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15
Download to read offline
현대 학교건축의 공간 구성 이해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미래 학교건축의 공간 구성 키워드
미래의 교육은 급변하는 기술환경과 사회변화에 학생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창의성 함양, 사회관계 기술과 소통 능력 개발,
다양성 수용, 문제의 설정과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 주체적 학습과 변화 적응력의 개발을 중요시 한다. 따라서 현대
학교는 이전의 편복도와 획일적 교실, 기능적 공간 구성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한다. 또한 교사가 주도하는 집체 학습이
특징이던 과거의 수업 방식이 아닌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학습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미래교육을 지향하는 현대 학교건축의 현장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디자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학습 공간 가치 >
1 : 이해할 수 있는 기능적 관계 -기능은 학습 공간에 영향을 미치며 그 반대는 아니다!
2 : 방향성 / 명확성- 모든 공간은 스스로 우리를 안내하고 메시지와 방향성을 제공한다.
3 : 다용도 학습의 지원과 공간의 질-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해야 한다.
4 : 유연성/개별 의사결정 옵션/가변성- 하나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5 : 경로의 길이와 이동- 기능적 공간은 기능적 이동을 기반으로 한다.
6 : 격리와 연결-근접한 공간은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7 : 쾌적한 실내 환경 -양질의 빛/공기/색상/음향/재료
8 : 매력적인 커뮤니티 공간- 눈에 띄는 사회적 교류와 소통의 공간을 만든다.
9 : 외부 영향(형태 또는 외형)-건물의 정체성과 이미지
* 오스트리아 Radsutadt ‘
시립 학교의 건축위원회의 9 ’
가지 학습 공간 가치
실내외 연결
실내외의 연결과 수업의 확장
학교건축의 역사에서 교육학에 따라 교실과 외부공간(자연)의 연결은 주요한 주제였다. 개별 교실마다 안뜰을 두거나, 학습 클러스터
단위로 별도의 야외공간을 제공해서 수업과 활동을 확장하고 보다 아동의 자연 접근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다. 그러나, 우리의 편복도형
전통 학교들은 교실에서 야외 공간 접근성이 극히 낮다.
실내외 연결-시카고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교실 외부 3면에 창이 있다.
교실과 교실 사이의 안뜰은 작은 휴식 공간이자 학습공간으로 활용한다.
교실 옆의 작은 문을 통해 입출입이 가능하다.
시카고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개방적으로 외부와 내부 공간들을 연결한 사례 :Bad BlumauVolksshule
초등학교
지역 : 비엔나, Bad Blumau 중앙역 부지
건축 : Feyferlik/Fritzer, Ing. Veronika Schnedl
완공 : 2010
컨셉 : 움직이는 학교
오스트리아 학교
Bad Blumau의 작은 학교는 벽돌, 콘크리트, 스틸, 알루미늄, 목재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서 경제적이면서 단순하게 지어졌다. 학생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종일학교로
변화할 필요가 있었다. 신축하면서 '움직이는 학교'를 컨셉으로 삼고 아이들의 학업 집중과
신체적 활동, 휴식과 여유로운 활동을 균형있게 지원하고자 했다. 학교는 야외 놀이터, 야외
수업 활동, 실내 놀이와 활동, 이동가능한 학습 가구 등 다양한 면에서 "움직이는 학습 개념"을
학교 공간 전체에 반영했다.
학교는 5개의 정규 교실, 작업실, 체육관, 방과후 보육실.그외 다양한 공간들을 포함한다. 학교
맞은 편에 주민들이 사용하는 축구장과 관람석 건물이 있다. 교사 측면에 학생들을 위한
구기장이 따로 있다.
5개의 교실은 서로 문을 열어 연결할 수 있다. 교실에서 운동장쪽으로 큰 미닫이 통유리
창문이 있어 충분한 채광과 전망을 제공한다. 각 교실들은 개별 테라스와 앞마당 같은 공간과
연결된다. 이곳은 마치 농가 앞 마당처럼 아늑하다. 일종의 야외 교실이자 활동공간이다. 교실
별로 제공되는 앞마당은 다시 넓고 완만한 잔디 언덕 놀이터와 잔디마당으로 연결된다.
반대쪽으로 교실 간벽은 다각형 창이 뚫려 있는 데 이곳은 아이들의 좌석 공간으로도 사용된
다. 5곳의 교실들은 교실 앞쪽의 커다란 공동 구역과 연결된다. 천창이 곳곳에 있어 밝다. 학교
바닥 전체에 난방이 되기 때문에 겨울에도 따뜻하고 누울 수도 있다. 이곳에서 85 명의
어린이들은 달리기, 뛰기, 놀기, 독서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이 다시 집중하고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려면 뛰고, 뛰고, 뛰어 다녀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한 열린 공간이다.
이곳에는 긴 좌석이 마련되어 있고, 곳곳에 틈새 공간과 독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공용공간은
좌석 위 아래로 단차가 있다.
학생들은 교실을 중심으로 한편으로 테라스 앞마당 놀이언덕과 잔디마당으로 움직이고 다른
한편으로 공용공간으로 움직이며 활동한다. 창문 틈과 야외 공간, 휴게공간, 높고 낮은 탁자와
창가의 긴 테이블, 공요공간의 긴 좌석 등 어디서나 자신의 공간을 찾을 수 있다. 건물의 양지
바른 벽은 늘상 예상되는 거친 콘크리트벽이 아니다. 살짝 기울어져 있고 쿠션이 있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교실 마다 제공되는 별도의 안뜰과 작은 데크, 앞쪽의 경사면 놀이터와 잔디 마당으로 연결된다. )
(안뜰과 잔디마당을 향한 교실 통창을 통해 풍경을 볼 수 있다.)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5개 교실 앞의 다목적 공용공간. 놀이, 독서, 휴식, 수업 등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이곳에 긴 붉은 좌석, 넓은 창턱 좌석과 중간의 다락방 같은 느낌의 개별 공간이 있다.)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개방적으로 외부와 내부 공간들을 연결한 사례 - Schule am See, Hard
초중등학교, 다문화교육 지원
9개의 학습 클러스터로 조성
지역 :Hard/Österreich
인원 : 363(초등), 282(중등)
중정과 테라스가 특징
오스트리아 학교
오스트리아 보덴호 옆의 작은 도시인 하트(Hard)에 새롭게 들어선 학교다. 호수를
바라보는 탁 트인 전망과 넓은 잔디 축구장, 그 반대편에 야구장이 있다. 학교 앞에는 지역
주민이 이용하는 스포츠 센터, 아이스링크를 포함한 스포츠 단지가 있다. 학교 전용의 실내
체육관도 따로 있다. 야외 운동장과 스포츠 단지 시설은 주민만 아니라 학생들도 이용한다.
학교는 스포츠 단지에서 활동하는 전문 기관과 협약을 통해 5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핸드볼, 축구, 기구 체조 분야의 스포츠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주 7시간 (멀티 스포츠 4시
간, 종목 스포츠 3시간) 체육 수업을 받을 수 있다. 주로 오전과 정오에 수업이 있다. 어린이
스포츠 학교와 유치원 스포츠 아카데미도 운영하는 데 구기, 달리기, 도약, 던지기, 등반,
장애물 코스 등 다양한 신체 활동을 다룬다.
학교 내부에는 3곳에 안뜰(중정)이 있다. 이 안뜰 바닥은 단차가 다른 나무데크이거나,
모래 바닥에 큰 바위가 있는 자연주의 놀이터다. 또 다른 안뜰은 자연스럽게 활동을
유도하는 콘크리트 조형 바닥이다. 안뜰은 다양한 활동을 위한 공간이고 학교 밖 야외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연과 연결하는 또 하나의 건축 요소는 테라스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안뜰과 야외 운동장을 향해 개방된 테라스 복도로 둘러 쌓여 있다. 학생들은
언제나 쉽게 밖으로 나와 맑은 공기를 마시고 탁 트인 전경을 볼 수 있다.
호수 학교는 스포츠 단지에 속한 2개의 건물 동을 제외하고 총 5개의
건물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건물동은 종횡축으로 서로 연결했다.
A, B, C동에 9개의 학습 클러스터들이 층별로 배치되어 있다. D동은
강당, 교무실로 사용한다. 이외 실내 체육관이 연결되어 있다. 9개의
학습 클러스터는 각각 작은 학교라 할 수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3~4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스터 당 6~8명의 교사들이
담당한다. 1~3 학년은 13개 학급이 포함된 4개의 학습 클러스터에,
4~6학년은 10개 학급이 포함된 3개 학습 클러스터에, 7~8 학년은 7
개 학급이 포함된 2개 클러스터로 나누어져 있다. 학습 클러스터는
자유롭고 다양한 협업, 수업, 휴식, 놀이의 장소다. 클러스터 내의
교실은 일렬로 다목적 공용공간들과 함께 투명하게(교실 유리벽)
개방성을 유지하며 조합되어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개별적으로
학습하거나 집체 수업을 받을 수 있다.
교사들이 유연하게 협력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클러스터는 융합 교육을 위해 필수적으로 조성해야 할 공간
요소다. 교사들은 학습 유형의 혼합과 팀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사회
관계기술과 협력적 경험을 쌓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교실 밖 테라스 구간들) (세 곳에 조성된 중정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넓은 중앙의 비공식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들, 유리벽을 이용하여 시각적 개방감과 투명성이
높다. 교실 사이에 선반, 게시판, 커텐 등을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시선을 가리거나 차단한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교실은 야외 테라스와 학습 클러스터의 중앙 공용 공간을 향해 연결된다. 교실은 유리벽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열려 있지만 수납 선반, 게시판, 커튼 등을 이용하여 구분하거나 가릴 수 있다.
교실 바닥은 목재나무 바닥을 사용하여 바닥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학습공간 구성 모델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교실과 복도 사이의 출입구 외에 각 교실 사이에 직접 이동할 수 있는 문을 두거나, 72 m2 크기의 교실을 최대 25 명의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 2개의
교실을 연결하여 확장 교실로 만들거나, 두 개의 교실과 양쪽에서 인접한 보조 교실을 가변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는 교실 모델이다. 이와 같이 교실을
확장하거나 연결하여 다중 선택 학습 및 보다 넓은 교육 공간이 필요한 학습 유형을 지원한다. 확장형 모델에서는 몇 개 교실마다 함께 사용하는 보통
보조교실(소그룹실)을 둔다. 보조교실은 (유리벽) 등을 사용하여 충분한 시각적 연결성(투명성)을 제공해야 한다. 교실 또는 보조교실 사이의 가변
칸막이 벽을 이용하여 인접한 두 교실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다. 가변 칸막이로 분리했을 경우 적절하게 방음 되어야 한다.
이동식 칸막이 벽은 가능한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
투명한 보조교실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여러 개의 교실과 보조교실(소그룹실), 다목적 공용공간(학습거실), 교사실, 화장실, 옷 보관실, 교구재실 등이 서로 함께 조합된 공간 단위로 구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구역 설정이 명확해야 하고, 투명성, 음향 최적화, 방화(내화) 가구 또는 내장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양질의 채광과
환기를 유지하도록 유의한다. 클러스터는 학년 또는 계열(예 : 언어, 수학, 사회 연구, 예술, 과학 등) 단위로 여러 교실을 묶어서 조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건축 면적이 좁은 곳에서 내부 공간을 다목적으로 이용하여 공간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창턱, 테라스, 다목적 공용공간(
학습거실)을 활용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클러스터 내 보조교실(소그룹실)은 보통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유리벽을 사용하여 투명성을
유지한다. 클러스터 내에서는 공용공간과 분리된 교실, 보조교실 등을 사용하여 집체 학습과 종소그룹 단위 분리학습 유형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교실 중앙의 공용 공간은 휴식, 작업, 수업, 독서, 놀이 등 다목적으로 활용한다.
21세기형 열린 교실
– 접이식 문이나 대형 미닫이 문을 부착하여 공간의 분리와 연결(확장)이 가능하다.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열린 개방형 학습 전경은 기존 학교 모델과 크게 다르게 고정 교실 구분이 없거나 고정벽으로 분리된 공간이 있다 해도 그 규모와 형태가 다양한 학습
공간들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즉 60~12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보통 열린 학습 전경(또는 학습 스튜디오)이라 불리는 다목적의 넓은 학습 공간과 강당,
중소규모의 학습 공간과 소 그룹실, 교사실, 화장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넓은 다목적 학습 공간(열린학습전경 또는 학습 스튜디오) 내부에 옷을 보관함을
둘 수 있고, 이곳은 학습 외에도 놀이, 휴식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열린 학습 전경 모델은 주로 소그룹 중심의 맞춤형 교육에 적합하다. 학생들은 다양한
규모와 분위기의 학습 구역이나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모델은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독립성을 요구한다. 공간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성을
요구하는 유치원 또는 저학년 그룹 이나 독립적 학습이 충분히 가능한 중등 이상 학교에 주로 적용한다.
학습클러스터 모델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학습 클러스터는 상대적으로 독립 된 공간 안에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또는
학습통로), 화장실, 락커, PC부스, 등을 포함시켜,
연결성, 개방성, 귀속성, 가변성, 협력성을 높인
학습 공간으로 대개 동급 학년 또는 유사계열의
여러 중급 규모 학생을 그룹으로 배치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학습 클러스터는 상대적으로 독립 된 공간 안에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또는
학습통로), 화장실, 락커, PC부스, 등을 포함시켜,
연결성, 개방성, 귀속성, 가변성, 협력성을 높인
학습 공간으로 대개 동급 학년 또는 유사계열의
여러 중급 규모 학생을 그룹으로 배치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중
*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건축 지침 ( < 400m2
)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건축 지침 ( < 400m2
)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전이, 순환 공간으로서 공용 학습공간
Bobergsskolan의 공용공간(학습거실)
학습 클러스터 조성– Wim Wenders Gymnasium Schule
* 시립고등학교
* 2개의 학습주택동과 1개의 특별교실동,
행정실과 체육관 동으로 구성
* 뒤셀도르프
* 학습주택(학습 클러스터)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
학 습 주 택 개 념 으 로 공 간 을 조 직 한 뒤 셀 도 르 프 의 Wim-Wenders-Gymnasium
신축학교이다. 현재 D sseldorf-Oberbilk
ü 지역에 60년 만에 처음으로 시립고등학교인
Wim-Wenders-Gymnasium이 신축되고 있다. 이 학교는 미래 학교의 표준에 맞춰 '
학습주택' 개념을 구현하고 있다. 즉 '학습 클러스터' 형태의 공간 조직을 특징으로 삼고 있
다. 새 학교 건물은 현대적이고 미래 교육 및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한다. 건물은 중앙
연결(학습)센터를 중심으로 풍차처럼 배치된 2개의 학습주택동과 1개의 특별교실동,
행정실과 체육관동으로 구성된다.
중앙의 연결(학습) 센터는 아뜨리움 공간으로 밝고 환하다. 현관 홀이 이곳에 있고, 그
주변이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구역을 형성한다. 휴게실, 미디어 도서관, 자율 학습 센터 및
강당이 3 개 층에 걸쳐 개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학습주택동은 중앙의 중정을 중심으로 교실과 학습통로를 배치한 구조다. 각
층마다 1개의 학습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학교에는 총 6개의 학습주택이 있는 셈.
중정을 둘러싼 학습주택 내의 넓은 학습통로는 놀이, 휴식, 학습, 독서, 수업, 작업을 위한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사용한다. 각층의 학습주택마다 화장실과 락커, 테라스, 외부 계단을
포함한다. 교실 내부틑 발표, 그룹 및 개인 작업과 같은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조성되고 있다.
학습클러스터
Wim Wenders Gymnasium Schule
학습클러스터 조성 - Radstadt volksschule
시립 초중등 학교
위치 : Radstadt / Salzburg
신축 : 2015 ~ 2017
시공 : Arch. Wiesenhofer / Lend2
Architecture
인원 :29개 학급 학생 500명
오스트리아 학교
라드슈타트 시립학교는 다사다난 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1년 제대로 된 학교가 건축된 후 3번에 걸쳐 리모델링이
있었고, 초기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가 추가되었고, 기술학교로 다시 특수학교로 변화되다가 초등학교와 음악 중학교가
통합된 학교로 발전했다. 이런 이유로 본관 건물은 여러 번의 구조 안전 보강과 개조를 거치며 학교는 지속적으로
수리하거나 확장되어 왔다.
초중등 통합 학교이기 때문에 여러 연령대 학생들이 교류, 소통,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공간적으로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조성했다. 경쟁이 아니라 사회생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협력의 기술과 협동의 감수성을 발전시키려면 학교는 공간과 일상을 통해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라드슈타트 시립 학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정문, 현
관, 강당 겸 식당, 도서관, 공연장을 공용 공간으로 조성했다. 이 장소들은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교차, 교류 공간이자 협력의 공간이다. 대형 현관홀과 그 옆의 강당은 학생들이
독서, 휴식, 대화를 할 수 있고 행사 장소이자 학교 식당으로도 사용한다. 종종 열린 회의 공간으로도 이용한다. 도서관과 음악 공연장 역시 공용 공간으로 마련했다. 도서관은 두
학교 학생 모두 사용한다. 음악 공연장은 두 학교 학생들의 이용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곳엔 별도의 연습실도 딸려 있다. 학교 건물 지하의 대형 시민
홀은 지역사회 주민은 물론 모든 교육 기관에서 대규모 행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학교 단지는 이미 지역의 모든 연령대를 위한 공공 공간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학생들의 개인 학습, 모둠 학습, 집체 학습 등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할 수 있는 가변적이고 유연한 학습 클러스터로 학습 공간을 조성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연령별 학습
클러스터는 투명한 유리벽으로 나누어진 서로 연결된 3~5개의 교실과 소그룹실, 열린 공용 공간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방화문을 열어서 초등학교와 증학교 사이의 학습
클러스터들을 연결할 수 있다.
학교는 똑 같은 책걸상 대신 다양한 의자, 안락한 소파, 카페트 깔린 바닥, 한적한 틈새 좌석 등을 제공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공간 뿐 아니라 가구도 공동 이용한다. 학습 유형
변화에 따라 적당한 학습 가구를 임시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처럼 교실 내 이미 설치된 획일적 가구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설문 조사에 응한 학생들은 이상적인 학습 공간은
개별 학습 28 %, 단짝과 함께 하는 학습 28 %, 소그룹 38 %, 전체 학습은 6 %로 대답했다. 또한 다른 설문 조사에서도 35 %의 학생이 앉아있는 자세 , 16 % 는 서 있을 때, 29 %
는 누워있을 때 가장 잘 배울 수 있었다고 답했다.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학년 별 학습 클러스터, 교실들은 유리벽으로 구분되어 있고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공용
공간은 교실들과 바닥 단차가 있다)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학년 별 학습 클러스터 내 공용 공간에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선반, 테이블, 소파, 좌석들을 배치되어 있다. )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학습클러스터 조성 -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 사례
종합 학교, 중등 수준
지역 : Hessenwald , Weiterstadt
인원 : 28 학급, 840명
독일 다름슈타트 인근 바이터슈타트(Weiterstadt) 지역의 헤센발트 학교(Hessenwaldschule)
는 국제적 건축가 상을 수상한 학교다. 이 학교의 건축적 특징은 학교 중앙의 3층 높이의 대형
‘다목적 아뜨리움 홀’과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을 하나로 묶은 ‘학습 클러스터이’다.
중앙의 아뜨리움 홀은 현관 홀은 행사장 겸 강당, 휴식 공간, 식당, 수업 공간을 겸하는 다목적
커뮤니티 공간이다. 대형 아뜨리움 중앙 홀 주변으로 1층에 주방,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행정실, 극장실, 음악실 등 공동 이용 시설과 지원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아뜨리움 중앙 홀 주변으로 3개 교사동이 풍차처럼 돌아가며 연결되어 있다. 각 건물동의 각
층마다 학습클러스터들이 학년 별로 할당되어 있다. 교실들은 주로 2~3층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학습 클러스터는 집처럼 아늑하게 구성되어 있다. 학습 클러스터마다 중앙 영역에서
입구, 락커, 교실 3~5, 그룹실 1, 교사실 1, 별도 화장실, 내부 계단이 조합되어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개별 테라스와 연결된다. 학습 클러스터 중앙은 다목적 공용 공간인데 주택의 거실
같은 곳이다. 학습거실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학생들의 휴식, 대화, 독서, 자습, 작업
공간이자 확장된 수업을 위한 공간이다. 이곳에는 긴 식탁이 있는 열린 주방이 있고, 휴대폼
보관함도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 여러 반 학생들이 서로 유대감과 소속감을 갖는 동시에
안락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클러스터 내 교사들은 서로 협력하며 유기적으로 수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
예술, 제작, 음악 등 특기실은 본관 1층과 별관에 배치되어 있다. 특기실들도 기본적으로
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클러스터로 조합되어 있다. 특기 교실 3~4, 보관/준비실 1~2,
그룹실, 화장실, 기타 시설과 함께 조성되어 있다.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
(공용공간 내 휴식공간) (공용공간 내 간이주방)
(보조교실(소그룹실)) (교실)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
능동학습교실
Active Learning Classroom
능동학습교실
1. 학생과 교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간 설계
2. 시각적 및 물리적 접근이 가능하고 학생 모두에게 좋은 좌석 제공
3. 학생들이 쉽게 협업하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
4. 여러 학습 유형을 빠르게 재구성할 수 있는 유연하고 여유로운 공간
5. 테이블과 의자를 이동할 때 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 포함
6.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학습 가구
7. 교육 목표와 학교 특색을 반영하는 디자인
능동학습교실에서 설정 가능한 다양한 학습 유형에 따른 학습 가구 배치
Flexible Seats in Active Learning Classroom
(https://www.youtube.com/watch?v=ePNZ-buLxnY&feature=emb_logo&fbclid=IwAR2xXNPTmbY3iHDAR62OCB6beeYymhs2WCerA4E2EMEzvBSaokvSBTNf7Kc)
Active Learning Classroom
(https://www.youtube.com/watch?v=0tMc0JY0978&feature=emb_logo&fbclid=IwAR087VbvCS9nwgtfF6-x7U_-lIKeweeW7u8WD3QD-BJJ4PTQPs6Ahj5SJA8)
고등·대학의 능동학습교실
능동학습교실은 노트북 연결, 다원 모니터 등 기술지원 발표를 유도하는 화이트 보드 및 필기 벽면, 이동배치 가능한 학습가구, 여유 있는 공간이
특징이다. 능동학습교실은 학생들의 다양항 형태의 학습 활동과 작업을 촉진하고, 수업 중 동적인 이동과 변화를 허용한다,.
능동학습교실의 학습 가구
그룹 학습, 토론, 협력
작업 시 자신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곳곳에
화이트 보드 설치
의자, 책상 등
이동가능한 학습가구를
이용하고, 학생들이
자유롭게 좌석을
선택하며 배치할 수 있을
때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다.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영역
OECD (“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사회관계)"
능력은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학생들이 반드시 교육 받아야 할
기초 역량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 학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관계 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 과제로 삼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커뮤니티 공간에는
식당,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학습(자습) 센터, 체육관 등이
포함되는 데 다양한 학생들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가 일어나도록 학교
건물의 중심에 배치하고 상호 연결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주요한 사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Jawlensky School
Munkegaard Skole
커뮤니티 영역과 학습 클러스터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
종합 학교
지역 : Babenhausen
인원 : 44 학급, 1,320명
요하킴 슈만 학교는 좌석과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현관 겸 강당 아뜨리움과 학습 클러스터,
특기실 영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3층 건물 에
교실들은 학습 클러스터 단위로 조합되어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에는 몇 개의 교실과 그룹실 또는
교사 대기실, 화장실(위생) 등과 함께 있다. 특기
교실들도 그룹실, 보관/준비실, 화장실과 함께
클러스터로 조성되어 있다. 모든 학습
클러스터들은 복도를 따라 중앙의 현관 홀 겸 강당
(아뜨리움)으로 연결된다. 중앙 현관홀은 학교의
중심 공간이자 행사 공간이다. 학교 도서실, 주방,
식당, 카페테리아 등 공용 공간과 지원공간들도
중앙의 현관 홀에 인접해 있다. 이곳에는 성큰
(Sunken) 바닥과 계단식 좌석과 강단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강당 반대편에는 행정실, 교무실,
행정실, 설비실, 보건실, 화장실 이 배치되어 있다.
교실이나 복도는 가능한 큰 창을 써서 채광을
좋게 하고 있다.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커뮤니티 영역
(중앙 현관 홀(아뜨리움)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커뮤니티 영역
0
(교실)
(계단과 계단 하부 휴게 공간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지역 : 핀란드 suolahti / Äänekoski
유치원 / 초등학교 연장
시공 : Alt Architects
완공 : 2018년
증축
핀란드 학교
기존 건물을 중축하면서 학습 공간, 식당, 체육관, 그리고 곳곳에 다용도
실내 놀이공간을 새롭게 조성했다. 옛 건물동과 새로 건축한 건물의
연결부에 새로운 학교의 중심부를 조성했다. 이곳에 다목적 식당을
배치했다. 실내 공간은 다양한 학습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음향에 있어
상당한 신경을 썼다. 건물 외피는 의외로 자연스럽게 녹이 나는 주름
강판을 사용했다. 왜 우리 나라 학교들은 신축하면 외벽을 치장
벽돌로만 꾸미는 지 이해할 수 없다. 결되어 있는 주거지에 위치한
학교다. 건물의 재료와 형태는 70년대 후반과 80 년대 핀란드 포스트
모더니즘 지역주의 운동인 오울루 학교(Oulu School) 건축의 철학을
따르고 있다. 오울로 학교(Oulu School) 건축의 방향은 지역의 풍경,
기후,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지역적이고 인간적 느낌을 살리는 것이었
다. 니멘란타 초등학교는 지역의 주 건축재료인 벽돌과 목재를 사용했
다. 학교 건축은 지역 건축 전통과 현대적인 악센트가 잘 조화되어 있다.
담장은 붉은 벽돌을 사용했고, 건물의 외관은 광택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사용했다. 내부는 목재 사용이 두드러진다.
(다양한 규모와 크기의 다목적 공용
학습공간, 특기실, 식당, 체육관, 실내
놀이공간을 포함하는 증축 건물동.
증축 건물의 다목적 현관 홀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용공간과
좌석, 주방 등이 연결되어 있다.)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핀란드 학교/커뮤니티 영역
(좌 : 중축 건물의 학습공간)
(우 : 중축 공간의 체육관)
(좌 : 중축 건물의 접이식 문으로 확장 가능한 활동 공간)
(우 : 중축 공간의 소규모 학습 공간)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지역 : Espoo
건축 : Verstas Architects
사진 : Tuomas Uusheimo, Andreas
Meichsner
완공 : 2012
핀란드 학교
사우날라티(Saunalahti) 학교는 신체적 활동과 실행,
예술, 제작, 협력을 강조하는 미래 학습에 적합하게
공간을 조성했다. 학교 건물은 다양한 규모의 학생들이
각기 색다른 분위기의 공간을 이용하도록 했다. 이동
동선은 복합적이다. 아이들의 활동과 나이에 맞춰 공용,
반공용, 개별 공간을 실내 곳곳에 배치했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교실 밖 야외공간도 잠재적인 비공식 학습
공간으로 조성했다.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공공 장소이자 다양한 학생들과
사용자들이 만나는 커뮤니티 공간은 다목적 식당, 체육
관, 운동장이다. 이곳은 학생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도 개방된다.
학교에는 어린이집, 유치원, 여가 활동을 위한
청소년관이 포함되어 있다.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학교의 다목적 현관 홀(중앙 커뮤니티 공간), 벽 한쪽으로 무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대 뒤로 실내 체육관이 연결된다.)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커뮤니티 영역
(곳곳에 다양한 좌석과 테이블이 배치된 비공식 공용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휴식, 학습, 놀이, 독서 활동을 한다.)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커뮤니티 영역- 쿠흐모 목조 학교
지역 : Kuhmo
건축 : ALT Architects
사진 : Ville-Pekka Ikola, Mikko Auerniitty
완공 : 2018
핀란드 학교
쿠흐모 학교는 3개의 목조 건축 블럭과 다양한 야외 구역으로 조성되었다. 학교 마당은 노란색 바닥인 4곳의 놀이 구역과 작은 펜스 구기장, 인공 지형으로 만들어진 바이크 놀이
장, 뒷 편의 작은 밧줄 놀이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눈의 띄는 야외시설은 놀이구역 주변의 케노피이다. 바람과 볕을 가리고 야외에서도 실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다.
주목할 또 다른 공간은 전통 마을의 회당 같은 아뜨리움 공간과 비공식학습 공간이다. 아뜨리움은 학교의 공용 광장으로 그 주변으로 교실들이 배치되어 있다. 교실 앞 동선 구간은
충분히 넓고 비공식적 학습을 위해 다양한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곳이 복도를 대신한다.
체육관은 실내악 공연장으로도 변신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다. 체육관이면서도 음향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음향 측면에서 이러한 기능은 다소 모순적이다. 공연을 위해서는
에코가 필요하지만 체육관에는 에코가 필요없다. 이 학교의 다용도 체육관은 두 가지 모순된 음향 요구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반향을 위한 기울어 진 천장과 벽이 에코를
지원한다. 운동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그외 벽은 흡음재를 사용했다.
1층
2층
(2층의 복도를 대신하는 비공식 공용공간)
(전통 회당처럼 조성된 중앙의 다목 아뜨리움 공간)
커뮤니티 영역- 쿠흐모 목조 학교
핀란드 학교
(밝은 채광, 소음을 줄이는 카페트, 이동형 가구가 설치된 교실들) (공연장 겸 체육관. 섬세한 음향 처리를 위한 벽면과 조명이 설치되었다)
쿠흐모 목조 학교
핀란드 학교
중앙 광폭학습 계단
중앙 커뮤니티 공간의 대형 광폭 다용도 계단 /이동 계단+좌석 계단
계단 하부 공간을 비공식공간으로 조성
계단 앞에 모니터와 화이트보드 설치 (학습공간화)
비공식 공간(Break Out Space)
미국 메사츄세츠 주정부 학교건축국은 '초등학교의 부속 공간'에 관한 조사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를
살펴보니 여기서 말하는 부속공간(Break out spaces)은 수업 보조공간, 다목적 공간 또는 학생들의 놀이와
휴식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간은 소모임, 그룹학습, 개인 독서, 상담, 준비, 사물함, 휴식, 놀이 등을 위한 좀
더 자유롭고 유연한 소규모 공간을 말한다. 보통 여기에 이동 가능한 탁자와 좀 편안한 소파나 의자가 놓인
다. 메사츄세츠 학교건축국은 4년 동안 관계를 맺어온 18개 초등학교를 바탕으로 다음 5가지 부속공간
유형을 정리하고 있다.
1. 전용공간 없음. (보통 교실 자체를 다용도로 활용)
2. 공유 부속실형
3. 공유 현관형,
4. 클러스터형,
5. 복합형,
전용공간 없음
별도의 추가공간없이
넓은 교실을 수업 유형에
따라 변화시켜 가며 활용
유형 1(보통교실),2(부속실형)
공유 부속실형 (이동가벽 포함)

주로 같은 학년 학생을 위한 협업
공간으로 사용한다.

이웃한 두 교실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문이 있다.

이동가능한 가벽 또는 접이식 벽을
밀어서 두 개의 교실과 부속실이
연결된 대형 학습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다.
공유 부속실형 (파티션 포함)

이동가능한 파티션을 교실의 한쪽
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

부속실을 소그룹 학습 또는 교육
계획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
다.
유형 3(공유 다목적실)
클러스터 내 공식 공간 (A)

여러 작은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을 한 세트의 공간으로
구성한 학습 클러스터로 구성한
다.

학습거실은 학습, 놀이, 휴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
부속 공간은 소그룹 학습이나
작업, 개인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한다.
클러스터 내 비공식 공간 (B)

학습 클러스터 내 여러 교실에
인접하여 개방된 소규모 탈주
공간으로 단순한 학습 가구(벤치,
탁자)를 배치한다.

학생들이 휴식 시간에 자유롭게
사용하는 비공식 부속 공간이다.

이용 시간표가 필요없다.
특정 교실-전용 공간 (C)

학습 클러스터 내 특정교실
전용으로 통합된 부속공간이다.
그러나, 종종 클러스터 내 타 교실
수업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
특별지도나 실험, 보조교실
공간으로 사용되지만 공간 이용
일정을 섬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고, 충돌 요소가 있다.
유형 4 (클러스터)
복수 소규모 부속 공간 (D)

학습 클러스터 내 곳곳에 작은 부속 공간을 곳곳에
배치하여 개인 또는 소그룹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토록 한다.

이러한 공간은 적절한 공간 이용 일정이
조정되어야 한다.
집합 지원 공간 (E)

학습 클러스터 내에 여러 지원공간을 집합시킨
부속 공간으로 이 가운데 일부를 특별실로로도
조성하며,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작업하거나
수업을 진행한다.

(기술실, 컴퓨터실, 미디어실, 언어치료실... 등등)
다양한 복도의 포켓 공간들
비공식공간에서 학습 유도 (화이트보드)
소규모 비공식 학습공간
동굴 공간(개별 공간)
웅덩이 공간(모임, 사교 공간)
복도의 변화
종합적인 공간 배치와 구성
전체 공간 배치 -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초, 중, 고 공립학교
지역 : 함부르크, 독일
완공 : 2021 년
설계 : MGF Architects
함부르크의 게쉬비스터 숄 학군학교 Geschwister-Scholl-Stadtteilschule
는 2021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독일의 학교 건축 지침을 성실하게 따르고
있는 이곳의 학교 건축 사전기획서를 참조해볼 필요가 있다. 이 학교 역시
교실들을 크기와 규모, 기능이 상이한 여러 공간(교실, 보조교실, 공용공간,
화장실, 락커, 교사대기실, 상담실 등)들을 묶은 학습 클러스터를 기본 공간
구성 단위로 삼고 있다. 이뿐 아니라 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특기교실들도 특기교실과 공용공간, 교구재 보관실 등을 묶어서 학습
클러스터로 조성했다.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공간은 현관, 다목적 홀, 식당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접이식 가변을 설치하고, 그 주위에 음악실,
행정실을 배치했다. 학교의 별도 기관인 청소년의 집 역시 가변벽이나
접이식문을 활용해서 연결하고 있다.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독일 학교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학교 공간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교훈
* Oxford 런던 학교 공간 혁신 Review
1. 교육 비전의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
어떤 유형의 학교를 조성할지 명확한 비전이 있는가? 새로운 학습 공간에서 어떤 유형의 학습을 실행하고자 하는가? 어떤 공간이 필요한가? 교사, 학생, 지역 주민과 함께
발전시키고자 하는 차별적 교육 비전이 있는가? 등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교육 비전과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초기 교육과 건축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다른 관계자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의사 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학교 공간 디자인 과정에서 교육 비전과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은 충분하고 인내심을 갖는 일련의
학습과 대화, 설문의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2. 교사, 계약 주체, 건축가 사이의 디자인과 비전 공유
교사와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자 사이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각 분야 별 사고 방식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며 우선 순위와 이해도 늘 일치하지 않는다. 우선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비전을 공유해야 한다.
3. 명확한 디자인 공정과 우선 순위의 설정
설계자, 시공자 및 교사 사이의 대화는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해 공통의 기반이 되는 지식의 기초를 만드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예산이 늘 빠듯하기 때문에 모든
당사자가 설계 초기에 교육 비전에 따른 공간 구성의 우선 순위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대한 상상하고 현실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4.미래의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과 적응성
지금 짓는 건물은 최소 30~50년 동안 이용하게 된다. 미래 사회와 교육의 요구, 그에 대응한 교육학의 변화는 현재의 이해와 지식, 경험의 범위를 벗어난다. 학교의 건물과 공간은
그러한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른 공간 변화의 우선 순위를 예측해야 한다. 학교 공간의 유연성(가변성)은 미래 학교 건축에 있어
핵심적인 사항이다.
5.다목적성
예산의 제약으로 교육학에서 요구하는 모든 공간을 조성할 수 없다. 따라서 학교 내 공간의 이용율을 검토하여 이용율, 이용시간대를 파악하고 가능하면 대부분의 공간을
다목적화해야 한다. 미래 학교 내의 모든 공간은 다양한 학습 유형과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목적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학교 공간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교훈
* Oxford 런던 학교 공간 혁신 Review
6.움직임, 흐름 및 전환, 이용 시간
학교는 바쁜 곳이다. 많은 사람들과 학생들이 이동하고 다양하게 활동한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 사람들의 흐름과 활동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각 공간의 시간 대 별 이용을
공간 구성과 배치에 반영해야 한다.
7 음향, 조명 및 환기의 영향 구상
학교의 음향 표준과 조명 및 환기 요구 사항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학생과 교사, 시설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용과 관리방법을 포함하는 대화는 전문 지식과 용어를
사용한다. 모든 당사자는 명확한 소통과 이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종종 과거의 학교에서는 음향, 조명, 환기에 대한 고려가 너무 부족했다. 미래 학교는 특히 이 분야를 세심하게
검토하고 개선해야 한다.
8. 나비 효과에 대한 경계
종종 건축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 너무 늦은 시점에 제기하는 작은 변경 요구 때문에 비용이 늘고 공기가 늘어날 수 있다. 가능하면 늦은 설계 변경은 피해야 한다.
9. 새 건물 인계와 입주
완공 후 성공적인 인계와 입주 후에 새로운 학교 공간에 교사, 학생, 관리자 모두 적응해야 한다. 특히 주요 직원은 난방, 조명, 환기장치의 관리 방법을 배워야 한다. 마찬가지로
교사들은 새로운 건물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높이고, 적합한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10.계속되는 디자인
학교 공간 디자인은 완공으로 끝나지 않는다.
학교 공간 디자인은 입주 준비와 공간 적응과 최적화를 포함하는 복잡하고 반복적인 과정을 교사들에게 요구한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Seongwon Kim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Seongwon Kim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Seongwon Kim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활 김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Seongwon Kim
 

What's hot (20)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Similar to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Seongwon Kim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Heekyung12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진 이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다운 이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cbs15min
 

Similar to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10)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More from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Seongwon Kim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13)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 1. 현대 학교건축의 공간 구성 이해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 2. 미래 학교건축의 공간 구성 키워드 미래의 교육은 급변하는 기술환경과 사회변화에 학생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창의성 함양, 사회관계 기술과 소통 능력 개발, 다양성 수용, 문제의 설정과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 주체적 학습과 변화 적응력의 개발을 중요시 한다. 따라서 현대 학교는 이전의 편복도와 획일적 교실, 기능적 공간 구성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한다. 또한 교사가 주도하는 집체 학습이 특징이던 과거의 수업 방식이 아닌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학습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미래교육을 지향하는 현대 학교건축의 현장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디자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학습 공간 가치 > 1 : 이해할 수 있는 기능적 관계 -기능은 학습 공간에 영향을 미치며 그 반대는 아니다! 2 : 방향성 / 명확성- 모든 공간은 스스로 우리를 안내하고 메시지와 방향성을 제공한다. 3 : 다용도 학습의 지원과 공간의 질-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해야 한다. 4 : 유연성/개별 의사결정 옵션/가변성- 하나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5 : 경로의 길이와 이동- 기능적 공간은 기능적 이동을 기반으로 한다. 6 : 격리와 연결-근접한 공간은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7 : 쾌적한 실내 환경 -양질의 빛/공기/색상/음향/재료 8 : 매력적인 커뮤니티 공간- 눈에 띄는 사회적 교류와 소통의 공간을 만든다. 9 : 외부 영향(형태 또는 외형)-건물의 정체성과 이미지 * 오스트리아 Radsutadt ‘ 시립 학교의 건축위원회의 9 ’ 가지 학습 공간 가치
  • 4. 실내외의 연결과 수업의 확장 학교건축의 역사에서 교육학에 따라 교실과 외부공간(자연)의 연결은 주요한 주제였다. 개별 교실마다 안뜰을 두거나, 학습 클러스터 단위로 별도의 야외공간을 제공해서 수업과 활동을 확장하고 보다 아동의 자연 접근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다. 그러나, 우리의 편복도형 전통 학교들은 교실에서 야외 공간 접근성이 극히 낮다.
  • 5.
  • 6. 실내외 연결-시카고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7. 교실 외부 3면에 창이 있다. 교실과 교실 사이의 안뜰은 작은 휴식 공간이자 학습공간으로 활용한다. 교실 옆의 작은 문을 통해 입출입이 가능하다. 시카고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8. 개방적으로 외부와 내부 공간들을 연결한 사례 :Bad BlumauVolksshule 초등학교 지역 : 비엔나, Bad Blumau 중앙역 부지 건축 : Feyferlik/Fritzer, Ing. Veronika Schnedl 완공 : 2010 컨셉 : 움직이는 학교 오스트리아 학교 Bad Blumau의 작은 학교는 벽돌, 콘크리트, 스틸, 알루미늄, 목재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서 경제적이면서 단순하게 지어졌다. 학생들이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종일학교로 변화할 필요가 있었다. 신축하면서 '움직이는 학교'를 컨셉으로 삼고 아이들의 학업 집중과 신체적 활동, 휴식과 여유로운 활동을 균형있게 지원하고자 했다. 학교는 야외 놀이터, 야외 수업 활동, 실내 놀이와 활동, 이동가능한 학습 가구 등 다양한 면에서 "움직이는 학습 개념"을 학교 공간 전체에 반영했다. 학교는 5개의 정규 교실, 작업실, 체육관, 방과후 보육실.그외 다양한 공간들을 포함한다. 학교 맞은 편에 주민들이 사용하는 축구장과 관람석 건물이 있다. 교사 측면에 학생들을 위한 구기장이 따로 있다. 5개의 교실은 서로 문을 열어 연결할 수 있다. 교실에서 운동장쪽으로 큰 미닫이 통유리 창문이 있어 충분한 채광과 전망을 제공한다. 각 교실들은 개별 테라스와 앞마당 같은 공간과 연결된다. 이곳은 마치 농가 앞 마당처럼 아늑하다. 일종의 야외 교실이자 활동공간이다. 교실 별로 제공되는 앞마당은 다시 넓고 완만한 잔디 언덕 놀이터와 잔디마당으로 연결된다. 반대쪽으로 교실 간벽은 다각형 창이 뚫려 있는 데 이곳은 아이들의 좌석 공간으로도 사용된 다. 5곳의 교실들은 교실 앞쪽의 커다란 공동 구역과 연결된다. 천창이 곳곳에 있어 밝다. 학교 바닥 전체에 난방이 되기 때문에 겨울에도 따뜻하고 누울 수도 있다. 이곳에서 85 명의 어린이들은 달리기, 뛰기, 놀기, 독서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아이들이 다시 집중하고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려면 뛰고, 뛰고, 뛰어 다녀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한 열린 공간이다. 이곳에는 긴 좌석이 마련되어 있고, 곳곳에 틈새 공간과 독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공용공간은 좌석 위 아래로 단차가 있다. 학생들은 교실을 중심으로 한편으로 테라스 앞마당 놀이언덕과 잔디마당으로 움직이고 다른 한편으로 공용공간으로 움직이며 활동한다. 창문 틈과 야외 공간, 휴게공간, 높고 낮은 탁자와 창가의 긴 테이블, 공요공간의 긴 좌석 등 어디서나 자신의 공간을 찾을 수 있다. 건물의 양지 바른 벽은 늘상 예상되는 거친 콘크리트벽이 아니다. 살짝 기울어져 있고 쿠션이 있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 9.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교실 마다 제공되는 별도의 안뜰과 작은 데크, 앞쪽의 경사면 놀이터와 잔디 마당으로 연결된다. )
  • 10. (안뜰과 잔디마당을 향한 교실 통창을 통해 풍경을 볼 수 있다.)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 11. (5개 교실 앞의 다목적 공용공간. 놀이, 독서, 휴식, 수업 등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이곳에 긴 붉은 좌석, 넓은 창턱 좌석과 중간의 다락방 같은 느낌의 개별 공간이 있다.) Bad Blumau Volksshule 개방과 실내외 연결
  • 12. 개방적으로 외부와 내부 공간들을 연결한 사례 - Schule am See, Hard 초중등학교, 다문화교육 지원 9개의 학습 클러스터로 조성 지역 :Hard/Österreich 인원 : 363(초등), 282(중등) 중정과 테라스가 특징 오스트리아 학교 오스트리아 보덴호 옆의 작은 도시인 하트(Hard)에 새롭게 들어선 학교다. 호수를 바라보는 탁 트인 전망과 넓은 잔디 축구장, 그 반대편에 야구장이 있다. 학교 앞에는 지역 주민이 이용하는 스포츠 센터, 아이스링크를 포함한 스포츠 단지가 있다. 학교 전용의 실내 체육관도 따로 있다. 야외 운동장과 스포츠 단지 시설은 주민만 아니라 학생들도 이용한다. 학교는 스포츠 단지에서 활동하는 전문 기관과 협약을 통해 5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핸드볼, 축구, 기구 체조 분야의 스포츠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주 7시간 (멀티 스포츠 4시 간, 종목 스포츠 3시간) 체육 수업을 받을 수 있다. 주로 오전과 정오에 수업이 있다. 어린이 스포츠 학교와 유치원 스포츠 아카데미도 운영하는 데 구기, 달리기, 도약, 던지기, 등반, 장애물 코스 등 다양한 신체 활동을 다룬다. 학교 내부에는 3곳에 안뜰(중정)이 있다. 이 안뜰 바닥은 단차가 다른 나무데크이거나, 모래 바닥에 큰 바위가 있는 자연주의 놀이터다. 또 다른 안뜰은 자연스럽게 활동을 유도하는 콘크리트 조형 바닥이다. 안뜰은 다양한 활동을 위한 공간이고 학교 밖 야외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연과 연결하는 또 하나의 건축 요소는 테라스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안뜰과 야외 운동장을 향해 개방된 테라스 복도로 둘러 쌓여 있다. 학생들은 언제나 쉽게 밖으로 나와 맑은 공기를 마시고 탁 트인 전경을 볼 수 있다. 호수 학교는 스포츠 단지에 속한 2개의 건물 동을 제외하고 총 5개의 건물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건물동은 종횡축으로 서로 연결했다. A, B, C동에 9개의 학습 클러스터들이 층별로 배치되어 있다. D동은 강당, 교무실로 사용한다. 이외 실내 체육관이 연결되어 있다. 9개의 학습 클러스터는 각각 작은 학교라 할 수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3~4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스터 당 6~8명의 교사들이 담당한다. 1~3 학년은 13개 학급이 포함된 4개의 학습 클러스터에, 4~6학년은 10개 학급이 포함된 3개 학습 클러스터에, 7~8 학년은 7 개 학급이 포함된 2개 클러스터로 나누어져 있다. 학습 클러스터는 자유롭고 다양한 협업, 수업, 휴식, 놀이의 장소다. 클러스터 내의 교실은 일렬로 다목적 공용공간들과 함께 투명하게(교실 유리벽) 개방성을 유지하며 조합되어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개별적으로 학습하거나 집체 수업을 받을 수 있다. 교사들이 유연하게 협력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클러스터는 융합 교육을 위해 필수적으로 조성해야 할 공간 요소다. 교사들은 학습 유형의 혼합과 팀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사회 관계기술과 협력적 경험을 쌓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의 개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14. (교실 밖 테라스 구간들) (세 곳에 조성된 중정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 15. (넓은 중앙의 비공식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교실들, 유리벽을 이용하여 시각적 개방감과 투명성이 높다. 교실 사이에 선반, 게시판, 커텐 등을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시선을 가리거나 차단한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 16. (교실은 야외 테라스와 학습 클러스터의 중앙 공용 공간을 향해 연결된다. 교실은 유리벽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열려 있지만 수납 선반, 게시판, 커튼 등을 이용하여 구분하거나 가릴 수 있다. 교실 바닥은 목재나무 바닥을 사용하여 바닥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실내외 연결 Schule am See, Hard
  • 18.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교실과 복도 사이의 출입구 외에 각 교실 사이에 직접 이동할 수 있는 문을 두거나, 72 m2 크기의 교실을 최대 25 명의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 2개의 교실을 연결하여 확장 교실로 만들거나, 두 개의 교실과 양쪽에서 인접한 보조 교실을 가변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는 교실 모델이다. 이와 같이 교실을 확장하거나 연결하여 다중 선택 학습 및 보다 넓은 교육 공간이 필요한 학습 유형을 지원한다. 확장형 모델에서는 몇 개 교실마다 함께 사용하는 보통 보조교실(소그룹실)을 둔다. 보조교실은 (유리벽) 등을 사용하여 충분한 시각적 연결성(투명성)을 제공해야 한다. 교실 또는 보조교실 사이의 가변 칸막이 벽을 이용하여 인접한 두 교실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다. 가변 칸막이로 분리했을 경우 적절하게 방음 되어야 한다. 이동식 칸막이 벽은 가능한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
  • 20.
  • 21.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여러 개의 교실과 보조교실(소그룹실), 다목적 공용공간(학습거실), 교사실, 화장실, 옷 보관실, 교구재실 등이 서로 함께 조합된 공간 단위로 구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클러스터 구역 설정이 명확해야 하고, 투명성, 음향 최적화, 방화(내화) 가구 또는 내장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양질의 채광과 환기를 유지하도록 유의한다. 클러스터는 학년 또는 계열(예 : 언어, 수학, 사회 연구, 예술, 과학 등) 단위로 여러 교실을 묶어서 조성한다. 학습 클러스터는 건축 면적이 좁은 곳에서 내부 공간을 다목적으로 이용하여 공간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창턱, 테라스, 다목적 공용공간( 학습거실)을 활용하여 공간 이용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클러스터 내 보조교실(소그룹실)은 보통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유리벽을 사용하여 투명성을 유지한다. 클러스터 내에서는 공용공간과 분리된 교실, 보조교실 등을 사용하여 집체 학습과 종소그룹 단위 분리학습 유형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교실 중앙의 공용 공간은 휴식, 작업, 수업, 독서, 놀이 등 다목적으로 활용한다.
  • 22. 21세기형 열린 교실 – 접이식 문이나 대형 미닫이 문을 부착하여 공간의 분리와 연결(확장)이 가능하다.
  • 23. *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의 현대학교 건축 지침 현대 학습공간 모델들 열린 개방형 학습 전경은 기존 학교 모델과 크게 다르게 고정 교실 구분이 없거나 고정벽으로 분리된 공간이 있다 해도 그 규모와 형태가 다양한 학습 공간들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즉 60~12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보통 열린 학습 전경(또는 학습 스튜디오)이라 불리는 다목적의 넓은 학습 공간과 강당, 중소규모의 학습 공간과 소 그룹실, 교사실, 화장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넓은 다목적 학습 공간(열린학습전경 또는 학습 스튜디오) 내부에 옷을 보관함을 둘 수 있고, 이곳은 학습 외에도 놀이, 휴식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열린 학습 전경 모델은 주로 소그룹 중심의 맞춤형 교육에 적합하다. 학생들은 다양한 규모와 분위기의 학습 구역이나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모델은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독립성을 요구한다. 공간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성을 요구하는 유치원 또는 저학년 그룹 이나 독립적 학습이 충분히 가능한 중등 이상 학교에 주로 적용한다.
  • 24.
  • 25.
  • 26.
  • 28.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학습 클러스터는 상대적으로 독립 된 공간 안에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또는 학습통로), 화장실, 락커, PC부스, 등을 포함시켜, 연결성, 개방성, 귀속성, 가변성, 협력성을 높인 학습 공간으로 대개 동급 학년 또는 유사계열의 여러 중급 규모 학생을 그룹으로 배치
  • 29.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학습 클러스터는 상대적으로 독립 된 공간 안에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또는 학습통로), 화장실, 락커, PC부스, 등을 포함시켜, 연결성, 개방성, 귀속성, 가변성, 협력성을 높인 학습 공간으로 대개 동급 학년 또는 유사계열의 여러 중급 규모 학생을 그룹으로 배치
  • 30.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Darmstadt-Dieburg.SchulBauLeitLinien-SBLL dadi)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31.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독일 다름슈타트 학교건축 지침 중
  • 32. *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건축 지침 ( < 400m2 )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33. *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건축 지침 ( < 400m2 ) 학습클러스터 다양한 학습클러스터 구성
  • 34. 전이, 순환 공간으로서 공용 학습공간
  • 36.
  • 37.
  • 38. 학습 클러스터 조성– Wim Wenders Gymnasium Schule * 시립고등학교 * 2개의 학습주택동과 1개의 특별교실동, 행정실과 체육관 동으로 구성 * 뒤셀도르프 * 학습주택(학습 클러스터) 독일 뒤셀도르프 학교 학 습 주 택 개 념 으 로 공 간 을 조 직 한 뒤 셀 도 르 프 의 Wim-Wenders-Gymnasium 신축학교이다. 현재 D sseldorf-Oberbilk ü 지역에 60년 만에 처음으로 시립고등학교인 Wim-Wenders-Gymnasium이 신축되고 있다. 이 학교는 미래 학교의 표준에 맞춰 ' 학습주택' 개념을 구현하고 있다. 즉 '학습 클러스터' 형태의 공간 조직을 특징으로 삼고 있 다. 새 학교 건물은 현대적이고 미래 교육 및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한다. 건물은 중앙 연결(학습)센터를 중심으로 풍차처럼 배치된 2개의 학습주택동과 1개의 특별교실동, 행정실과 체육관동으로 구성된다. 중앙의 연결(학습) 센터는 아뜨리움 공간으로 밝고 환하다. 현관 홀이 이곳에 있고, 그 주변이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구역을 형성한다. 휴게실, 미디어 도서관, 자율 학습 센터 및 강당이 3 개 층에 걸쳐 개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학습주택동은 중앙의 중정을 중심으로 교실과 학습통로를 배치한 구조다. 각 층마다 1개의 학습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학교에는 총 6개의 학습주택이 있는 셈. 중정을 둘러싼 학습주택 내의 넓은 학습통로는 놀이, 휴식, 학습, 독서, 수업, 작업을 위한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사용한다. 각층의 학습주택마다 화장실과 락커, 테라스, 외부 계단을 포함한다. 교실 내부틑 발표, 그룹 및 개인 작업과 같은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조성되고 있다.
  • 40. 학습클러스터 조성 - Radstadt volksschule 시립 초중등 학교 위치 : Radstadt / Salzburg 신축 : 2015 ~ 2017 시공 : Arch. Wiesenhofer / Lend2 Architecture 인원 :29개 학급 학생 500명 오스트리아 학교 라드슈타트 시립학교는 다사다난 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1년 제대로 된 학교가 건축된 후 3번에 걸쳐 리모델링이 있었고, 초기 초등학교에서 중학교가 추가되었고, 기술학교로 다시 특수학교로 변화되다가 초등학교와 음악 중학교가 통합된 학교로 발전했다. 이런 이유로 본관 건물은 여러 번의 구조 안전 보강과 개조를 거치며 학교는 지속적으로 수리하거나 확장되어 왔다. 초중등 통합 학교이기 때문에 여러 연령대 학생들이 교류, 소통,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공간적으로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조성했다. 경쟁이 아니라 사회생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협력의 기술과 협동의 감수성을 발전시키려면 학교는 공간과 일상을 통해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라드슈타트 시립 학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정문, 현 관, 강당 겸 식당, 도서관, 공연장을 공용 공간으로 조성했다. 이 장소들은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교차, 교류 공간이자 협력의 공간이다. 대형 현관홀과 그 옆의 강당은 학생들이 독서, 휴식, 대화를 할 수 있고 행사 장소이자 학교 식당으로도 사용한다. 종종 열린 회의 공간으로도 이용한다. 도서관과 음악 공연장 역시 공용 공간으로 마련했다. 도서관은 두 학교 학생 모두 사용한다. 음악 공연장은 두 학교 학생들의 이용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곳엔 별도의 연습실도 딸려 있다. 학교 건물 지하의 대형 시민 홀은 지역사회 주민은 물론 모든 교육 기관에서 대규모 행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학교 단지는 이미 지역의 모든 연령대를 위한 공공 공간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학생들의 개인 학습, 모둠 학습, 집체 학습 등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할 수 있는 가변적이고 유연한 학습 클러스터로 학습 공간을 조성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연령별 학습 클러스터는 투명한 유리벽으로 나누어진 서로 연결된 3~5개의 교실과 소그룹실, 열린 공용 공간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방화문을 열어서 초등학교와 증학교 사이의 학습 클러스터들을 연결할 수 있다. 학교는 똑 같은 책걸상 대신 다양한 의자, 안락한 소파, 카페트 깔린 바닥, 한적한 틈새 좌석 등을 제공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공간 뿐 아니라 가구도 공동 이용한다. 학습 유형 변화에 따라 적당한 학습 가구를 임시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처럼 교실 내 이미 설치된 획일적 가구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설문 조사에 응한 학생들은 이상적인 학습 공간은 개별 학습 28 %, 단짝과 함께 하는 학습 28 %, 소그룹 38 %, 전체 학습은 6 %로 대답했다. 또한 다른 설문 조사에서도 35 %의 학생이 앉아있는 자세 , 16 % 는 서 있을 때, 29 % 는 누워있을 때 가장 잘 배울 수 있었다고 답했다.
  • 41.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 42.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 43. (학년 별 학습 클러스터, 교실들은 유리벽으로 구분되어 있고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공용 공간은 교실들과 바닥 단차가 있다)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 44. (학년 별 학습 클러스터 내 공용 공간에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선반, 테이블, 소파, 좌석들을 배치되어 있다. ) Radstadt volksschule 오스트리아 학교/학습 클러스터
  • 45. 학습클러스터 조성 -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 사례 종합 학교, 중등 수준 지역 : Hessenwald , Weiterstadt 인원 : 28 학급, 840명 독일 다름슈타트 인근 바이터슈타트(Weiterstadt) 지역의 헤센발트 학교(Hessenwaldschule) 는 국제적 건축가 상을 수상한 학교다. 이 학교의 건축적 특징은 학교 중앙의 3층 높이의 대형 ‘다목적 아뜨리움 홀’과 여러 개의 교실과 부속 공간을 하나로 묶은 ‘학습 클러스터이’다. 중앙의 아뜨리움 홀은 현관 홀은 행사장 겸 강당, 휴식 공간, 식당, 수업 공간을 겸하는 다목적 커뮤니티 공간이다. 대형 아뜨리움 중앙 홀 주변으로 1층에 주방, 식당, 카페테리아, 도서관, 행정실, 극장실, 음악실 등 공동 이용 시설과 지원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아뜨리움 중앙 홀 주변으로 3개 교사동이 풍차처럼 돌아가며 연결되어 있다. 각 건물동의 각 층마다 학습클러스터들이 학년 별로 할당되어 있다. 교실들은 주로 2~3층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학습 클러스터는 집처럼 아늑하게 구성되어 있다. 학습 클러스터마다 중앙 영역에서 입구, 락커, 교실 3~5, 그룹실 1, 교사실 1, 별도 화장실, 내부 계단이 조합되어 있다. 각 학습 클러스터는 개별 테라스와 연결된다. 학습 클러스터 중앙은 다목적 공용 공간인데 주택의 거실 같은 곳이다. 학습거실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학생들의 휴식, 대화, 독서, 자습, 작업 공간이자 확장된 수업을 위한 공간이다. 이곳에는 긴 식탁이 있는 열린 주방이 있고, 휴대폼 보관함도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 여러 반 학생들이 서로 유대감과 소속감을 갖는 동시에 안락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클러스터 내 교사들은 서로 협력하며 유기적으로 수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 예술, 제작, 음악 등 특기실은 본관 1층과 별관에 배치되어 있다. 특기실들도 기본적으로 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클러스터로 조합되어 있다. 특기 교실 3~4, 보관/준비실 1~2, 그룹실, 화장실, 기타 시설과 함께 조성되어 있다.
  • 46.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
  • 47. (공용공간 내 휴식공간) (공용공간 내 간이주방) (보조교실(소그룹실)) (교실) Hassenwald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
  • 49. 능동학습교실 1. 학생과 교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간 설계 2. 시각적 및 물리적 접근이 가능하고 학생 모두에게 좋은 좌석 제공 3. 학생들이 쉽게 협업하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 4. 여러 학습 유형을 빠르게 재구성할 수 있는 유연하고 여유로운 공간 5. 테이블과 의자를 이동할 때 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 포함 6.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학습 가구 7. 교육 목표와 학교 특색을 반영하는 디자인 능동학습교실에서 설정 가능한 다양한 학습 유형에 따른 학습 가구 배치
  • 50. Flexible Seats in Active Learning Classroom (https://www.youtube.com/watch?v=ePNZ-buLxnY&feature=emb_logo&fbclid=IwAR2xXNPTmbY3iHDAR62OCB6beeYymhs2WCerA4E2EMEzvBSaokvSBTNf7Kc)
  • 52. 고등·대학의 능동학습교실 능동학습교실은 노트북 연결, 다원 모니터 등 기술지원 발표를 유도하는 화이트 보드 및 필기 벽면, 이동배치 가능한 학습가구, 여유 있는 공간이 특징이다. 능동학습교실은 학생들의 다양항 형태의 학습 활동과 작업을 촉진하고, 수업 중 동적인 이동과 변화를 허용한다,.
  • 54. 그룹 학습, 토론, 협력 작업 시 자신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곳곳에 화이트 보드 설치 의자, 책상 등 이동가능한 학습가구를 이용하고, 학생들이 자유롭게 좌석을 선택하며 배치할 수 있을 때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다.
  • 55.
  • 56.
  • 57.
  • 58.
  • 59.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영역 OECD (“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사회관계)" 능력은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학생들이 반드시 교육 받아야 할 기초 역량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 학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관계 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 과제로 삼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학교의 중심에 조성하기 시작했다. 커뮤니티 공간에는 식당,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학습(자습) 센터, 체육관 등이 포함되는 데 다양한 학생들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가 일어나도록 학교 건물의 중심에 배치하고 상호 연결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주요한 사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60.
  • 62.
  • 64.
  • 65.
  • 66.
  • 67.
  • 68.
  • 69. 커뮤니티 영역과 학습 클러스터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 종합 학교 지역 : Babenhausen 인원 : 44 학급, 1,320명 요하킴 슈만 학교는 좌석과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현관 겸 강당 아뜨리움과 학습 클러스터, 특기실 영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3층 건물 에 교실들은 학습 클러스터 단위로 조합되어 있다. 학습 클러스터 내에는 몇 개의 교실과 그룹실 또는 교사 대기실, 화장실(위생) 등과 함께 있다. 특기 교실들도 그룹실, 보관/준비실, 화장실과 함께 클러스터로 조성되어 있다. 모든 학습 클러스터들은 복도를 따라 중앙의 현관 홀 겸 강당 (아뜨리움)으로 연결된다. 중앙 현관홀은 학교의 중심 공간이자 행사 공간이다. 학교 도서실, 주방, 식당, 카페테리아 등 공용 공간과 지원공간들도 중앙의 현관 홀에 인접해 있다. 이곳에는 성큰 (Sunken) 바닥과 계단식 좌석과 강단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강당 반대편에는 행정실, 교무실, 행정실, 설비실, 보건실, 화장실 이 배치되어 있다. 교실이나 복도는 가능한 큰 창을 써서 채광을 좋게 하고 있다.
  • 70.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커뮤니티 영역
  • 71. (중앙 현관 홀(아뜨리움)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학습 클러스터/커뮤니티 영역
  • 72. 0 (교실) (계단과 계단 하부 휴게 공간 ) Joachim Schumann Schule 독일 학교
  • 73.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지역 : 핀란드 suolahti / Äänekoski 유치원 / 초등학교 연장 시공 : Alt Architects 완공 : 2018년 증축 핀란드 학교 기존 건물을 중축하면서 학습 공간, 식당, 체육관, 그리고 곳곳에 다용도 실내 놀이공간을 새롭게 조성했다. 옛 건물동과 새로 건축한 건물의 연결부에 새로운 학교의 중심부를 조성했다. 이곳에 다목적 식당을 배치했다. 실내 공간은 다양한 학습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음향에 있어 상당한 신경을 썼다. 건물 외피는 의외로 자연스럽게 녹이 나는 주름 강판을 사용했다. 왜 우리 나라 학교들은 신축하면 외벽을 치장 벽돌로만 꾸미는 지 이해할 수 없다. 결되어 있는 주거지에 위치한 학교다. 건물의 재료와 형태는 70년대 후반과 80 년대 핀란드 포스트 모더니즘 지역주의 운동인 오울루 학교(Oulu School) 건축의 철학을 따르고 있다. 오울로 학교(Oulu School) 건축의 방향은 지역의 풍경, 기후, 문화와 조화를 이루는 지역적이고 인간적 느낌을 살리는 것이었 다. 니멘란타 초등학교는 지역의 주 건축재료인 벽돌과 목재를 사용했 다. 학교 건축은 지역 건축 전통과 현대적인 악센트가 잘 조화되어 있다. 담장은 붉은 벽돌을 사용했고, 건물의 외관은 광택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사용했다. 내부는 목재 사용이 두드러진다.
  • 74. (다양한 규모와 크기의 다목적 공용 학습공간, 특기실, 식당, 체육관, 실내 놀이공간을 포함하는 증축 건물동. 증축 건물의 다목적 현관 홀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용공간과 좌석, 주방 등이 연결되어 있다.)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핀란드 학교/커뮤니티 영역
  • 75. (좌 : 중축 건물의 학습공간) (우 : 중축 공간의 체육관) (좌 : 중축 건물의 접이식 문으로 확장 가능한 활동 공간) (우 : 중축 공간의 소규모 학습 공간) 커뮤니티 영역 - Suo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 76.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지역 : Espoo 건축 : Verstas Architects 사진 : Tuomas Uusheimo, Andreas Meichsner 완공 : 2012 핀란드 학교 사우날라티(Saunalahti) 학교는 신체적 활동과 실행, 예술, 제작, 협력을 강조하는 미래 학습에 적합하게 공간을 조성했다. 학교 건물은 다양한 규모의 학생들이 각기 색다른 분위기의 공간을 이용하도록 했다. 이동 동선은 복합적이다. 아이들의 활동과 나이에 맞춰 공용, 반공용, 개별 공간을 실내 곳곳에 배치했다. 특별히 주목할 점은 교실 밖 야외공간도 잠재적인 비공식 학습 공간으로 조성했다.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공공 장소이자 다양한 학생들과 사용자들이 만나는 커뮤니티 공간은 다목적 식당, 체육 관, 운동장이다. 이곳은 학생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도 개방된다. 학교에는 어린이집, 유치원, 여가 활동을 위한 청소년관이 포함되어 있다.
  • 77.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 78. (학교의 다목적 현관 홀(중앙 커뮤니티 공간), 벽 한쪽으로 무대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대 뒤로 실내 체육관이 연결된다.)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커뮤니티 영역
  • 79. (곳곳에 다양한 좌석과 테이블이 배치된 비공식 공용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휴식, 학습, 놀이, 독서 활동을 한다.) 커뮤니티 영역 - SAUNALAHTI SCHOOL 핀란드 학교
  • 80. 커뮤니티 영역- 쿠흐모 목조 학교 지역 : Kuhmo 건축 : ALT Architects 사진 : Ville-Pekka Ikola, Mikko Auerniitty 완공 : 2018 핀란드 학교 쿠흐모 학교는 3개의 목조 건축 블럭과 다양한 야외 구역으로 조성되었다. 학교 마당은 노란색 바닥인 4곳의 놀이 구역과 작은 펜스 구기장, 인공 지형으로 만들어진 바이크 놀이 장, 뒷 편의 작은 밧줄 놀이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눈의 띄는 야외시설은 놀이구역 주변의 케노피이다. 바람과 볕을 가리고 야외에서도 실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다. 주목할 또 다른 공간은 전통 마을의 회당 같은 아뜨리움 공간과 비공식학습 공간이다. 아뜨리움은 학교의 공용 광장으로 그 주변으로 교실들이 배치되어 있다. 교실 앞 동선 구간은 충분히 넓고 비공식적 학습을 위해 다양한 가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곳이 복도를 대신한다. 체육관은 실내악 공연장으로도 변신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다. 체육관이면서도 음향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음향 측면에서 이러한 기능은 다소 모순적이다. 공연을 위해서는 에코가 필요하지만 체육관에는 에코가 필요없다. 이 학교의 다용도 체육관은 두 가지 모순된 음향 요구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반향을 위한 기울어 진 천장과 벽이 에코를 지원한다. 운동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그외 벽은 흡음재를 사용했다.
  • 81. 1층 2층 (2층의 복도를 대신하는 비공식 공용공간) (전통 회당처럼 조성된 중앙의 다목 아뜨리움 공간) 커뮤니티 영역- 쿠흐모 목조 학교 핀란드 학교
  • 82. (밝은 채광, 소음을 줄이는 카페트, 이동형 가구가 설치된 교실들) (공연장 겸 체육관. 섬세한 음향 처리를 위한 벽면과 조명이 설치되었다) 쿠흐모 목조 학교 핀란드 학교
  • 84. 중앙 커뮤니티 공간의 대형 광폭 다용도 계단 /이동 계단+좌석 계단
  • 85.
  • 86. 계단 하부 공간을 비공식공간으로 조성
  • 87. 계단 앞에 모니터와 화이트보드 설치 (학습공간화)
  • 88. 비공식 공간(Break Out Space) 미국 메사츄세츠 주정부 학교건축국은 '초등학교의 부속 공간'에 관한 조사자료를 발표했다. 이 자료를 살펴보니 여기서 말하는 부속공간(Break out spaces)은 수업 보조공간, 다목적 공간 또는 학생들의 놀이와 휴식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간은 소모임, 그룹학습, 개인 독서, 상담, 준비, 사물함, 휴식, 놀이 등을 위한 좀 더 자유롭고 유연한 소규모 공간을 말한다. 보통 여기에 이동 가능한 탁자와 좀 편안한 소파나 의자가 놓인 다. 메사츄세츠 학교건축국은 4년 동안 관계를 맺어온 18개 초등학교를 바탕으로 다음 5가지 부속공간 유형을 정리하고 있다. 1. 전용공간 없음. (보통 교실 자체를 다용도로 활용) 2. 공유 부속실형 3. 공유 현관형, 4. 클러스터형, 5. 복합형,
  • 89. 전용공간 없음 별도의 추가공간없이 넓은 교실을 수업 유형에 따라 변화시켜 가며 활용 유형 1(보통교실),2(부속실형) 공유 부속실형 (이동가벽 포함)  주로 같은 학년 학생을 위한 협업 공간으로 사용한다.  이웃한 두 교실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문이 있다.  이동가능한 가벽 또는 접이식 벽을 밀어서 두 개의 교실과 부속실이 연결된 대형 학습 공간으로 확장할 수 있다. 공유 부속실형 (파티션 포함)  이동가능한 파티션을 교실의 한쪽 벽체로 사용할 수 있다.  부속실을 소그룹 학습 또는 교육 계획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 다.
  • 90. 유형 3(공유 다목적실) 클러스터 내 공식 공간 (A)  여러 작은 교실과 부속 공간, 학습 거실을 한 세트의 공간으로 구성한 학습 클러스터로 구성한 다.  학습거실은 학습, 놀이, 휴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 부속 공간은 소그룹 학습이나 작업, 개인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한다. 클러스터 내 비공식 공간 (B)  학습 클러스터 내 여러 교실에 인접하여 개방된 소규모 탈주 공간으로 단순한 학습 가구(벤치, 탁자)를 배치한다.  학생들이 휴식 시간에 자유롭게 사용하는 비공식 부속 공간이다.  이용 시간표가 필요없다. 특정 교실-전용 공간 (C)  학습 클러스터 내 특정교실 전용으로 통합된 부속공간이다. 그러나, 종종 클러스터 내 타 교실 수업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 특별지도나 실험, 보조교실 공간으로 사용되지만 공간 이용 일정을 섬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고, 충돌 요소가 있다.
  • 91. 유형 4 (클러스터) 복수 소규모 부속 공간 (D)  학습 클러스터 내 곳곳에 작은 부속 공간을 곳곳에 배치하여 개인 또는 소그룹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토록 한다.  이러한 공간은 적절한 공간 이용 일정이 조정되어야 한다. 집합 지원 공간 (E)  학습 클러스터 내에 여러 지원공간을 집합시킨 부속 공간으로 이 가운데 일부를 특별실로로도 조성하며,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작업하거나 수업을 진행한다.  (기술실, 컴퓨터실, 미디어실, 언어치료실... 등등)
  • 95.
  • 97.
  • 98.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8. 전체 공간 배치 - Geschwister Scholl Stadtteilschule 독일 학교 초, 중, 고 공립학교 지역 : 함부르크, 독일 완공 : 2021 년 설계 : MGF Architects 함부르크의 게쉬비스터 숄 학군학교 Geschwister-Scholl-Stadtteilschule 는 2021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독일의 학교 건축 지침을 성실하게 따르고 있는 이곳의 학교 건축 사전기획서를 참조해볼 필요가 있다. 이 학교 역시 교실들을 크기와 규모, 기능이 상이한 여러 공간(교실, 보조교실, 공용공간, 화장실, 락커, 교사대기실, 상담실 등)들을 묶은 학습 클러스터를 기본 공간 구성 단위로 삼고 있다. 이뿐 아니라 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특기교실들도 특기교실과 공용공간, 교구재 보관실 등을 묶어서 학습 클러스터로 조성했다. 학교의 중앙 커뮤니티 공간은 현관, 다목적 홀, 식당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접이식 가변을 설치하고, 그 주위에 음악실, 행정실을 배치했다. 학교의 별도 기관인 청소년의 집 역시 가변벽이나 접이식문을 활용해서 연결하고 있다.
  • 114. 학교 공간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교훈 * Oxford 런던 학교 공간 혁신 Review 1. 교육 비전의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 어떤 유형의 학교를 조성할지 명확한 비전이 있는가? 새로운 학습 공간에서 어떤 유형의 학습을 실행하고자 하는가? 어떤 공간이 필요한가? 교사, 학생, 지역 주민과 함께 발전시키고자 하는 차별적 교육 비전이 있는가? 등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교육 비전과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초기 교육과 건축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다른 관계자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의사 소통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학교 공간 디자인 과정에서 교육 비전과 공간 조성 방향의 설정은 충분하고 인내심을 갖는 일련의 학습과 대화, 설문의 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2. 교사, 계약 주체, 건축가 사이의 디자인과 비전 공유 교사와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자 사이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각 분야 별 사고 방식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며 우선 순위와 이해도 늘 일치하지 않는다. 우선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비전을 공유해야 한다. 3. 명확한 디자인 공정과 우선 순위의 설정 설계자, 시공자 및 교사 사이의 대화는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해 공통의 기반이 되는 지식의 기초를 만드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예산이 늘 빠듯하기 때문에 모든 당사자가 설계 초기에 교육 비전에 따른 공간 구성의 우선 순위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대한 상상하고 현실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4.미래의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성과 적응성 지금 짓는 건물은 최소 30~50년 동안 이용하게 된다. 미래 사회와 교육의 요구, 그에 대응한 교육학의 변화는 현재의 이해와 지식, 경험의 범위를 벗어난다. 학교의 건물과 공간은 그러한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른 공간 변화의 우선 순위를 예측해야 한다. 학교 공간의 유연성(가변성)은 미래 학교 건축에 있어 핵심적인 사항이다. 5.다목적성 예산의 제약으로 교육학에서 요구하는 모든 공간을 조성할 수 없다. 따라서 학교 내 공간의 이용율을 검토하여 이용율, 이용시간대를 파악하고 가능하면 대부분의 공간을 다목적화해야 한다. 미래 학교 내의 모든 공간은 다양한 학습 유형과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목적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 115. 학교 공간 디자인을 위한 10가지 교훈 * Oxford 런던 학교 공간 혁신 Review 6.움직임, 흐름 및 전환, 이용 시간 학교는 바쁜 곳이다. 많은 사람들과 학생들이 이동하고 다양하게 활동한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 사람들의 흐름과 활동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각 공간의 시간 대 별 이용을 공간 구성과 배치에 반영해야 한다. 7 음향, 조명 및 환기의 영향 구상 학교의 음향 표준과 조명 및 환기 요구 사항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학생과 교사, 시설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용과 관리방법을 포함하는 대화는 전문 지식과 용어를 사용한다. 모든 당사자는 명확한 소통과 이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종종 과거의 학교에서는 음향, 조명, 환기에 대한 고려가 너무 부족했다. 미래 학교는 특히 이 분야를 세심하게 검토하고 개선해야 한다. 8. 나비 효과에 대한 경계 종종 건축적 지식이 부족한 경우 너무 늦은 시점에 제기하는 작은 변경 요구 때문에 비용이 늘고 공기가 늘어날 수 있다. 가능하면 늦은 설계 변경은 피해야 한다. 9. 새 건물 인계와 입주 완공 후 성공적인 인계와 입주 후에 새로운 학교 공간에 교사, 학생, 관리자 모두 적응해야 한다. 특히 주요 직원은 난방, 조명, 환기장치의 관리 방법을 배워야 한다. 마찬가지로 교사들은 새로운 건물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높이고, 적합한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10.계속되는 디자인 학교 공간 디자인은 완공으로 끝나지 않는다. 학교 공간 디자인은 입주 준비와 공간 적응과 최적화를 포함하는 복잡하고 반복적인 과정을 교사들에게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