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5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생태 뒷간
환경보호와 생태에 관심을 갖고 있던 이가 시골로 이주했다면 필시 생태 뒷간 하나쯤 만들 요량
을 갖곤 한다. 수세식 화장실이 너무 많은 물을 사용하기도 하고 하천을 오염시킨다. 똥을 잘만
발효시키면 텃밭 농사에 좋은 거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대충 얽기설기 화장실 모양을 갖추고
똥 눌자리에 구멍을 뚫고 그 밑에 똥과 오줌 받을 구덩이를 파면 될 듯 싶다. 하지만 막상 만들
라치면 살필 게 여럿이다. 화장실에 냄새가 없어야 하니 환기를 생각해두어야 한다. 똥과 오줌
이 뒤섞이면 냄새도 심하고 거름으로 쓰기에도 적당치 않다. 부패하기 쉽기 때문이다. 파리와
모기가 생기기도 쉽다. 그러니 배변 시에 똥과 오줌을 애당초 분리해야 한다. 채소 키울 때 쓰려
면 오줌만 따로 받을 장치도 필요하다. 재나 숯, 왕겨를 똥과 섞어 탄질비(거름의 탄소와 질소
비율)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어디 이뿐인가. 충분히 똥이 잘 발효될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를 유
지한 채 적절한 양을 쌓아둘 발효통도 필요하다. 똥통이 하나면 충분히 발효된 똥과 생똥이 함
께 섞이기 때문에 최소 2칸으로 나눠 교대로 사용해야 충분히 발효된 똥을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막상 거름을 풀 때 빼내기에 편리한 구조라야 불편함이 없다. 때때로 청소하기 싶게 물 사
용도 편리해야 한다. '그깟'이라 생각하기 십상인 생태 뒷간 만들기가 이렇다. 사정이 이러니 무
작정 따라해보면 이 모든 요건을 충분히 갖추게 되는 칠레의 건축집단 카를로스 로야스(Carlos
Rojas)가 공개한 생태뒷간 만들기를 소개한다.
(그림1 경사지 계단식 토대 @Habitat Vivo)
(그림2 소변 배출 배관 @Habitat Vivo)
(그림3 바닥 콘크리트 @Habitat Vivo)
(그림4 화장실 하부 벽체 조적 @Habitat Vivo)
(그림5 화장실 상부 바닥 @Habitat Vivo)
(그림6 화장실 상부 벽체 조적 @Habitat Vivo)
(그림7 대나무 기둥 @Habitat Vivo)
(그림8 화장실 지붕 및 저장탱크 @Habitat Vivo)
(그림9 화장실 내부 간벽 및 바닥 마감 @Habitat Vivo)
(그림10 배변굴뚝, 배변 깔개 @Habitat Vivo)
(그림11 배변 깔개@Habitat Vivo)
김성원
적정기술, 기술놀이교육 연구가. 전환기술사회적협동조합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흙부대생활
기술네트워크 매니저이자 (사)한국흙건축연구회 기술이사, (주)숲과도시 이사로 활동하고 있
다. 저서로 『이웃과 함께 짓는 흙부대집』(들녘, 2009), 『점화본능을 일깨우는 화덕의 귀
환』(소나무, 2011), 『화목난로의 시대』(소나무, 2014), 『근질거리는 나의 손』(소나무,
2015) 등이 있다.
흙부대생활기술네트워크_ http://cafe.naver.com/earthbaghouse
이메일_ coffeetalk@naver.com
페이스북_ http://www.facebook.com/fatdogfish

Contenu connexe

Plus de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Plus de Seongwon Kim (20)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생태뒷간 만들기 전자북

  • 1. 생태 뒷간 환경보호와 생태에 관심을 갖고 있던 이가 시골로 이주했다면 필시 생태 뒷간 하나쯤 만들 요량 을 갖곤 한다. 수세식 화장실이 너무 많은 물을 사용하기도 하고 하천을 오염시킨다. 똥을 잘만 발효시키면 텃밭 농사에 좋은 거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대충 얽기설기 화장실 모양을 갖추고 똥 눌자리에 구멍을 뚫고 그 밑에 똥과 오줌 받을 구덩이를 파면 될 듯 싶다. 하지만 막상 만들 라치면 살필 게 여럿이다. 화장실에 냄새가 없어야 하니 환기를 생각해두어야 한다. 똥과 오줌 이 뒤섞이면 냄새도 심하고 거름으로 쓰기에도 적당치 않다. 부패하기 쉽기 때문이다. 파리와 모기가 생기기도 쉽다. 그러니 배변 시에 똥과 오줌을 애당초 분리해야 한다. 채소 키울 때 쓰려 면 오줌만 따로 받을 장치도 필요하다. 재나 숯, 왕겨를 똥과 섞어 탄질비(거름의 탄소와 질소 비율)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어디 이뿐인가. 충분히 똥이 잘 발효될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를 유 지한 채 적절한 양을 쌓아둘 발효통도 필요하다. 똥통이 하나면 충분히 발효된 똥과 생똥이 함 께 섞이기 때문에 최소 2칸으로 나눠 교대로 사용해야 충분히 발효된 똥을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막상 거름을 풀 때 빼내기에 편리한 구조라야 불편함이 없다. 때때로 청소하기 싶게 물 사 용도 편리해야 한다. '그깟'이라 생각하기 십상인 생태 뒷간 만들기가 이렇다. 사정이 이러니 무 작정 따라해보면 이 모든 요건을 충분히 갖추게 되는 칠레의 건축집단 카를로스 로야스(Carlos Rojas)가 공개한 생태뒷간 만들기를 소개한다. (그림1 경사지 계단식 토대 @Habitat Vivo) (그림2 소변 배출 배관 @Habitat Vivo)
  • 2. (그림3 바닥 콘크리트 @Habitat Vivo) (그림4 화장실 하부 벽체 조적 @Habitat Vivo)
  • 3. (그림5 화장실 상부 바닥 @Habitat Vivo) (그림6 화장실 상부 벽체 조적 @Habitat Vivo)
  • 4. (그림7 대나무 기둥 @Habitat Vivo) (그림8 화장실 지붕 및 저장탱크 @Habitat Vivo) (그림9 화장실 내부 간벽 및 바닥 마감 @Habitat Vivo)
  • 5. (그림10 배변굴뚝, 배변 깔개 @Habitat Vivo) (그림11 배변 깔개@Habitat Vivo) 김성원 적정기술, 기술놀이교육 연구가. 전환기술사회적협동조합 이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흙부대생활 기술네트워크 매니저이자 (사)한국흙건축연구회 기술이사, (주)숲과도시 이사로 활동하고 있 다. 저서로 『이웃과 함께 짓는 흙부대집』(들녘, 2009), 『점화본능을 일깨우는 화덕의 귀 환』(소나무, 2011), 『화목난로의 시대』(소나무, 2014), 『근질거리는 나의 손』(소나무, 2015) 등이 있다. 흙부대생활기술네트워크_ http://cafe.naver.com/earthbaghouse 이메일_ coffeetalk@naver.com 페이스북_ http://www.facebook.com/fatdog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