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9
1
2015년 세계산학관협력총회
박한우 (영남대 교수, 한국토종국제회의 DISC 설립자,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회장, 국제
산학관협력협회 이사, 세계인터넷전문가총회 한국조직위원장, 다수의 SSCI 저널 편집/심사위원)
2015년 9월 3일 버전 No. 3
제13회 세계산학관협력총회(XIII Triple Helix Conference)가 중국 북경에서 2015년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국제산학관협력협회(International Triple Helix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융·복합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회의다. 이 총회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전
개되는 대학-기업-정부의 상호 협력을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에 대해서 학술적, 정책적, 실
무적, 비즈니스 관점에서 폭넓게 접근한다. 지금까지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 북미, 유럽의 선진국
뿐만 아니라 러시아,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의 개발도상국에서도 개최되었다. 올해는 중국 칭화대
(Tsinghua University)의 경제관리학원에서 개최되어 중국의 경제 성장 배경 뒤에 숨겨진 대학과
정부의 역할 및 산학 협력의 방향과 전망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개회사에서 Qing-Rui Xu(중국 저장대, Zhejiang University)는 중국의 산·학·관 네트워킹의 발전과
정에 대해서 소개했다. 1970~80년대에 중국의 연구 개발 능력은 정부출연기관인 중국과학원(CAS,
Chinese Academy of Science)과 공공 기관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94년 기술혁신프로그램
(TIP)을 제정하면서 R&D 기능이 부재한 기업들에게 기술센터 설립을 지원하고 세금을 감면해 주
는 등 강력한 국가 주도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당시에 저장대와 칭화대가 하이얼(Haier), 바오철
강(Bao Steel), 북중국제약사(Northern Pharmaceutical) 등의 기업들과 수행한 산·학·관 협력은 오늘
날 중국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현재 하
이얼은 세계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하여 글로벌 소매시장 점유율의 약 1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
며, 산학 협력 부문에서는 중국국립자연과학재단(NSFC, 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의
설립과 같은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중국의 산·학·관 협력은 1970년대에서 1990년 이전까지는
단일 요인 추동형 이노베이션, 1990년대는 포트폴리오 이노베이션, 2000년대는 총체적 이노베이션
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만 국제산학관협력협회의 Henry Etzkowitz(미국 산학관협력연구소) 회장은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과 한국 등 중진국의 선진국 따라가기 즉 캐치 업(Catch-up) 정책은 더 이상 효과적이
지 않다고 경고했다. 사실 우리는 지난 수십 년 동안에 빠르게 성장한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의 경
제발전이 이제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천연 자원과 저임금에 기초한 산업
시대 캐치 업 정책의 마지막이 다가온 것이다. 기업의 R&D와 투자를 견인하는 정부 지원과 순차
적 이노베이션 정책인 국가혁신시스템(NIS, National Innovation System)이라는 엔진이 동력을 잃
2
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해결책으로써 산·학·관 협력 패러다임의 근본적 수정을 요구했다. 1930년
대 대공황 시기에는 비즈니스가 정치행정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쳤고, 국가 정책이 산업의 활성화
에 기여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지금의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물리적 기반 조성을 지원하는 성장
모델은 이제는 버려야 할 유산에 불과하다. 즉 산업 시대의 물리적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는 지
적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적용할 패러다임의 변화만이 선진국, 중진국,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추구해야 할 사명인 것이다. 지금 산·학·관 협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은 “시민 주도형 이노베이션” 모델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의된 법안 71은 시민 기업가정신
(Civic Entrepreneurship)의 좋은 사례이다: 환자권익보호단체, 대학 연구자, 벤처투자자 등이 연합
하여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연구를 위한 캘리포니아재생의학연구소(CIRM, 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를 결성하였다. 이 연구소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자가재생(Self-Renewing)”
을 연구하고 있다. 이제는 이처럼 경계선을 강조하는 과거의 분절적 모델에서 경계 공간을 활용
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즉, 이제는 대학이 지닌 다양한 원시(raw)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
여 비선형적 이노베이션과 거버넌스 공유에 기초한 트리플 네트워킹 체제를 만들어야 하는 시기
가 도래하였다. 대학-기업-정부가 서로 제도적 공간을 교차하는 하이브리드 산·학·관 협력으로 나
아가야 한다.
Debra Amidon(미국 엔토베이션 컨설팅, Entovation International)도 Etzkowitz의 의견에 동의하면
서, 하이브리드형 산·학·관 협력만이 엔토베이션(Entovation: Enterprise + Innovation, 기업과 이노
베이션의 결합)을 낳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녀는 오늘날 산·학·관 협력의 단계가 1단계 기술 이
전, 2단계 기술 교환, 3단계 지식 교환, 4단계 기술/지식 관리, 5단계 지식/이노베이션이 서로 혼재
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산·학·관 협력에 있어서 눈이 뒤집힐 정도로 큰 칼레이도스코픽
(Kaleidoscopic) 변화를 기대하기 위해서 북미와 유럽에서 채택한 전략적 기획 방법론인 “트리플
(경제-사회-인프라) 지식 렌즈 기법”의 도입과 “구획적 사고”(Zone Thinking)를 제안했다.
Navi Radjou(미국 실리콘밸리 자문위원)는 자신의 저서 “프루걸 이노베이션”(Frugal Innovation)에
서 “시장에 출시되는 신제품의 약 85퍼센트가 실패하는 현실에서, 기업이 엄청난 규모의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던졌다. 기업들은 이제 전통적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산·학·
관 이노베이션을 고안해야 한다. “프루걸 이노베이션”의 핵심은 한마디로 “Do more and better
with less”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족한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달성하고 더 잘하는 방법
을 찾자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산·학·관 협력은 “개발-생산-소비”의 선형적 경제모델에 따라 맞추
어져 있어서 프루걸 이노베이션이 지향하는 순환적 경제혁신에 맞지 않는다.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도 순환적 산·학·관 협력을 통해서 국제적으로 매년 미화 1조 달러를 절약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니레버(Unilever)의 CEO인 Paul Polman은 프루걸 이노베이션을 통해서
3
2020년 기준으로 회사 수입을 2배로 높이면서, 환경 비용의 50퍼센트를 절감시킬 수 있다고 하였
다. 이외에도 여러 대기업들이 프루걸 이노베이션을 채택하고 있다. 2011년에 “프루걸 엔지니어링
(Frugal engineering)” 방법을 처음 도입한 르노-닛산(Renault-Nissan) 그룹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저렴한 자동차를 생산하면서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펩시(Pepsi)는 프루걸 비즈니
스 모델을 통해서 “고정 자본 투자(CAPEX: Capital expenditure)”와 “운영 비용(OPEX: Operating
expense)”에서 50퍼센트를 절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것은 생산 과정의 많은 부분에서 오픈
소스 산·학·관 협력 모델을 적용하여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실행했기 때문에 가능
했다. 나아가 북미와 유럽의 소비자들은 “가치 지향적(Value Oriented)”이기 때문에 프루걸 비즈니
스는 기업의 브랜드 제고와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기업에만 해당
되는 것이 아니다. 개발도상국에서 미국의 정부 및 연구 중심 대학처럼 우주탐험 프로젝트를 추
진하는 것은 엄청나게 큰 비용이 소요 된다. 따라서 프루걸 사이언스를 통해서 경제적이면서도
성공적으로 R&D를 수행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인도와 한국에서는 경제적 자원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반면에 풍부한 양질의 노동력은 큰 기회를 제공한다. 프루걸 사이언스는 비
단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북미의 유수한 대학도 산·학·관 협력에 프루
걸 이노베이션을 접목하면서 새로운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 미국 스탠포드대학에서 과도하지 않
고 적정한 수준의 비용(등록금)으로 기업가적 디자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과, Manu Prakash(미
국 스탠퍼드대)가 테드(TED) 강연에서 제안한 50센트짜리 종이 현미경 “폴드스코프(Foldscope)”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다른 분야에서도 프루걸 산·학·관 협력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헬스케어
(Healthcare) 분야의 “셀스코프(CellScope)”, 농업 분야의 “지스라이브(gThrive)”, 컴퓨팅 분야의 “커
놀(Qarno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미국에서 떠오르고 있는 “메이커스(Makers)” 운동도 산·학·관
협력에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다. 지난 2014년 6월 18일에 미국 백악관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메이커 페어(Maker Faire)”를 개최했다. 메이커 페어는 과학, 흥미, 창조, 가족의 여러 요소가 함께
어울려진 신 개념의 행사이다. 이 자리에서 오바마는 3D-프린터와 테크숍(Tech Shop)과 함께하는,
오늘날의 “스스로 하라(DIY, Do It Yourself)” 운동이 내일의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시대의 밑거름이 될 것임을 역설했다. 다시 말해서 3D-프린터 등의 새로운 도구로 무장한 시민주
도 산·학·관 협력은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픈소스 하드웨어의 확산과 관련해 놓쳐서는 안되는 움직임이 있다. ‘메이커 페어’(Maker Faire)의
등장이다. ‘메이커 페어’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의 오프라인 교류 장터다. 제작자들이 모여 각자 제
작한 제품을 전시하고 지식을 나누며 의견을 교환한다. 최근 들어 참가지나 참가자수도 빠른 속
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경우 2009년 참가자 8만3000명 규모였던 메이커 페어는 2014년에
는 78만1000명으로 5년 만에 무려 10배나 성장했다. 개최횟수도 3회에서 지금은 135회로 증가했
4
다. 지난 5월 중국에서 개최된 ‘메이크 페어 선전‘에서는 오픈소스 전기자동차 플랫폼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공개된 설계도를 따라하면 평범한 시민도 불과 2시간만에 조립할 수 있다.
출처: 이성규 (2015). 오픈소스 하드웨어, DIY 2.0을 꿈꾸다.ICT인문사회융합동향, 2015년 2호.
http://www.bloter.net/archives/233783
산·학·관 소통의 전문가이자 국제산학관협력협회의 부회장인 Loet Leydesdorff(네델란드 암스테르
담대)는 하이브리드와 프루걸 모델이 공허한 주장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정보 엔트로피
(Information Entropy)”의 생성 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시장(産), 과학
(學), 정책(官) 영역은 서로 상호 작용하면서 중복성(엔트로피)을 만든다. 산·학·관의 서로 다른 관
점과 이해가 낳은 엔트로피가 지식 기반 사회를 조성하여, 지역과 국가 경제의 부흥에 기여하는
정도는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중소 기업은 대기업에 비교해서 단 방향(one-
way)적 기술 지원이나 생산 공정의 개선보다는 자원에 대한 접근 제한성의 해제에서 더 많은 혜
택을 받을 수 있다. 즉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정보가 주변에 있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집적 경제
의 관점에서 보면, 산·학·관 협력은 물리적으로 같은 장소에 근접해야 효과가 있다. 산업단지 클러
스터 조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관계 경제에서는 지리적 공간의 근접도 중요하지만 실질
적인 연결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이론적 입장에 상관없이 Leydesdorff는 그 효과를 산·학·관 협력
이 작동하는 정보 즉 엔트로피의 생성과 선택 메커니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집적 효과는 제
조업과 같은 중간 정도의 기술 수준과 비교적 클러스터 규모가 큰 경우에 적합하다. 관계 효과는
5
개인 간 네트워킹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규모가 작거나 하이테크 지식 집약적인 산·학·관 협력
에서 큰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 산·학·관이 서로 연결되는 범위와 깊이는 엔트로피를 차감하거나
부가할 수 있다. 이것은 Claude Shannon의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Niklas Luhmann의 사회
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진화 경제학(Evolutionary economics)에서도 학술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산·학·관 협력은 서로가 비교적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유 방임형 수평 모델”이나, 협
력에서 발생한 엔트로피를 지식으로 성문화하면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만
드는 “수직적 분화 모델” 가운데 한 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Bruno Latour(영국 런던정치경제대)
에 따르면, 수직적 모델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산·학·관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상호 섹션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산·학·관 협력에서 부정적 엔트로피가 우세하면 이를 조정하는 균형
(trade-off) 옵션을 만드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산·학·관 네트워크 공간에서 시너지를 높일 수 있
는 “의미”의 공유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 표준화와 대학-기업 간 인력 및 커리큘럼
교류를 위한 호환성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정부의 역할은 여러 옵션들 가
운데 중복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제도적 관행을 만드는 것이다. 산·학·관 협력의 승패는 서로 다른
의사소통 코드들 사이의 원활한 전환뿐만 아니라 관계 유형들 사이의 상관성에 달려있기 때문이
다. 수평과 수직 역학 관계에서 나오는 엔트로피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 섹터가 지닌 지식과 기술
로부터 발행하는 경제적 효과를 최대화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하이브리드, 프루걸, 공유 순환형
산·학·관 협력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기술성장과 경제성장은 일본과 유사한 길을 걸어왔다. 이와 같이 한국의 산·학·
관 협력 추세도 일본과 닳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 구체적인 과정에는 차이가 있다. 메이지 혁명
이후에 일본은 대학이 주도하여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대학이 지닌
우수한 기술과 지식이 대기업과 중소 기업으로 비교적 고르게 확산되었다. 반면 한국은 한국전자
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한 정부 출연 연구소들이 신기술의 도입과 이전에 선봉장 역할을 했다.
그런데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대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과도한 혜택을 받으면서 문어발처럼
확장하여 재벌화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2단계 산·학·관 협력은 기업의 R&D 역량이 높아지면서 주
도권이 대학에서 산업계로 넘어갔다. 특히 일본 기업은 신제품의 개발뿐만 아니라 운영 프로세스
를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이 시기에 한국은 서구화 및 민주화와 함께 미국 유학생들이 대거
귀국하게 되었고 대학에 자리잡은 이러한 고급인력들이 주축이 되어 산·학·관 협력의 최전방에 나
서게 되었다. 그렇지만 교수 임용과 승진 과정에서 해외학술지 논문 게재와 계량적 평가에 경도
되어 대학, 기업, 정부의 관계는 점점 소원해지게 되었다. 1990년을 전후해서 일본의 거품 경제가
사라지면서 일본 정부는 직접 산·학·관 협력의 조정에 나서고 있다. 2003년에 제정된 “부처간 전략
적 혁신 추진 프로그램(Cross-Ministerial Strategic Innovation Promotion Program, SIP)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지난 10년 동안의 산·학·관 협력 성과의 결과로 노벨상 수상과 경
6
제 회생이 뒤따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현재 한국의 산·학·관 협력도 고교생 등 학령인
구의 감소에 따른 대학구조 개편과 경쟁력 향상을 명분으로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산·학·관 협력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대학은 저마다 국
책 사업의 수주를 위해서 파트너 기업 찾기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개별 대학
과 개별 기업과의 경쟁적 산학 협력으로 이어져 (Leydesdorff의 지적대로 과도한 엔트로피가 발생)
시장-과학-규제의 트리플 생태계 조성을 오히려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나라처럼 정부
주도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과 비교해도 차이가 있다. 예컨대, 중국은 정부에서 산·학·관 협
력의 토털(Total) 에코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개별 대학들이 지적 재산권 이슈보다는 기술 서비스
이전에 더 초점을 맞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나아가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위협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는 선전(ShenZhen)과 광둥(GwangDung) 지역에 대학들이 연구소를 설립하여 산·학·관 협력
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산·학·관 협력이 특정한 기술 및 지역에 배태되었을 때만, 경계를 초월한 상생적 네트워크 팽창
과 오픈 이노베이션이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대학이 현실로부터 고립된 상아탑으로 남아
있고, 기업이 연구실 문을 잠그고 폐쇄된 이노베이션에 집중한다고 해서,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에
반드시 저해되는 것은 아니다. Wim Vanhaverbeke(벨기에 하셀트대, Hasselt University)는 기조 강
연에서 “토털 이노베이션 에코 시스템 역시 실패율이 높은데 어떻게 성공으로 이끌 것인가?”라고
질문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합창하면서 실제로
“오픈 비즈니스(Open Business)”에는 무관심했다고 지적했다. 산·학·관 협력의 성공은 각 섹터 내
부의 구성원 간 이노베이션의 가속화와 이노베이션의 외부적 이용을 위해서 시장을 확대하는 것
이 관건이다. 예컨대 제약 회사에서는 R&D 과정과 관련 없는 영업 직원을 오픈 이노베이션에 포
함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기술 회사에서는 엔지니어가 아닌 행정 사무원은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
다. 미시적인 경제적 영향이 증폭되어 나비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네트워크화된 사회에서 이러
한 의사결정들은 경계해야 한다. 산·학·관 협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섹터의 가치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그 가치의 일부분과 관련된 누구든지 에코 시스템으로 초대되어야 한다. 오픈 비즈니스
모델은 그 동안 관심 대상이 아니었던 영역으로 산·학·관의 협력 자원들을 개방하는 것이다. 예컨
대, 애플(Apple Inc.)의 아이폰(iPhone)은 산·학·관 협력의 개방된 이노베이션 환경의 결과물이 아니
라, 수십 년에 걸쳐 온 기업의 열정과 장인 정신의 결과였다. 아이폰은 이렇듯 폐쇄적 이노베이션
의 결과였지만 아이튠즈(iTunes) 앱스토어(App Store)를 중심축으로 한 오픈 비즈니스 모델이 있었
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일본의 소니(Sony)와 미국의 아마존(Amazon)이 비슷한 시기에 전자책 리
더(E-book reader)를 출시하고 유사한 에코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아마존의 “킨들(Kindle)”이 대중
적으로 성공한 것도 오픈 비즈니스 모델 덕택이다. 출판사의 입장에서 보면, 소니의 전자책 리더
기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의존 없이 작동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여러 유형의 법 제도적,
7
기술적 우려감이 있었다. 반면에 아마존의 “킨들”은 출판사가 접근할 수 있는 개방된 플랫폼의 속
성을 지니고 있었기에 출판사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였다. .
2014년에 발표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의 글로벌
이노베이션 지표에 따르면,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고 중국과 러시아가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브
라질과 인도가 10위권에 포함되어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국가들은 세계산학관협력총
회(Triple Helix Conference)를 개최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정한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것만으
로 산·학·관 협력 패러다임의 전환이나 경제발전을 한 순간에 견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우
리나라는 창조경제를 말하고 있지만 유연성이 크게 부족하고, 산학관 협력을 활성화 시킨다고 말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이노베이션 펀더메털인 창조경제혁신센터도 재벌과 대기업 중심에서 벗어
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선진국에서 활성화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개념도 우리나라에서
는 2015년 9월에 한국민간투자학회가 창립되면서 최근에 소개되었다. 민간 투자는 오로지 정부의
재정 투자만으로는 효율적인 경제운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을 의
미한다 (조용만, 2015). 트리플헬릭스의 중요한 2개 축인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
내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관련 학회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산학관이 민
자사업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렇지만 민간 투자가 경제학이나
행정학의 분과 분야로 협소하게 다루어진다면, 글로벌 패러다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새로운 산학관 협력 모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
선하고 공유적 생태계 조성과 오픈 비즈니스 협력 등을 논의할 수 있는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소
중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사실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국제 행사 유치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
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대한민국에서 관심을 두고 우선적으로 유치
해야 할 행사임에는 틀림이 없다.
 이 글의 초안을 읽고 좋은 논평을 해 주신 노광택, 류기찬, 이상열, 류동규, 전채남, 윤호영,
정우성 님에게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이성규 (2015). 오픈소스 하드웨어, DIY 2.0을 꿈꾸다.ICT인문사회융합동향, 2015년 2호.
http://www.bloter.net/archives/233783
조용만 (2015. 9. 3.). SOC 투자여건과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방안. 제4회 대경 건설부동산 포럼. 발
표자료. 대구: 호텔 인터불고 만촌.
8
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소개 KBS 라디오 인터뷰 http://bit.ly/N7euKn
 박한우 (2012, 9 월호). 트리플헬릭스(Triple-Helix)와 산학융합. Busan HRD Review
(부산인적자원개발원 정책동향지). Vol. 5, No. 3. pp. 51-
60. http://www.bhrdi.or.kr/03_dataroom/list_6_6.jsp
 트리플헬릭스 관련 영남일보 특집보도
"대학·정부硏·기업 아우르는 지식생산체제 활성화"영남일보 > 문화 | 2012-07-03 00:00
포스텍 등 연구중심대학 기업·정부와 어우러져 어떤 역할 해야되나영남일보 > 문화 | 2012-04-03 00:00
“국제공항서 가까운 도시, 특허 출원 많다”, 암스테르담大 교수, 亞트리플헬릭스학회 세미나서 강연 영남일보
2013-03-28
“다양한 사회기관 협력해 대안 에너지 시대 앞당긴다” 영남일보. 2013-06-13.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월례세미나 영남일보 2013-07-08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부경대서 월례세미나 영남일보. 2013-08-16
세계트리플헬릭스학회, 산·학·관 협력총회 참가, 영남일보, 2015-08-27
 트리플헬릭스 관련 칼럼 및 보도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하계 세미나 16~17일 개최 - 빅데이터, 소셜네트워크, 디지털콘텐츠 분야 전문가
들 한자리에, 매일경제, 2015년 7월 14일.
미래 예측 ‘대구RAHS’ 만들자, 대구신문, 2015년 1월 21일. 전채남 대표 칼럼.
경북특화형 오픈데이터센터와 트리플헬릭스 경제, 영남일보, 2014년 8월 21일.
9
'산·학·연 융합 해답' 대구서 찾는다, '삼중나선'창시 도르프 교수 亞트리플헬릭스 학회서 강연, 매일신문, 2013년
03월 25일
트리플헬릭스 창시자 ‘레이데스도르프’ 대구 방문, 대구MBC 뉴스투데이, 2013년 3월 27일.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춘계세미나, 매일신문, 2013년 3월 28일.
[시론] 추락하는 국가경쟁력 올리려면 한국경제신문 2013.10.03 A27면
"대학 교육·연구 역량 끌어올리고 산업체·정부와 역동적 협력 통해 지식기반 창조경제를 추동해
야" 박한우 영남대 교수·언론정보학·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장
 매일신문, [박한우의 소통비타민], 2012년 3월부터 게재 http://me2.do/xn3PdlDL
창조경제와 '모드 3' 대학의 출현 2013년 4월 27일
창조경제론, 트리플헬릭스 효과로 실현 2013년 1월 5일

Contenu connexe

Plus de Han Woo PARK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Han Woo PARK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Han Woo PARK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Han Woo PARK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Han Woo PARK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Han Woo PARK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Han Woo PARK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Han Woo PARK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Han Woo PARK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Han Woo PARK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Han Woo PARK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Han Woo PARK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Han Woo PARK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Han Woo PARK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Han Woo PARK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Han Woo PARK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Han Woo PARK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Han Woo PARK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Han Woo PARK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Han Woo PARK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Han Woo PARK
 

Plus de Han Woo PARK (20)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
문화기술은 영생하는 도깨비인가 대경Ict산업협회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
SNS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와 통계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
4차산업혁명과 여론조사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대구문화 진단과 방향
 

2015년 세계산학관협력총회와 트리플헬릭스 이야기

  • 1. 1 2015년 세계산학관협력총회 박한우 (영남대 교수, 한국토종국제회의 DISC 설립자,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회장, 국제 산학관협력협회 이사, 세계인터넷전문가총회 한국조직위원장, 다수의 SSCI 저널 편집/심사위원) 2015년 9월 3일 버전 No. 3 제13회 세계산학관협력총회(XIII Triple Helix Conference)가 중국 북경에서 2015년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되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국제산학관협력협회(International Triple Helix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융·복합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회의다. 이 총회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전 개되는 대학-기업-정부의 상호 협력을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에 대해서 학술적, 정책적, 실 무적, 비즈니스 관점에서 폭넓게 접근한다. 지금까지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 북미, 유럽의 선진국 뿐만 아니라 러시아,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의 개발도상국에서도 개최되었다. 올해는 중국 칭화대 (Tsinghua University)의 경제관리학원에서 개최되어 중국의 경제 성장 배경 뒤에 숨겨진 대학과 정부의 역할 및 산학 협력의 방향과 전망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개회사에서 Qing-Rui Xu(중국 저장대, Zhejiang University)는 중국의 산·학·관 네트워킹의 발전과 정에 대해서 소개했다. 1970~80년대에 중국의 연구 개발 능력은 정부출연기관인 중국과학원(CAS, Chinese Academy of Science)과 공공 기관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94년 기술혁신프로그램 (TIP)을 제정하면서 R&D 기능이 부재한 기업들에게 기술센터 설립을 지원하고 세금을 감면해 주 는 등 강력한 국가 주도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당시에 저장대와 칭화대가 하이얼(Haier), 바오철 강(Bao Steel), 북중국제약사(Northern Pharmaceutical) 등의 기업들과 수행한 산·학·관 협력은 오늘 날 중국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현재 하 이얼은 세계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하여 글로벌 소매시장 점유율의 약 1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 며, 산학 협력 부문에서는 중국국립자연과학재단(NSFC, 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의 설립과 같은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중국의 산·학·관 협력은 1970년대에서 1990년 이전까지는 단일 요인 추동형 이노베이션, 1990년대는 포트폴리오 이노베이션, 2000년대는 총체적 이노베이션 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만 국제산학관협력협회의 Henry Etzkowitz(미국 산학관협력연구소) 회장은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과 한국 등 중진국의 선진국 따라가기 즉 캐치 업(Catch-up) 정책은 더 이상 효과적이 지 않다고 경고했다. 사실 우리는 지난 수십 년 동안에 빠르게 성장한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의 경 제발전이 이제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천연 자원과 저임금에 기초한 산업 시대 캐치 업 정책의 마지막이 다가온 것이다. 기업의 R&D와 투자를 견인하는 정부 지원과 순차 적 이노베이션 정책인 국가혁신시스템(NIS, National Innovation System)이라는 엔진이 동력을 잃
  • 2. 2 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해결책으로써 산·학·관 협력 패러다임의 근본적 수정을 요구했다. 1930년 대 대공황 시기에는 비즈니스가 정치행정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쳤고, 국가 정책이 산업의 활성화 에 기여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지금의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물리적 기반 조성을 지원하는 성장 모델은 이제는 버려야 할 유산에 불과하다. 즉 산업 시대의 물리적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는 지 적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 적용할 패러다임의 변화만이 선진국, 중진국,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추구해야 할 사명인 것이다. 지금 산·학·관 협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은 “시민 주도형 이노베이션” 모델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의된 법안 71은 시민 기업가정신 (Civic Entrepreneurship)의 좋은 사례이다: 환자권익보호단체, 대학 연구자, 벤처투자자 등이 연합 하여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연구를 위한 캘리포니아재생의학연구소(CIRM, 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를 결성하였다. 이 연구소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자가재생(Self-Renewing)” 을 연구하고 있다. 이제는 이처럼 경계선을 강조하는 과거의 분절적 모델에서 경계 공간을 활용 하는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즉, 이제는 대학이 지닌 다양한 원시(raw)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 여 비선형적 이노베이션과 거버넌스 공유에 기초한 트리플 네트워킹 체제를 만들어야 하는 시기 가 도래하였다. 대학-기업-정부가 서로 제도적 공간을 교차하는 하이브리드 산·학·관 협력으로 나 아가야 한다. Debra Amidon(미국 엔토베이션 컨설팅, Entovation International)도 Etzkowitz의 의견에 동의하면 서, 하이브리드형 산·학·관 협력만이 엔토베이션(Entovation: Enterprise + Innovation, 기업과 이노 베이션의 결합)을 낳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녀는 오늘날 산·학·관 협력의 단계가 1단계 기술 이 전, 2단계 기술 교환, 3단계 지식 교환, 4단계 기술/지식 관리, 5단계 지식/이노베이션이 서로 혼재 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산·학·관 협력에 있어서 눈이 뒤집힐 정도로 큰 칼레이도스코픽 (Kaleidoscopic) 변화를 기대하기 위해서 북미와 유럽에서 채택한 전략적 기획 방법론인 “트리플 (경제-사회-인프라) 지식 렌즈 기법”의 도입과 “구획적 사고”(Zone Thinking)를 제안했다. Navi Radjou(미국 실리콘밸리 자문위원)는 자신의 저서 “프루걸 이노베이션”(Frugal Innovation)에 서 “시장에 출시되는 신제품의 약 85퍼센트가 실패하는 현실에서, 기업이 엄청난 규모의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던졌다. 기업들은 이제 전통적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산·학· 관 이노베이션을 고안해야 한다. “프루걸 이노베이션”의 핵심은 한마디로 “Do more and better with less”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족한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달성하고 더 잘하는 방법 을 찾자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산·학·관 협력은 “개발-생산-소비”의 선형적 경제모델에 따라 맞추 어져 있어서 프루걸 이노베이션이 지향하는 순환적 경제혁신에 맞지 않는다.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도 순환적 산·학·관 협력을 통해서 국제적으로 매년 미화 1조 달러를 절약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니레버(Unilever)의 CEO인 Paul Polman은 프루걸 이노베이션을 통해서
  • 3. 3 2020년 기준으로 회사 수입을 2배로 높이면서, 환경 비용의 50퍼센트를 절감시킬 수 있다고 하였 다. 이외에도 여러 대기업들이 프루걸 이노베이션을 채택하고 있다. 2011년에 “프루걸 엔지니어링 (Frugal engineering)” 방법을 처음 도입한 르노-닛산(Renault-Nissan) 그룹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저렴한 자동차를 생산하면서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펩시(Pepsi)는 프루걸 비즈니 스 모델을 통해서 “고정 자본 투자(CAPEX: Capital expenditure)”와 “운영 비용(OPEX: Operating expense)”에서 50퍼센트를 절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것은 생산 과정의 많은 부분에서 오픈 소스 산·학·관 협력 모델을 적용하여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실행했기 때문에 가능 했다. 나아가 북미와 유럽의 소비자들은 “가치 지향적(Value Oriented)”이기 때문에 프루걸 비즈니 스는 기업의 브랜드 제고와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기업에만 해당 되는 것이 아니다. 개발도상국에서 미국의 정부 및 연구 중심 대학처럼 우주탐험 프로젝트를 추 진하는 것은 엄청나게 큰 비용이 소요 된다. 따라서 프루걸 사이언스를 통해서 경제적이면서도 성공적으로 R&D를 수행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인도와 한국에서는 경제적 자원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지만, 반면에 풍부한 양질의 노동력은 큰 기회를 제공한다. 프루걸 사이언스는 비 단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북미의 유수한 대학도 산·학·관 협력에 프루 걸 이노베이션을 접목하면서 새로운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 미국 스탠포드대학에서 과도하지 않 고 적정한 수준의 비용(등록금)으로 기업가적 디자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과, Manu Prakash(미 국 스탠퍼드대)가 테드(TED) 강연에서 제안한 50센트짜리 종이 현미경 “폴드스코프(Foldscope)”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다른 분야에서도 프루걸 산·학·관 협력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헬스케어 (Healthcare) 분야의 “셀스코프(CellScope)”, 농업 분야의 “지스라이브(gThrive)”, 컴퓨팅 분야의 “커 놀(Qarno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미국에서 떠오르고 있는 “메이커스(Makers)” 운동도 산·학·관 협력에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다. 지난 2014년 6월 18일에 미국 백악관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메이커 페어(Maker Faire)”를 개최했다. 메이커 페어는 과학, 흥미, 창조, 가족의 여러 요소가 함께 어울려진 신 개념의 행사이다. 이 자리에서 오바마는 3D-프린터와 테크숍(Tech Shop)과 함께하는, 오늘날의 “스스로 하라(DIY, Do It Yourself)” 운동이 내일의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시대의 밑거름이 될 것임을 역설했다. 다시 말해서 3D-프린터 등의 새로운 도구로 무장한 시민주 도 산·학·관 협력은 미국 제조업의 부흥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픈소스 하드웨어의 확산과 관련해 놓쳐서는 안되는 움직임이 있다. ‘메이커 페어’(Maker Faire)의 등장이다. ‘메이커 페어’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의 오프라인 교류 장터다. 제작자들이 모여 각자 제 작한 제품을 전시하고 지식을 나누며 의견을 교환한다. 최근 들어 참가지나 참가자수도 빠른 속 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경우 2009년 참가자 8만3000명 규모였던 메이커 페어는 2014년에 는 78만1000명으로 5년 만에 무려 10배나 성장했다. 개최횟수도 3회에서 지금은 135회로 증가했
  • 4. 4 다. 지난 5월 중국에서 개최된 ‘메이크 페어 선전‘에서는 오픈소스 전기자동차 플랫폼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공개된 설계도를 따라하면 평범한 시민도 불과 2시간만에 조립할 수 있다. 출처: 이성규 (2015). 오픈소스 하드웨어, DIY 2.0을 꿈꾸다.ICT인문사회융합동향, 2015년 2호. http://www.bloter.net/archives/233783 산·학·관 소통의 전문가이자 국제산학관협력협회의 부회장인 Loet Leydesdorff(네델란드 암스테르 담대)는 하이브리드와 프루걸 모델이 공허한 주장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정보 엔트로피 (Information Entropy)”의 생성 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시장(産), 과학 (學), 정책(官) 영역은 서로 상호 작용하면서 중복성(엔트로피)을 만든다. 산·학·관의 서로 다른 관 점과 이해가 낳은 엔트로피가 지식 기반 사회를 조성하여, 지역과 국가 경제의 부흥에 기여하는 정도는 항상 동일하지는 않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중소 기업은 대기업에 비교해서 단 방향(one- way)적 기술 지원이나 생산 공정의 개선보다는 자원에 대한 접근 제한성의 해제에서 더 많은 혜 택을 받을 수 있다. 즉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정보가 주변에 있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집적 경제 의 관점에서 보면, 산·학·관 협력은 물리적으로 같은 장소에 근접해야 효과가 있다. 산업단지 클러 스터 조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관계 경제에서는 지리적 공간의 근접도 중요하지만 실질 적인 연결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이론적 입장에 상관없이 Leydesdorff는 그 효과를 산·학·관 협력 이 작동하는 정보 즉 엔트로피의 생성과 선택 메커니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집적 효과는 제 조업과 같은 중간 정도의 기술 수준과 비교적 클러스터 규모가 큰 경우에 적합하다. 관계 효과는
  • 5. 5 개인 간 네트워킹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규모가 작거나 하이테크 지식 집약적인 산·학·관 협력 에서 큰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 산·학·관이 서로 연결되는 범위와 깊이는 엔트로피를 차감하거나 부가할 수 있다. 이것은 Claude Shannon의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Niklas Luhmann의 사회 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진화 경제학(Evolutionary economics)에서도 학술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산·학·관 협력은 서로가 비교적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자유 방임형 수평 모델”이나, 협 력에서 발생한 엔트로피를 지식으로 성문화하면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만 드는 “수직적 분화 모델” 가운데 한 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Bruno Latour(영국 런던정치경제대) 에 따르면, 수직적 모델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산·학·관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상호 섹션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산·학·관 협력에서 부정적 엔트로피가 우세하면 이를 조정하는 균형 (trade-off) 옵션을 만드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산·학·관 네트워크 공간에서 시너지를 높일 수 있 는 “의미”의 공유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 표준화와 대학-기업 간 인력 및 커리큘럼 교류를 위한 호환성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정부의 역할은 여러 옵션들 가 운데 중복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제도적 관행을 만드는 것이다. 산·학·관 협력의 승패는 서로 다른 의사소통 코드들 사이의 원활한 전환뿐만 아니라 관계 유형들 사이의 상관성에 달려있기 때문이 다. 수평과 수직 역학 관계에서 나오는 엔트로피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 섹터가 지닌 지식과 기술 로부터 발행하는 경제적 효과를 최대화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하이브리드, 프루걸, 공유 순환형 산·학·관 협력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기술성장과 경제성장은 일본과 유사한 길을 걸어왔다. 이와 같이 한국의 산·학· 관 협력 추세도 일본과 닳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 구체적인 과정에는 차이가 있다. 메이지 혁명 이후에 일본은 대학이 주도하여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대학이 지닌 우수한 기술과 지식이 대기업과 중소 기업으로 비교적 고르게 확산되었다. 반면 한국은 한국전자 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한 정부 출연 연구소들이 신기술의 도입과 이전에 선봉장 역할을 했다. 그런데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에서는 대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과도한 혜택을 받으면서 문어발처럼 확장하여 재벌화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2단계 산·학·관 협력은 기업의 R&D 역량이 높아지면서 주 도권이 대학에서 산업계로 넘어갔다. 특히 일본 기업은 신제품의 개발뿐만 아니라 운영 프로세스 를 개선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이 시기에 한국은 서구화 및 민주화와 함께 미국 유학생들이 대거 귀국하게 되었고 대학에 자리잡은 이러한 고급인력들이 주축이 되어 산·학·관 협력의 최전방에 나 서게 되었다. 그렇지만 교수 임용과 승진 과정에서 해외학술지 논문 게재와 계량적 평가에 경도 되어 대학, 기업, 정부의 관계는 점점 소원해지게 되었다. 1990년을 전후해서 일본의 거품 경제가 사라지면서 일본 정부는 직접 산·학·관 협력의 조정에 나서고 있다. 2003년에 제정된 “부처간 전략 적 혁신 추진 프로그램(Cross-Ministerial Strategic Innovation Promotion Program, SIP)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지난 10년 동안의 산·학·관 협력 성과의 결과로 노벨상 수상과 경
  • 6. 6 제 회생이 뒤따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현재 한국의 산·학·관 협력도 고교생 등 학령인 구의 감소에 따른 대학구조 개편과 경쟁력 향상을 명분으로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산·학·관 협력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대학은 저마다 국 책 사업의 수주를 위해서 파트너 기업 찾기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개별 대학 과 개별 기업과의 경쟁적 산학 협력으로 이어져 (Leydesdorff의 지적대로 과도한 엔트로피가 발생) 시장-과학-규제의 트리플 생태계 조성을 오히려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우리나라처럼 정부 주도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과 비교해도 차이가 있다. 예컨대, 중국은 정부에서 산·학·관 협 력의 토털(Total) 에코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개별 대학들이 지적 재산권 이슈보다는 기술 서비스 이전에 더 초점을 맞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나아가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위협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는 선전(ShenZhen)과 광둥(GwangDung) 지역에 대학들이 연구소를 설립하여 산·학·관 협력 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산·학·관 협력이 특정한 기술 및 지역에 배태되었을 때만, 경계를 초월한 상생적 네트워크 팽창 과 오픈 이노베이션이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대학이 현실로부터 고립된 상아탑으로 남아 있고, 기업이 연구실 문을 잠그고 폐쇄된 이노베이션에 집중한다고 해서,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에 반드시 저해되는 것은 아니다. Wim Vanhaverbeke(벨기에 하셀트대, Hasselt University)는 기조 강 연에서 “토털 이노베이션 에코 시스템 역시 실패율이 높은데 어떻게 성공으로 이끌 것인가?”라고 질문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합창하면서 실제로 “오픈 비즈니스(Open Business)”에는 무관심했다고 지적했다. 산·학·관 협력의 성공은 각 섹터 내 부의 구성원 간 이노베이션의 가속화와 이노베이션의 외부적 이용을 위해서 시장을 확대하는 것 이 관건이다. 예컨대 제약 회사에서는 R&D 과정과 관련 없는 영업 직원을 오픈 이노베이션에 포 함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기술 회사에서는 엔지니어가 아닌 행정 사무원은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 다. 미시적인 경제적 영향이 증폭되어 나비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네트워크화된 사회에서 이러 한 의사결정들은 경계해야 한다. 산·학·관 협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섹터의 가치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그 가치의 일부분과 관련된 누구든지 에코 시스템으로 초대되어야 한다. 오픈 비즈니스 모델은 그 동안 관심 대상이 아니었던 영역으로 산·학·관의 협력 자원들을 개방하는 것이다. 예컨 대, 애플(Apple Inc.)의 아이폰(iPhone)은 산·학·관 협력의 개방된 이노베이션 환경의 결과물이 아니 라, 수십 년에 걸쳐 온 기업의 열정과 장인 정신의 결과였다. 아이폰은 이렇듯 폐쇄적 이노베이션 의 결과였지만 아이튠즈(iTunes) 앱스토어(App Store)를 중심축으로 한 오픈 비즈니스 모델이 있었 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일본의 소니(Sony)와 미국의 아마존(Amazon)이 비슷한 시기에 전자책 리 더(E-book reader)를 출시하고 유사한 에코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아마존의 “킨들(Kindle)”이 대중 적으로 성공한 것도 오픈 비즈니스 모델 덕택이다. 출판사의 입장에서 보면, 소니의 전자책 리더 기는 외부 콘텐츠에 대한 의존 없이 작동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여러 유형의 법 제도적,
  • 7. 7 기술적 우려감이 있었다. 반면에 아마존의 “킨들”은 출판사가 접근할 수 있는 개방된 플랫폼의 속 성을 지니고 있었기에 출판사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였다. . 2014년에 발표된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의 글로벌 이노베이션 지표에 따르면,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고 중국과 러시아가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브 라질과 인도가 10위권에 포함되어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국가들은 세계산학관협력총 회(Triple Helix Conference)를 개최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정한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것만으 로 산·학·관 협력 패러다임의 전환이나 경제발전을 한 순간에 견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우 리나라는 창조경제를 말하고 있지만 유연성이 크게 부족하고, 산학관 협력을 활성화 시킨다고 말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이노베이션 펀더메털인 창조경제혁신센터도 재벌과 대기업 중심에서 벗어 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선진국에서 활성화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개념도 우리나라에서 는 2015년 9월에 한국민간투자학회가 창립되면서 최근에 소개되었다. 민간 투자는 오로지 정부의 재정 투자만으로는 효율적인 경제운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을 의 미한다 (조용만, 2015). 트리플헬릭스의 중요한 2개 축인 정부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 내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관련 학회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산학관이 민 자사업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렇지만 민간 투자가 경제학이나 행정학의 분과 분야로 협소하게 다루어진다면, 글로벌 패러다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새로운 산학관 협력 모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 선하고 공유적 생태계 조성과 오픈 비즈니스 협력 등을 논의할 수 있는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소 중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사실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국제 행사 유치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 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산학관협력총회는 대한민국에서 관심을 두고 우선적으로 유치 해야 할 행사임에는 틀림이 없다.  이 글의 초안을 읽고 좋은 논평을 해 주신 노광택, 류기찬, 이상열, 류동규, 전채남, 윤호영, 정우성 님에게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이성규 (2015). 오픈소스 하드웨어, DIY 2.0을 꿈꾸다.ICT인문사회융합동향, 2015년 2호. http://www.bloter.net/archives/233783 조용만 (2015. 9. 3.). SOC 투자여건과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방안. 제4회 대경 건설부동산 포럼. 발 표자료. 대구: 호텔 인터불고 만촌.
  • 8. 8 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소개 KBS 라디오 인터뷰 http://bit.ly/N7euKn  박한우 (2012, 9 월호). 트리플헬릭스(Triple-Helix)와 산학융합. Busan HRD Review (부산인적자원개발원 정책동향지). Vol. 5, No. 3. pp. 51- 60. http://www.bhrdi.or.kr/03_dataroom/list_6_6.jsp  트리플헬릭스 관련 영남일보 특집보도 "대학·정부硏·기업 아우르는 지식생산체제 활성화"영남일보 > 문화 | 2012-07-03 00:00 포스텍 등 연구중심대학 기업·정부와 어우러져 어떤 역할 해야되나영남일보 > 문화 | 2012-04-03 00:00 “국제공항서 가까운 도시, 특허 출원 많다”, 암스테르담大 교수, 亞트리플헬릭스학회 세미나서 강연 영남일보 2013-03-28 “다양한 사회기관 협력해 대안 에너지 시대 앞당긴다” 영남일보. 2013-06-13.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월례세미나 영남일보 2013-07-08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부경대서 월례세미나 영남일보. 2013-08-16 세계트리플헬릭스학회, 산·학·관 협력총회 참가, 영남일보, 2015-08-27  트리플헬릭스 관련 칼럼 및 보도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하계 세미나 16~17일 개최 - 빅데이터, 소셜네트워크, 디지털콘텐츠 분야 전문가 들 한자리에, 매일경제, 2015년 7월 14일. 미래 예측 ‘대구RAHS’ 만들자, 대구신문, 2015년 1월 21일. 전채남 대표 칼럼. 경북특화형 오픈데이터센터와 트리플헬릭스 경제, 영남일보, 2014년 8월 21일.
  • 9. 9 '산·학·연 융합 해답' 대구서 찾는다, '삼중나선'창시 도르프 교수 亞트리플헬릭스 학회서 강연, 매일신문, 2013년 03월 25일 트리플헬릭스 창시자 ‘레이데스도르프’ 대구 방문, 대구MBC 뉴스투데이, 2013년 3월 27일.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 춘계세미나, 매일신문, 2013년 3월 28일. [시론] 추락하는 국가경쟁력 올리려면 한국경제신문 2013.10.03 A27면 "대학 교육·연구 역량 끌어올리고 산업체·정부와 역동적 협력 통해 지식기반 창조경제를 추동해 야" 박한우 영남대 교수·언론정보학·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장  매일신문, [박한우의 소통비타민], 2012년 3월부터 게재 http://me2.do/xn3PdlDL 창조경제와 '모드 3' 대학의 출현 2013년 4월 27일 창조경제론, 트리플헬릭스 효과로 실현 2013년 1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