운동장 밖 도로를 커뮤니티 놀이터로 변신시킨 사례) 을 개방하여 연결한 사례)
  • 26.
  • 27. 뉴욕 로우어 학교 운동장 놀이터 조성안
  • 28.
  • 29.
  • 30.
  • 31. 칠레 렝카의 유치원 - Jardín Infantil Cumbre Monte Everest 큰 나무 중심으로 조성되나 인공 원형 둔덕과 데크, 놀이터널이 조합된 유치원의 운동장
  • 32. 칠레 렝카구아의 학교 Colegio Ayelén 비영리재단인 Patio Vivo의 지원으로 학교 중앙 원형 중정 내부의 운동장, 벽돌 언덕, 벽돌 계단, 벽돌 경사면, 우드칩 바닥, 직각 정글짐으로 축구장을 대체 - 프리츠커상 수상자 알레한드로 아라베나가 설계 “학교에는 교사가 셋이다. 첫번째는 교사, 두번째는 친구, 세번째는 공간이다. 다양한 요소가 조화롭게 배열된 공간은 학생들에게 공간적, 신체적, 감각적, 자연적 경험과 다양한 활동의 동기를 제공한다.”
  • 33.
  • 34.
  • 35. 칠레의 학교 Colegio San Esteban Mártir Barnechea 벽돌로 쌓아 만든 대형 모래 놀이터와 등반 경사 놀이터가 합쳐져 있다.
  • 36.
  • 37. 이란 Bastam 시의 Noor Mobin School 이 학교의 설계자들은 디자인 과정에서 과거의 학교 경험과 달리, 그늘진 곳과 밝은 곳, 돌출된 곳과 함몰된 곳, 좁은 골목과 넓은 광장을 조합해서 장소 감각과 독특한 공간의 독립성과 같은 개념과 결합 될 수 있는 교육공간을 조성했다.
  • 38.
  • 39.
  • 40. 노르웨이 도시 작은 학교인 스토어하우그의 학교운동장 변화 사례
  • 41. 운동장 가구들 – 다용도 블럭 런던 사우스홀의 빌리어스 고등학교(Villiers High School in Southall, London)는 1300명의 학생 수에 비해 마음껏 뛰어 놀거나 밖으로 나가 즐길 외부공간이 부족했다. 학교 운동장과 외부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종종 학생들 사이에 자리 다툼이 일어났다. 게다가 일반적인 학교 놀이시설들은 막상 고등학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학교 운동장 개선을 담당한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출신 디자이너 클라라 가거로(Clara Gaggero)는 학생들과 함께 콘크리트 우수관 같은 블럭 구조물을 운동장 곳곳에 쌓아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이 구조물은 우선 쉴 수 있는 쉼터이자 등반놀이기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공간이나 영역을 갖고 싶은 아이들의 잠재적 욕망을 만족시켰다. 이 단순하지만 튼튼한 사각 블럭 구조물들을 곳곳에 분산 배치했기 때문에 학생들은 서로 방해 받지 않고 자신만의 놀이나 공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이 블럭을 칠할 수 있게 하거나, 그래피티를 그릴 수 있게 허락했다. 블럭 디자인 작업에 참여한 학생 그룹들은 각각 자신들이 디자인 작업에 관여한 블럭에 대해 주인의식과 자부심을 갖고 관리하기 시작했다.
  • 42.
  • 43.
  • 44. 덴마크의 Skørping 학교 운동장 - 운동장 가구의 필요성 스케이트장, 원형극장, 순환 나무 데크, 나무 오두막, 멀티 트랙, 농구장, 다용도 구기장, 등반 그물 외 고연령 여학생들을 위해 노천 카페같은 원형 파라솔 테이블을 운동장에 설치 (이 학교 운동장은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없게 차단하고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게 유도)
  • 45.
  • 47.
  • 48.
  • 49.
  • 50. 학교에는 교실과 운동장 외에도 다양한 휴식 공간 또는 생활 공간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이기도 하다.
  • 51. 데크와 조경, 야외 학습공간을 결합
  • 52. 덴마크 콩스 링비(Kongens Lyngby) 학교 운동장의 다용도 구기장 축구장은 주로 고학년 남학생들이 점거해버리고 저학년 특히 여학생들을 외곽으로 밀어낸다. 축구장이나 농구장 같은 구기장을 규격보다 작게 만들거나, 차벽을 세우고, 운동장 한편으로 몰아두거나, 축구장, 농구장을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다양한 구기 종목이 가능한 다용도 구기장을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 53.
  • 54. 하나의 큰 축구장 보다는 작은 펜스 축구장 여러 곳이 필요하다.
  • 55.
  • 59. 학교 뒷 공간의 활용- 굴곡 지면으로 활동 자극
  • 60. 학교 뒷 공간의 활용- 조경, 휴식, 놀이 공간화
  • 61. 학교 뒷 공간의 활용- 휴식, 소무대, 놀이공간화
  • 63.
  • 65.
  • 67. 멕시코 Monterrey Conarte Library – 어린이 도서관 산업단지 산업시설을 개조한 Fundidora 공원 내 문화시설 중 하나. 산과 계곡을 모사한 서가와 독서 공간
  • 68.
  • 69. 덴마크 빌룰(Billund) 어린이 도서관 놀이터와 책은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북유럽의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도서관과 놀이터 실내외에서 통합하고 있다.
  • 70. 학습지원성, 거주성을 개선한 도서관 우리는 어떤 자세로 책을 읽을까?
  • 72. 무사시노(武蔵野) 대학 중학교 · 고등학교 도서관 칠판벽, 인조잔디, 다용도 칠판, 독서 탁자, 서가, 이동 좌석, 안락 소파나 의자
  • 73. 종합학습미디어 센터로서 도서관 도서 외 각종 디지털 미디어 자료 접근, 토론, 학습이 가능한 공간
  • 74. 케에센(恵泉) 여학원 중고등학교 미디어 센터 약 90,000 권 (개가식 7 만권)의 장서와 신문, 잡지뿐만 아니라 학습실과 컴퓨터 실이 각 2 실, 방송실, 학원 사료실, 학습실을 포함한 좌석 수는 220 석 이상. 영화, 음악감상, 독서, 조사, 자습, 토론 학습도 가능. 급변하는 사회를 사는 학생들이 과제를 찾아 내고 질문을 하고, 정보를 찾고, 그것을 바탕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생각을 발신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학습 지원
  • 76.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77. 개인적인 공간, 숨겨진 공간 등 소규모 공간 제공은 학교 공간 변화의 주요한 요소다. 이러한 공간은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소통과 교류를 촉진한다.
  • 78. 학교의 교실 밖 공간은 학습, 생활, 소통, 놀이의 공간이 된다. 학교가구의 섬세한 선택과 배치가 중요하다.
  • 79. 복도를 사물함, 가방 보관 등 수납공간으로 활용
  • 80. 편복도 교실이 편안하고 즐거운 리듬이 있는 공간으로 베를린의 에리카 만(Erika-Mann) 초등학교는 1915년 권위주의적인 교육 문화가 그대로 반영된 일련의 편복도 교실형 학교로 건축되었다. 최근 이 옛 학교는 성공적으로 편복도 교실을 하루 종일 사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겁고 리듬 있는 학습-생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대형 거울이 있는 복도와 다양한 용도의 공동 공간, 놀이 공간은 기존 교실을 터서 조성했다. 편복도 교실 형태가 많은 우리의 학교에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참조할만한 사례.
  • 81.
  • 89. 큐슈 문화소학교 복도 리모델링 - 복도의 서가-전시공간화
  • 91. 야외 활동의 촉진 – 외부로 개방되고 연결된 교실들 ‘스마트폰 좀비’, ‘비만’, ‘신체활동 문맹’이 문제가 되고, 이에 대한 이동언어(Moving Vocabulary), 신체활동 리터러시(Physical Lit 향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 조성되는 학교의 교실을 야외로 직접 개방하고 연결하는 추세다. 네델란드 흐로닝언의 초등학교
  • 92.
  • 94.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 95.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 96. 폐교가 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駅 保田小学校)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우리의 학교들도 이렇게 외부 복도 공간을 만들 수는 없을까?
  • 98.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정
  • 100.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学校)
  • 102. 학교의 가족들을 위한 중정 →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
  • 103.
  • 104. 중정 아트리움 - 사각 지대없는 ‘큰 집’ 西南学院小学校는 규슈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학교 법인인 西南学院이 초등학교를 신설하며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보통 교실, 예배당, 체육관,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을 중정 아트리움의 순환동선에 배치했다. 또한 층고를 낮게 하되, 열린 공간을 층마다 다시 두어 안정감과 개방감의 균형을 만들고, 공간적으로 상하 층의 교류를 촉진시켰다. 아트리움 중앙의 큰 계단은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합창, 공연, 념 촬영, 발표 등 다양한 행사가 벌어진다.
  • 105.
  • 109.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 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 110. 중정 공간에 마련한 대형 광폭 다용도 계단
  • 111. 계단 밑 암석 등반 놀이 공간
  • 113. 야외 계단 교실 St Mels primary school
  • 114.
  • 115.
  • 117. 학교에서 제작자교육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 118. 핀란드 로바니에미 오오나스린뗀(Ounasrinteen) 초등중학교의 다양한 유형의 공작실습실 (요리,목공,재봉,기계,전자제작 등). 학교들에서 제작공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보편 공작교실에서 세분화된 전문 제작공방으로 분리하여 조성한다. 또한 습식공간, 화재예방 작업, 분진 소음 작업 공간 등 공간 특성에 따라서도 나눠지며, 전문 장비의 종류에 따라서도 공간을 분리한다. * 작업 공간, 제작 설비 공간, 설계 공간(CAD), 공구와 재료 보관, 참조 자료 (책, 인터넷) 비치 공간 통합 경향
  • 119.
  • 120.
  • 122. 음악실 악기 수납합 독일 외국인 학교 악기 보관함.
  • 123. 가변 무대, 이동식 의자 독일 외국인 학교
  • 124. 독일 외국인 학교 연습, 공연, 학습을 위한 가변성
  • 127. 북미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열린교실운동'이 일어났다. 모든 교육활동은 어느 곳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학교건축의 변화를 시도했다. 학교 건물 중앙에 학습센터 · 자료센터 ·활동센터 또는 학습 공유지역을 만들어 어린이의 자주 학습활동을 기대했다. 또한 각 교실은 한국 교실의 3 4∼ 배 크기로 학습활동 전개에 따라 칸막이 ·책장 등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구분하고, 어린이들의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개방했다. 출입문이나 벽을 없앴다. 아이들은 언제든지, 어느 곳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이때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에 융단을 깐다. 각 교실에는 수학코너 ·자연코너, 읽기와 쓰기 코너 등의 학습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어린이는 각자의 흥미에 맞는 코너에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었다. 1996년 한국에서도 열린학교(Open School)라는 학교개방 정책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유학습공간이 조성된 학교들도 지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열린교실운동'은 대개 실패했다. 모든 공간이 다양한 모든 교육에 적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학교현장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도 컸다.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지도할 역량도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듯 하고, 개방된 다목적의 공유학습공간에서 지도방식이나 교육내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했거나 적응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이유인 듯 하다. 2010년대 부터 다시 '열린교실운동'이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과거와 조금은 차이가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인터넷 보급,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제작자운동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 STEM( STEAM)이라는 융합교육 열풍, 일방적 지식주입형 집체적 주지주의 교육에서 소규모 맞춤형 구성주의 교육으로 변화에 대한 필요등 이에 걸맞는 교실공간의 변화 요구가 커졌다. 인터넷, AI를 활용한 정보검색, 지식습득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교사의 역할도 지식의 권위적 전달자에서 학습 조력자이나 코디네이터로 바뀔 것을 요구받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다목적 공간의 조성이 다시 학교건축에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열린교실운동과 21C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128.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横浜市小中学校)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교실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요코하마시의 쿠라타 초등학교는 빈교실을 일본 민가풍으로 리모델링했고, 요시다 중학교는 특별교실을 다목적 교실로 만들고, 모든 교과에 대해 전용 교실을 마련했다.
  • 131. 베를린 에리카 만 초등학교 빈 교실을 놀이, 휴식, 교류 공간으로
  • 132. 빈 교실을 수납 및 휴식 공간으로
  • 134.
  • 135. 탐색의 공간, 추억의 장소- 암스테르담의 스콜렉스터(Scholekster) 몬테소리 학교 스콜렉스터 몬테소리 학교 중앙 입구 홀에는 옷장, 스탠드, 교실, 무대, 침묵의 장소, 대화 장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중장소로 활용되는 여유교실인 학습 상자가 있다. 학교 건물 내에 다락방 같은 높은 공간은 아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자극한다.
  • 136. 교실 수납함 및 다락방 공간 St Mels primary school
  • 137.
  • 138. Sun Room 자율 공간 Caulfield Grammar School
  • 139. 문 없는 칸막이 교실만 있는 학교 Marshland School
  • 140.
  • 142. 빈 교실 간이 침대
  • 143. 국내 교실 공간 변화 – 서울시 꿈담교실사업 사례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줄고 있는 곳의 경우 새로운 공간을 새로 만들기 보다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교건물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두 개 이상의 교실을 터서 통합학습공간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교실벽을 없애고 놀이시설, 휴게와 소통공간을 만든 사례가 있다. 학생 인원수가 줄어든 점을 감안해서 교실 뒤에 별도 특이공간을 만든 사례도 있다. 또는 기존 교실에 내부 상자공간을 만들거나 다용도-가변 교실 가구를 활용한다. 본래 열린교실이 적용된 대형 복도 공간을 활용하여 차분한 무대공간을 만든 사례 (면동초등학교) 접이식 창문, 독서대, 작은 다락방으로 교체한 사례 (서울 동답초 1학년 교실)
  • 144. 인원이 적은 교실 뒷편에 전이공간을 만듦 교실 속의 또 다른 작은 공간 구현 (상월초등학교). 가변적인 교실 좌석, 교실가구의 개선 (송정 초등학교).
  • 145. 서울 면동초등학교 – 실내 놀이터
  • 147.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과거의 열린학교 모델) - 다양한 학습을 위한 큰 개방된 공간 - 강당, 도서관 등 기존 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 - 유연성을 갖는 가변적 공간 - 임시 수업이나 소규모 맞춤형 수업에 적합한 교실가구(이동가변형 의자, 책상 등) (21C 학습 스튜디오의 차이점) -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과 미디어 이용 지원 - 설비 비치, 제작활동이 가능한 제작자공방 (이곳은 일반적인 다목적교육실과 다르다.) - 상이한 학습 범주에 따라 의도적으로 설계된 여러 유형의 전용 공유학습공간 조성 * Intrinsic School, Chicago
  • 149.
  • 150. Kenny Stanfield, AIA, LEED AP. Sherman Carter Barnhart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21 세기 학습 스튜디오에서는 학습실, STEM 실험실, 세미나 실습실 및 공동협업학습공간(commons)라는 4 개의 주요 학습공간과 부대 공간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분할된 학습공간은 읽기, 쓰기 및 산술이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 소통 및 협업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된다.
  • 151.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matics)은 빠르게 변하는 기술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융합학습이다. STEM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 필요와 요구, 조별 작업, 조별 논의, 등에 적합하게 유연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학습공간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때 인터넷 정보검색, 발표 공간, 강의 공간, 팀 작업 공간, 휴식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단 이때 시각적으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한다.
  • 15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한국-미래학교 실험 운영 모델 교실 가구와 다양한 좌석 배치가 중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