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17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III.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IV.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Ⅴ. 시사점 및 제언
작성	 유지연 / Private Curve 기획실장 (yoojiyun@hotmail.com)
	 이익주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ijlee@kocca.kr)
2014-03호(통권 80호)2014. 7. 15.
코카포커스
요약
1.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 영국은 타 유럽 국가들보다 빠르게 디지털화에 적응해나가며, 다양한 음악 온라인 서비스 운영
- 2012년 디지털 앨범 판매 수입의 피지컬 앨범 판매 수입 추월
● ‌스트리밍 서비스와 앨범 다운로드의 강세
- 영국 음악 산업 중 2013년 스트리밍 판매 수입의 전년대비 41% 증가
- 영국 음악 산업 총 수입의 약 50%를 디지털 음악 수입이 차지하며 음악 산업의 중심 개편
- 2013년 디지털 앨범 다운로드 판매수입은 전년대비 19.5% 증가
● ‌앨범 포맷 형태 와 음악 출판 산업계 수익채널의 다변화
- 피지컬 포맷의 수입은 감소(6.4%)하였으나, 피지컬 포맷 중 LP 판매수입 증가
- 음악 출판업의 다른 소스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 채널 다변화 도모
● ‌라이브 음악 시장 강세
- 라이브 음악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불법 음악 유통으로 발생한 수입 감소 타격 상쇄
- 2009년부터 라이브 음악 시장의 가치가 레코딩 산업을 넘어서는 추이 보임
- 라이브 티켓의 온라인 판매가 약 90%를 차지
- 주요 도시 기반의 지역 라이브 밴드 구성 및 공연 활성
- 올림픽과 과잉공급으로 인한 페스티벌 수요 감소에 대해 관객 지향적인 새로운 형태의 페스티벌 추구
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 비즈니스 모델 구조
- ‌영국 음악 산업 구조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복잡히 연결되어있으나,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업으로 구분
3.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  UK Music이 구성되며 라이브 음악 시장 조직 통합 시도
-  2차 티켓 판매에 관한 규제 정책 논의
-  라이브 공연법 2012 시행과 추가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
● ‌디지털 음악 정책
- ‌BPI, IFPI, NFIB 및 런던 경찰과의 협업을 통한 불법사이트 결제진행 금지방침과 광고업자들의 불법사
이트에서의 홍보 금지 협조
0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정부의 강한 입장 및 개입 필요 여론 제기
● ‌디지털 경제법 2010
- 온라인 저작권 침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적 제재에 대한 기준 수립
- 개인의 인터넷 상에서의 자유 침해 등에 대한 반대 논란 직면
4.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급변하는 음악 산업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된 접근 필요
● ‌라이브 산업 육성·강화 방안 필요
- 공연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창작자와 뮤지션들이 창조경제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음악 산업의 대표자 역할 및 리서치 강화
- 정치적·경제적으로 음악 산업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통합 조직의 효율적 구성 및 운영 필요
- 음악 산업의 잠재적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과 타 산업과 연계된 리서치 필요
0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I. 연구배경 및 목적
○ 음악 산업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에 따라 가장 큰 영향 받음
- ‌콘텐츠 산업 중 음악 산업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디지털화에 따라 생산, 유통, 소비에 걸쳐 큰 변화
를 겪고 있음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 음악 산업은 전통적으로 앨범에 다수의 곡을 담은 음반이라는 상품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달
* 규모의 경제에 따라 싱글앨범의 판매 수익은 상대적으로 낮음
- 디지털화에 따른 유통·복제비용 감소로, 규모의 경제에 대한 장벽이 낮아지며 싱글앨범의 수요 증가
- 이로 인해 기존 음악 산업에서 지배적이었던 앨범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약화
○ 음악 산업 생태계 변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지속적인 불법 음원 유통과의 문제에 직면
- ‌이를 통한 저작권 침해 이슈 증가는 기존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큰 위협인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
델의 창출 요구
○ 음악 산업의 구조적 특징
- ‌디지털화로 인해 유통, 프로모션의 다양한 아웃소싱 기회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메이저 음반사 소유 유
통 시스템에 의존하는 수직화 구조
* ‌전 세계 음반 회사는 기존 5개에서 Sony Music의 BMG 인수 및 영국 음반사 EMI의 Universal Music Group 합병1)
으로 3개
메이저사(Universal Music Group, SonyBMG, Warner Music Group) 중심 구조
- ‌음악 산업은 광고수입에 비해 주로 음반 판매 수입과 로열티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이나, 온라인 음악 서비
스의 등장으로 산업 내 광고 수입 비중 점차 증가
○ 음악 산업 유통구조 변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손쉬운 공유·소비를 통해 소비자들의 향유 혜택 증가
- 인터넷 음악 공유를 통해 아티스트들의 음악 판매 및 더 넓은 관객층에 대한 라이브 공연 어필 기회 증가
- ‌유튜브 및 SNS등의 활성화로 인해 개인 아티스트의 홍보 기회는 확대되었으나, 성공한 대부분의 아티스트
들은 여전히 메이저 레코드 회사 및 전문 투자 지원 기관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상황
○ 음악 산업 소비 패턴 변화
- ‌메이저 음반사 중심의 기존 모델에서 보다 더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시장이 공개되는 등, 음악 산업의 디지털
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는 전통적인 방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플레이어들에게 영향을 미침
1) 레코드 사업 부분과 음악 배급 부분이 UMG에 인수, 퍼블리싱 부분은 Sony/ATV Music Publishing이 인수
0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디바이스 확대로 인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이용 증가는 오프라인 음반 매장의 존재 위협
- ‌SNS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공유하는 수단 제공 및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와 연동되어 음악 마케팅과 판매
에 대한 중요성 증가
○ ‌이러한 국내외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및 비즈니스 모델 변화에 대해, 영국 음악 산업의 변화 및 정책 현황 분석
을 통해 국내 음악 산업의 발전 방안 모색 도모
Ⅱ.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반 업계 현황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 ‌영국은 유럽 국가 중 디지털화에 빠르게 적응해가며, 70개 이상의 합법 음악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등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임
- ‌레코드 레이블의 경우도 디지털 유통 채널을 통해 온라인 및 모바일 음악 서비스를 유럽 다른 나라들보다 빠
르게 시작
- ‌디지털 앨범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에 따라, 2012년 디지털 음악 판매 수입이 처음으로 일반 판매
수입 추월
영국 음악시장 포맷별 판매 수입: 2012-2013 단위: 천£표 1
2012 2013 증감률(%)
피지컬 포맷
싱글 2,148 2,254 -6.8
앨범 366,740 344,182 -6.2
뮤직 비디오 21,213 18,924 -10.8
합계 390,371 365,360 -6.4
온라인
싱글 127,365 121,716 -4.4
앨범 134,266 160,468 +19.5
뮤직 비디오 2,198 1,604 -27.0
합계 263,829 283,788 +7.8
스트리밍
서브스크립션 39,836 54,684 +37.3
광고 기반 14,526 19,042 +31.1
클라우드 - 3,014 -                
합계 54,362 76,740 +41.2
* 출처: Tim Ingham(19 February, 2014). 재구성
0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강세
- 영국 음악 산업의 2013년 스트리밍 판매 수입(7,674만 파운드)이 전년(5,436만 파운드)대비 41% 증가
- ‌디지털 음악 수입이 영국 음반 산업 총수입의 50%를 차지하여 디지털 음악을 중심으로 음악 산업이 개편되
고 있는 상황
- ‌디지털 싱글앨범 판매는 전년대비 4.4% 감소하였으나, 서브스크립션 스트리밍(subscription streaming)2)
서비스는 37.3% 증가
- 2013년 스트리밍된 수(74억 건)는 2012년(37억 건) 대비 2배 증가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대로 인해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체 영국 음악 산
업 성장 견인(전년대비 1.9% 성장)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수입액 약 7,674만 파운드
- ‌독립된 Official Streaming Chart의 등장(2012년 5월)은 디지털 스트리밍 포맷에 대한 레코드 비즈니스와
소비자 모두의 관심이 증대한 결과
○ 앨범 다운로드의 강세
- 앨범 다운로드 판매수입은 전년(13,427만 파운드) 대비 약 19.5% 증가
* ‌2013년 바스틸(Bastille)과 같은 신인 영국 아티스트의 디지털 앨범 판매(Title: Bad Blood)와 디지털 편집 앨범, 디지털로만 발매
된 비욘세의 ‘프리미엄’ 에디션 앨범의 판매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
○ 앨범 포맷 형태의 변화
- 2013년 CD와 싱글, 뮤직 비디오 판매 수입은 36,540만파운드로 예상치보다 낮은 6.4% 감소한 것으로 조사
- 영국 음반 산업 수입 중 피지컬 포맷3)
은 아직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여전히 중요한 포맷
- ‌LP 판매수익이 전년(2012년) 대비 49% 증가세를 보이며 1,210만 파운드의 수입 발생 및 2013년 총 앨범 수
입의 2.4% 차지
- LP 판매는 199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판매량을 보이며 2013년에는 전년 대비 판매수량 100.8% 증가
LP 판매량 변화: 2009-2013표 2
포맷 2009 2010 2011 2012 2013
2013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LP 0.219m 0.234m 0.337m 0.389m 0.781m 0.8% +100.8%
* 출처: Stuart Dredge(2013). 재구성
□ 음악 출판 산업계 현황
○ 수익 채널의 다변화
- ‌초기 음반판매량 감소 후 음악 출판4)
은 음반판매에 큰 영향을 받았지만, 기존 전통적인 모델 이외의 다른 소
2) ‌매월 잡지나 신문을 구독하듯, 소비자들이 온라인 스트리밍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해 소비자가 신청을 하면 업체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신
개념 유통 서비스
3) Physical Format : 음반 등의 제품을 디지털이 아닌 CD, LP 등의 물체에 담아내는 형태
4) 대부분의 메이저 레이블은 출판(Publishing) 부문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전체 수익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음
0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스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 채널의 다변화 도모
- 음악 출판사들은 불법 침해로 큰 타격을 받았던 음반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음
- ‌음악 출판업은 사업 성격상 아티스트 개발과 음반 제작, 마케팅, 광고, 유통 등과 관련된 비용이 발생하지 않
아 음반사보다 높은 투자 수익률 창출
- ‌복제권 로열티 손실이 피지컬 앨범 판매 감소로 인해 발생하였으나, 디지털 다운로드 판매 증가로 인해 안정
적 상태 유지
- 음반 판매 수입이 가장 많고, 음악 출판 수입5)
이 그 뒤를 이으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 ‌특히, 유럽 국가들의 공연 저작권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영국의 경우 가장 높은 성장세를6)
나타내고 있음
2006-2010 유럽 주요 8개국 공연 저작료 성장세	 (단위 US$ million)그림 1
120
100
80
60
40
20
0
UK
Germany
France
Spain
Italy
Netherlands
Switzerland
Belgium
2006 2010
* 출처: IFPI (2011).
□ 라이브 음악 산업계 현황
- ‌라이브 음악 산업계는 라이브 음악 성장으로 인해, 음악 산업이 불법 음악 유통으로 발생한 음반 수입 감소
타격 상쇄
- ‌디지털화로 소비자들이 새로운 아티스트를 찾아내는 작업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콘서트 산업에서도 더 많은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기회 마련
○ 영국 라이브 시장의 강세
- ‌영국은 2009년 라이브 음악 시장 가치가 처음으로 음반 산업을 넘어서는 추이를 보이며 라이브 음악 시장의
강세를 보임
5) 라이브 공연, 라디오 방송, 영화 TV삽입곡 등에 대해 징수
6) [그림1]에 따르면, 2006년과 2010년 사이 18%가 증가하여, $11,110만의 수입 발생
0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영국 라이브와 음반 시장 가치 비교	 (단위:million £)그림 2
1500
1200
900
600
300
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Primary Tickets (PRS for Music)
Recorded Music Trade Value (BPI)
* 출처: Greg Parmley(July, 2011).
○ 라이브 티켓 시장 동향
- 영국에서 티켓 판매 점유율은 Ticketmaster가 가장 높으며, 그 뒤를 See Ticket이 차지
- ‌이외 The Ticket Factory, Ticketweb, WeGotTickets, Eventin UK 등의 업체가 나머지 시장에서 경쟁하
고 있는 상황
- 영국 티켓의 90% 이상이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며, 평균 티켓가격은 37파운드
○ 지역 라이브 공연의 활성화
- ‌라이브 밴드들이 맨체스터, 글래스고, 리버풀과 같은 도시를 주요 거점으로 구성해가며, 각 지역별로 독특한
라이브 공연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
* 글래스고의 경우, 보통 1일 15회 이상의 밴드 공연 개최
   - 지역별 라이브 음악시장 문화는 각각의 음악색이 다양하고 독특한 특징을 보임
* ‌같은 영국 내에서도 볼튼과 글래스고 사이에 라이브 음악 성격이 다르며, 런던의 음악이 스코틀랜드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정도로 지역 간의 차이가 큰 것이 특징
○ 페스티벌 인기 상승
- ‌단독 콘서트의 계속된 티켓 가격 상승에 따라, 상대적으로 한 번에 많은 라인업을 볼 수 있는 페스티벌에 대
한 수요 증가
* ‌영국의 대표 페스티벌인 ‘Leeds Festival’과 스코틀랜드의 ‘T in the Park’의 경우 페스티벌 기간 동안 1일에 약 5∼10만 명의 관
객이 참여했고, ‘Glastonbury Festival’(영국 최대규모)의 경우 1일 약 10∼14만 명의 관객이 참여하는 것으로 집계
- 약 650만 명의 관광객이 2013년 영국의 페스티벌 및 공연 참관을 위해 약 220,000만 파운드 소비
08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2013년 한 해 콘서트 참가자들은 평균 602파운드를 소비하고 페스티벌은 평균 910파운드를 소비한 것으로 집계되며, 일반
관광객의 1인당 지출 600파운드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페스티벌의 위기와 대응
- ‌영국 페스티벌 시장은 지난 몇 년간 유사한 라인업으로 구성된 페스티벌 기획으로 차별성이 부족하여 음악
소비자들의 불만족을 가져왔고, 또한 이러한 페스티벌의 과잉 공급으로 인한 시장의 포화를 낳음
* ‌최근 몇 년 동안 지속된 경제 침체 위기와 대안 이벤트(ex. 2012년 런던 올림픽) 등으로 페스티벌의 수요 감소
- 결과적으로, 2012년 대형 페스티벌인 Sonicsphere UK을 포함한 많은 페스티벌이 취소됨
* ‌The Big Chill, GoGo Festival, LadyRock Festival, Pride House, Trowbridge Festival, Kelvedon Free Music Festival, Harvest at
Jimmy’s, Titanic Lockdown 등이 취소
- ‌2012 런던 올림픽의 영향으로 무료 라이브 이벤트가 증가하여, 페스티벌 중심지인 영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
로 한 유료 콘서트 시장의 관객확보 난항
- ‌특히, 올림픽 여파 이외에 콘서트 시장의 포화, 아티스트 개런티의 상승 및 새로운 대형 헤드라이너
(Headliner, 주연)의 부재 등이 시장 침체 원인으로 지적
- ‌이에, 대형 페스티벌 브랜드들은 행사를 진행할 새로운 지역을 개발하여 성장을 모색하고 있으며, 틈새 페스
티벌이나 지역 부티크 페스티벌 등 관객과 가까이 호흡할 수 있는 형태의 페스티벌 등을 지속적으로 추구
Ⅲ.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의 음악 산업 관련 주요 플레이어
○ 구조
- ‌영국 음악 산업의 구조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복잡한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나,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
업으로 구분
* 음반 산업의 핵심 활동으로 음반 상품(피지컬과 디지털) 유통과 저작권 관리 포함
- 음악 산업 구조를 이루는 각 플레이어들이 서로 얽혀 비즈니스 관계 형성
* ‌음악 출판사는 음반 판매와 라이브 공연에서 지불되는 로열티에서 가장 큰 수입을 얻고, 라이브 공연은 음반 판매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각 요소들이 상호 연결
○ PRS for Music(The Performing Right Society for Music, 영국 음악 저작권 협회)
- 음악 창작자와 음악 출판업자를 위해 공연과 방송 사용을 위한 실연권 관리
- 음반 복제권을 관리하는 MCPS(Mechanical-Copyright Protection Society)를 하부조직으로 설치
- 주요 업무는 회원들의 실연권(Performing Rights)7)
과 복제권(Mechanical Rights)8)
에 관한 로열티 징수 및
7) ‌실연권 (performing rights) : 음악 저작물을 상연 및 연주하는 것과 관련된 권리로 TV와 라디오에서와 같은 방송에서의 사용, 펍, 클럽, 호텔, 공연장
등에서의 공연,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 TV와 라디오에서의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해외 사용 등 포함
8) ‌복제권(mechanical rights) : 기계적으로 제작된 음악 저작물에 대한 저작자의 권리로 TV와 라디오에서 음악 저작물 사용, 오디오와 비디오 쥬크박
스 사용, 컴퓨터 게임, 영화와 비디오, 도서관에서의 사용, DVD 제작, 레코드 회사로부터 음악 상품 판매, 해외 사용 등 포함
09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징수된 사용료의 분배
○ 음악 출판업자(Music Publisher)
- 저작자로부터 음악저작물 관리를 양도받아 곡을 관리하는 업무 담당
- ‌PRS for Music으로부터 징수되는 실연권(performing rights)과 복제권(mechanical rights)에 관련된 로열
티 이외에, 악보, 연극이나 오페라 등의 사용, 영화나 비디오 등의 음악 사용으로부터 수익 생성
○ 창작자(송라이터, 작가 등)
- 음악 창작 작업을 위해, 음악 산업 관련 다양한 단체와 관계를 맺고 회계사 및 변호사와 업무협력 진행
* ‌뮤지션 조합(Musician’s Union), PCAM(The Society for Producers and Composers of Applied Music, 실용음악 제작자·작곡가
협회), BASCA(the British Academy of Songwriters, Composers  Authors, 영국 송라이터, 작곡가 및 작가 협회) 등과 협력
- 실연권, 복제권 등의 수익 외에 PRS Foundation(PRS for Music Foundation)의 지원금 획득 가능
○ UK Music
- ‌영국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업의 공동 이익을 대변해주는 단체로, 다양한 음악 산업 관련 플레이어를
포함
* ‌MU(Musician’s Union), PRS for Music, BASCA, MPA(the Music Publishers Association, 음악출판협회), MMF(the Music
Managers Forum, 음악매니저포럼), PPL(Phonographic Performance Limited, 레코드 공연 협회), BPI(British Recorded Music
Industry), AIM(the Association of Independent Music, 독립음악협회) 등이 UK Music의 멤버
- ‌정치적 로비 활동 참여, 시장 트렌드 파악 및 다양한 리서치 수행을 통해, 음악 산업과 관련된 정책 수립 및
멤버들에게 이로운 새 법안 마련 등 추구
- ‌정부 차원에서 음악과 음악 저작권의 가치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추진 및 국가 경제 차원에
서의 음악 가치와 영국 창조 산업에서의 주요 역할에 대해 정치·경제 리더들을 대상으로 어필하는 역할
수행
* ‌전국 투어가 영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 Live Music Act 시행으로 전망되는 라이브 음악 시장의 효과, 음악 유산 투어리즘의 잠
재적 경제 효과 에 관한 리포트 등 발간
○ PPL(Phonographic Performance Limited, 영국 녹음물 관련 징수기관)
- 사운드 레코딩과 뮤직 비디오의 사용 허가 및 로열티 징수 담당
- ‌음악 콘텐츠의 해외 및 각종 온/오프라인 경로를 통한 사용에 대해 로열티를 징수하여 연주자와 레코드 회사
에게 사용료 분배
○ 레코드 회사
- BPI 및 AIM 소속으로 도·소매업자와 편집 앨범, 해외 사용 등으로부터 수입을 얻어 연주자에게 분배
○ 연주자
- ‌ISM(Incorporated Society of Musicians–연주자, 작곡자, 교사를 위한 단체) 소속으로 매니저, 에이전트,
회계사, 변호사, 콘서트 프로모터, 프로듀서와 비즈니스적으로 연결
10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영국 음악 산업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표 3
주요 범주 구성 요소
창작자 (Content Creators)
뮤지션, 가수
작곡가, 송라이터, 작사가
음반 (Recorded Music)
레코드 레이블
음악 출판사
레코딩 스튜디오·스태프
온라인 음악 유통사업자
음반 디자인·제작
라이브 음악(Live Music)
음악 페스티벌 기획자
콘서트 프로모터
에이전시
프로덕션
티켓 에이전시
공연장
음악 출판 (Music Publishing) 음악 출판업
음악 단체 (Music Societies)
저작권 징수 단체
음악 매니저
음악 무역 단체
음악 프로듀싱 (Music Producing)
음악 프로듀서
레코딩 스튜디오와 스태프
* 출처: The UK Music (2013). 재구성
○ 광의의 음악 산업 범주 및 요소
- 음악관련 제조·유통업, 음악 방송, 교육 및 각종 서비스업 등
* ‌음악 소매(디지털·오프라인 매장), 디지털 음악 서비스, 음악 방송, 뮤직 비디오 제작, 음악 장비와 음악 소프트웨어 제조업, 악
기 판매, 음악 잡지, 상품화 제작 및 판매·유통, 아티스트 변호사·회계사, 음악 교사, 경호, 케이터링(catering) 및 각종 라이브
공연과 관련된 서비스업 등 포함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분 및 역할표 4
구분 역할
음악 제작 작곡가, 송라이터 (song-writer), 뮤지션과 같은 음악 창작자의 작업
음악 출판사
(Music Publisher)
작곡자나 송라이터를 대신해 음반, 라이브 공연, 클럽이나 매장, 영화, 게임, 라디오, TV 등과 같은 곳에 음악사
용을 허락 해주는 역할
레코드 회사
(Record Label)
•‌음반, 뮤직 비디오의 마케팅과 관련된 브랜드를 관리. 주로 생산, 제작, 유통, 마케팅, 프로모션과 음반과 뮤
직비디오의 저작권 관리 등을 담당.
   * ‌AR(artist  repertoire)은 아티스트 스카우트를 담당하는데,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계약을 체결, 유지
하도록 하는 역할 수행
•‌음반사는 음반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때로는 음반 제작을 위해 아티스트에게 선급금을 지급하기도 하며 유
통, 마케팅과 프로모션 비용을 부담
   * ‌아티스트는 음악 판매(CD 또는 디지털 음원)로부터 수익 일부를 받고, 복제권(mechanical rights)이라 불리
는 음반에 담긴 곡 사용으로 생기는 로열티와 다른 수입원(ex. 머천다이징 등)으로부터 수입 생성
•‌음악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다양한 채널을 가지고 있는데, CD와 같은 피지컬 포맷의 경우 기존의 유통 채널
인 음반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유통되며, 라디오, TV, 영화, 라이브 공연, 비디오 플랫폼, 온라인 스토어,
음악 서비스 등을 통해서도 유통됨
* 출처 : Nicola Searle (2011). 재구성
1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 변경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 ‌뮤지션들의 전통적 수익원이던 라이브 공연의 수익이 음반 판매 수입으로 넘어가며, 음악 출판사(Music
Publisher)와 레코드 회사에 의존해 수입을 얻고, 음악 출판사와 레코드 회사가 음악 산업의 주요한 게이트
키퍼(Gate Keeper)로서의 역할 수행
- ‌디지털 음악 상품의 등장으로 중간적 역할 없이 온라인을 통해 직접 음악 콘텐츠의 유통/판매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유통 방식과 창작기회 확대
* ‌음악 산업 디지털화에 따라 대형 음반사의 경험·노하우·네트워크 등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음악시장에서의 영향력은 유지
되나, 새로운 유통업자들의 등장으로 게이트 키퍼로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약화 및 유통시장 구조 재편9)
○ 저작권 단체의 역할 강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회원들을 대신하여 저작권 징수 단체의 음반 사용 및 불법복제 등에 대한 저
작권 관리 기능 확대
- ‌저작권자를 대표하고 저작물 사용 허가를 담당하며, 저작권 요율 협상, 로열티 징수 및 분배에 대한 업무 등
영역 확대
○ 공연 지원 플레이어의 역할 강화
- ‌라이브 공연 확대를 위해, 부킹 에이전트(Booking Agent)10)
, 콘서트 프로모터(Concert Promoter)11)
및 공
연장 운영자의 플레이어로서 수행하는 역할 강화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그림 3
* 출처: PRS for Music (2012C). 재구성
9) ‌기존 레코드 회사가 직접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음악 서비스 공급자와의 조인트 벤처 등을 통해 온라인 음악 사업을 시작하는 등 레코드 회
사와 인터넷/모바일 플랫폼 기반 음악 서비스 사업자와의 거래 증가
10) 공연자와 공연자의 공연을 조율
11) 공연의 마케팅, 티켓 판매 및 지역 공연장 운영자와의 조율 담당
1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Ⅳ.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 라이브 공연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화
- 2011년 UK Music이 구성되며 라이브 음악 시장 조직 통합 시도
- 영국 음악 산업의 성숙화 단계에 대한 인식 상승 및 라이브 음악 산업의 중요성 인식
* ‌영국 정부의 라이브 음악 산업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2013년 음악 투어리즘이 영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리포트 발표
○ 티켓 재판매(Ticket Resale) 규제 정책
- ‌새로운 온라인 경제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한 비즈니스 모델인 2차 티켓 판매(Secondary Ticketing)12)
에 관
한 논쟁 확대
- ‌실제, 2011∼12년 사이 영국 내 2백만 명 이상이 온라인 티켓 판매 사기로 864,000만 파운드 규모의 피해
발생
- ‌이러한 2차 티켓 판매 옹호하는 측에서는 2차 티켓 판매는 자유 시장 경제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오히려
안전한 2차 티켓 구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온라인 티켓 사기나 안전하지 않는 암표 구매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충성스러운 음악팬들을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
* ‌하지만, 2차 티켓 판매는 아무런 투자 없이 단순히 올라가는 티켓 가격으로부터 수익을 얻는다는 점에서 잘못이라는 지적을
당하고 있음. 특히, 유명한 공연의 경우 1차 티켓 시장에서 초기 티켓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의도적으로 희소가치를 높여 2차
티켓 판매를 조장하여 수익을 올리는 관행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
- 즉각적인 정부의 간섭은 실행 가능성이 낮으나, 정책 규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
- ‌2차 판매 부분을 컨트롤하고 판매 사기를 근절할 수 있는 정부의 규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산업계와
정책 담당자들로부터 지속 제기
-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 티켓 재판매에 대한 규제 법안이 17분 만에 통과되어 시행되었던 사례가 있어 라
이브 음악 산업도 불법 판매 근절을 위한 강력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
○ 라이브 공연법 2012(Live Music Act 2012)
- ‌모든 공연에 정부허가를 받아야하던 기존 법률을 수정·보완한 라이브 공연법 201213)
제정으로 다양한 공
연 추진
- 음악 업계에서는 다양한 분야와 커뮤니티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이 법안 시행에 기대감을 나타냄
- ‌영국은 일반적으로 작은 공연장에서 커리어를 꾸준히 쌓아온 뮤지션들이 글로벌 차원에서 성공을 거두며 미
래 뮤직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가 될 수 있는 기반을 쌓는데, 이러한 작은 규모의 공연장들에게 자유로이 라
이브 공연을 열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은 결국 영국 음악 시장을 성장시킬 수 기회가 될 것으로 인식
12) ‌일반적인 티켓 판매처인 1차 티켓 시장(primary ticketing)이 아닌 매진된 공연의 티켓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Viagogo와 Seatwave와 같은 사
이트가 대표적
13) ‌2012년 10월부터 Live Music Act 2012 시행으로 영국과 웨일즈에서 200석 규모 이하의 소규모 공연장과 펍에서 8시에서 11시까지 앰프를 사용
한 라이브 공연에 대해, 지역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게 됨. 또한 앰프를 사용하지 않는 라이브 공연은 관객 수의 제한 없이 공연이 가능
1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또한, 영국 음악 시장 신(scene)14)
에서 영국 아티스트들에게 보다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라이브 공연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가져와 지역 사회 경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
- 영국의 라이브 음악 산업은 작은 펍에서의 공연과 잘 알려지지 않은 밴드의 음악을 듣는 사람들로부터 시작
- ‌라이브 공연법 2012은 영국 음악 시장 성장의 가장 중요한 기초인 풀뿌리 음악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산업
계와 정책적 측면의 시각에서 거시적으로 영국 음악 경제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법안
- 현재 관객 제한을 늘리도록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 중(기존 2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
□ 디지털 음악 정책
○ 불법 음악 근절을 위한 노력
- ‌영국은 매달 약 7백만 명이 불법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불법 음악 유통 수
준이 높은 나라로 분류되며, 신규 온라인 음악 서비스들은 불법 사이트로 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상황
- 정부의 보다 강력한 입장과 개입 필요
•‌AudienceNet15)
조사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의 60%가 정부는 기업들이 불법 음악 유통 사이트에 광고하는
것을 막아야 하며, 불법 다운로드를 금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하여 창작 부문에 일자리를 더 보장해야한다는
의견 제시
•‌또한 61%의 응답자는 정부가 불법 다운로드와 관련된 법률에 대해 일반인들에게 교육을 보다 강화해야 한
다고 응답
- BPI는 광고업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저작권 침해 사이트에서의 홍보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권유
* 광고 산업의 Digital Trading Standards Group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진행
- ‌또한 BPI와 IFPI(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국제 음반 산업 협회)는 이미
런던 경찰과 NFIB(National Fraud Intelligence Bureau, 국가 사기정보국)와 함께 주요 신용카드 회사들
에게 불법 사이트에서의 결제진행 금지 방침
○ 디지털 경제법 2010 (Digital Economy Act, DEA 2010)16)
- ‌음반 부문에만 연간 약 20,000만 파운드의 수익 손실을 입고 있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를 줄이기 위한 목적
으로 제정
•‌이러한 막대한 손실은 음반회사가 지속적으로 신인 투자를 하고 영국 음악 산업에서 중요한 고용과 수출을
창출 할 수 있는 글로벌 차원에서의 성공 유지를 어렵게 만든다는 판단 반영
- ‌특히,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ISP)가 콘텐츠 불법 이용 등 저작권 침해 행위시 행할 수 있는 저작권 침해
공지 시스템 및 기술적 제재 기준 수립
•‌합법적 디지털 서비스 활성화와 소비자 교육도 저작권 보호에 중요한 요소이지만, 강력한 법적 저작권 강화
규정이 수반되지 않고서는 불법 다운로드 수준을 크게 낮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온
14) 영국 음악 산업의 특징은 뮤지션들이 작은 규모의 클럽이나 바에서 공연을 하며 음악 커리어를 쌓는 전통이 강함
15) 예슬 기술을 소비자의 시각에서 접근하며 분석하는 연구 조사 전문기관
16) ‌영국의 Digital Economy Act(디지털 경제법)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로 인해 영국의 창조산업이 입고 있는 막대한 피해를 줄이고 디지털과 기술 환
경의 변화로 인한 창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법률로 2010년 4월 법률로서 공포
1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해 단계적 대응(graduated response) 제안
•‌하지만, 더욱이 단계적 대응으로서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경고 서한 발송은 ISP에 의한 장기간 법적
분쟁과 불법복제 대응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재정 조달의 문제로 2015년까지 지연
- 하지만, DEA 2010은 초기부터 개인 사생활 침해와 자유 침해가 주요 이슈가 되어 반대 논란 직면
•‌계정 제한은 인터넷상에서의 자유 제한이며, 온라인 침해에 속하지 않은 사용자들조차도 부당하게 희생될
수 있다는 의견
- ‌최근 창조산업 협의회(Creative Industry Council)와 ISP는 DEA에 대해 증거가 불충분하며, 디지털 경제
법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
- ‌하지만, 온라인 저작권 침해는 창작자의 산물에 대한 지불과 창조적 투자에 대한 보상을 거부하는 것이기에,
음악 산업 이해관계자들은 지속가능한 인터넷 콘텐츠 생태계 형성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1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Ⅴ.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창조 산업이 영국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그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최근 디지털화된
음악 산업 비즈니스 환경에 적절히 대응해나갈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전략들이 업데이트 되는 중
- ‌한국의 음악 산업도 문화·경제적 차원에서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책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 특히 디지털화된 환경은 음악 산업의 영역을 재구성하고 있기에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
장 환경 변화의 현실이 정책에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라이브 산업 육성·강화 방안 필요
- ‌영국의 풀뿌리 라이브 음악 시장의 생존을 위한 정책적 지원처럼, 아티스트 개발 및 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
이 더욱 절실
- ‌라이브 공연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 축소를 통해 장기적으로 창작자와 뮤지션들이 창조 경제에 공헌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뮤지션들이 라이브 공연 기획을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고, 대중에게도 다양한 예술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따라서 한국에서도 라이브 음악 시장 육성을 위한 좀 더 세분화된, 작은 단위의 지원이 국내 음악 산업 발전
의 중요한 접근이 될 것. 성장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한국 라이브 음악 시장 육성을 위해, 국가를 대표하는
대규모의 라이브 콘서트 이외 소규모 스타트업 사업체 등에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라이브 시장에서 경
쟁력을 높여주는 방안 모색 필요
○ 음악 산업의 대표자 역할 및 리서치 강화
- ‌UK Music 등의 음악 산업 단체의 노력처럼, 음악 산업계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합적 조직의 효율적 운영
과 음악 산업과 관련된 정책적 활동 참여 필요.
* ‌시장 성장과 디지털 혁신은 다이내믹하게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전후 십 년 간 음악 산업의 변화 및 발생할 기술 혁신을 고려
해볼 때 더욱 급속하게 일어날 것이기에, 음악 산업은 좀 더 유동적으로 기술과 시장 변화에 대처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높
아지며,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지에 성공여부가 달림
- ‌또한 음악 산업의 트렌드 및 향후 잠재적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할 수 있는 리서치 데이터가 부족한 한국 음
악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기본적인 산업 데이터를 알 수 있는 통합적 데이터 발간 및 타 산업과 연계된 리서
치 등 필요
* ‌라이브 음악시장과 음악 페스티벌의 성장에도 국내 페스티벌에 관한 연구 조사가 미흡하여 이러한 리서치에 대한 관심 및 투
자가 더욱 필요
1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참고문헌
•‌ Adam Liversage(2012). Digital revenues overtake physical in UK recorded music market. BPI.
•Andra Leurdijk, et al.(2012). Statistical, Ecosystems and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Media and
Content Industries. European Commission.
•Bart Cammaerts, Robin Mansell, Bingchum Meng(2013). Copyright  Creation: A case for promoting
Inclusive Online Sharing.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BPI(2013). Digital Music Nation. https://www.bpi.co.uk.
•Greg Parmley(July 2011). Talent’s Got Britain. IQ Magazine.
•IFPI(2011).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2011. https://www.ifpi.org.
•Lynne McDowell(2014). Vinyl revival continues as LP sales reach highest level in more than a decade.
http://www.bpi.co.uk.
•Nicola Searle(2011). Changing Business Models in the Creative Industries: The cases of Television,
Computer Games and Music. The UK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RS for Music(2012 a). 2011 Financial review. https://www.prsformusic.com.
•PRS for music(2012 b). Adding up the UK music industry 2011. https://www.prsformusic.com.
•PRS for Music(2012 c). The Music Universe. https://www.prsformusic.com.
•Stuart Dredge(2013). Daft Punk and David Bowie have helped UK vinyl sales double in 2013. The
Guardian. http://www.theguardian.com.
•Tim Ingham(19th February 2014). UK record industry income retyrns to growth in 2013. Music Week.
http://www.musicweek.com.
•UK Music(May, 2014 a).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http://www.ukmusic.org.
•UK Music(May, 2014 b). Live Music Act. http://www.ukmusic.org.
•UK Music(2013 a). Music Tourism’s Contribution to the UK Economy. https://www.ukmusic.org.
•UK Music(2013 b).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core UK music industry. https://www.ukmusic.
org.
•UK Music  Musician’s Union(2013). The Rocktober Report. https://www.ukmusic.org.
•UK Praliament(October, 2012). Support for the creative economy. http://www.publications.
parliament.uk.
•Official Charts Company(http://www.officialcharts.com).
1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Contenu connexe

Tendances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Beloved Brands Inc.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Chris Perry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Beloved Brands Inc.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Malik Muhammad
 
Moods Deo Pitch deck
Moods Deo Pitch deckMoods Deo Pitch deck
Moods Deo Pitch deckWebchakna
 
Social Paid Media
Social Paid MediaSocial Paid Media
Social Paid MediaGood Rebels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Ashton Bishop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Beloved Brands Inc.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Beloved Brands Inc.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Kantar Sifo
 

Tendances (20)

Brand Positioning .pdf
Brand Positioning .pdfBrand Positioning .pdf
Brand Positioning .pdf
 
Dayfresh Tetra Launch Ideation 2016
Dayfresh Tetra Launch Ideation 2016Dayfresh Tetra Launch Ideation 2016
Dayfresh Tetra Launch Ideation 2016
 
Brand Positioning Workshop
Brand Positioning WorkshopBrand Positioning Workshop
Brand Positioning Workshop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
How to define your brand positioning
 
I am a personal brand
I am a personal brandI am a personal brand
I am a personal brand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
The 10 Types of Challenger Brands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
Free chapter from our Beloved Brands book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
Pakola milkflow launch plan for tetrapak
 
Moods Deo Pitch deck
Moods Deo Pitch deckMoods Deo Pitch deck
Moods Deo Pitch deck
 
Starbucks case study
Starbucks case studyStarbucks case study
Starbucks case study
 
Creating a beloved brand
Creating a beloved brandCreating a beloved brand
Creating a beloved brand
 
Social Paid Media
Social Paid MediaSocial Paid Media
Social Paid Media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
Brand Box 3 - Know Your Consumers - The Marketer's Ultimate Toolkit
 
Brand Plan template
Brand Plan templateBrand Plan template
Brand Plan template
 
Brand positioning
Brand positioningBrand positioning
Brand positioning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
The Return on Love (ROL) for Brands
 
Why opt for a franchise model of business?
Why opt for a franchise model of business?Why opt for a franchise model of business?
Why opt for a franchise model of business?
 
Branding - Marca
Branding - MarcaBranding - Marca
Branding - Marca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
Creating a winning Brand Positioning statement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
TNS ConversionModel seminar 9/11 - Hur ditt varumärke vinner slaget om markna...
 

En vedette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STUDIOBiG 簡報改造 Rule #1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BeN LiN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GSDI Association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Corporate360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dancoatessr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GSDI Association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angeliadarren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GSDI Association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FasterCapital
 
Apresentao Maxxximus
Apresentao MaxxximusApresentao Maxxximus
Apresentao Maxxximusluisvaz005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Daniel Muñoz
 
BNI Noord-Limburg: Printpassie
BNI Noord-Limburg: PrintpassieBNI Noord-Limburg: Printpassie
BNI Noord-Limburg: PrintpassieWim Coemans
 
Fotoos noordzeebrug 23 7-14
Fotoos noordzeebrug 23 7-14Fotoos noordzeebrug 23 7-14
Fotoos noordzeebrug 23 7-14Rob Bosma
 
My work is
My work isMy work is
My work isUMB
 

En vedette (15)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STUDIOBiG 簡報改造 Rule #1
STUDIOBiG 簡報改造 Rule #1
 
CiscoCert
CiscoCertCiscoCert
CiscoCert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
David Coleman presentation at SDI Summit 2014, Calgary, Canada, 17-19 Sept 2014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
Disrupting B2B Marketing Data Industry: Data-as-a-Service Cloud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
Create Your Site For Perfection, Nothing Less, Or You Loose!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
Roger Longhorn, GSDI Secretary-General, Infoter 5 Conference, SES Presentation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applying personal loan online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
Licensing Geospatial Data and Software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
FasterCapital Acceleration Program 3rd Round 2016
 
Apresentao Maxxximus
Apresentao MaxxximusApresentao Maxxximus
Apresentao Maxxximus
 
PRUEBA
PRUEBAPRUEBA
PRUEBA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
Reglamento inpres cirsoc_103_tomo_ii
 
BNI Noord-Limburg: Printpassie
BNI Noord-Limburg: PrintpassieBNI Noord-Limburg: Printpassie
BNI Noord-Limburg: Printpassie
 
Fotoos noordzeebrug 23 7-14
Fotoos noordzeebrug 23 7-14Fotoos noordzeebrug 23 7-14
Fotoos noordzeebrug 23 7-14
 
My work is
My work isMy work is
My work is
 

Similaire à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Digital music industry
Digital music industryDigital music industry
Digital music industryYoojoo Jang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Sophia Yeiji Shin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HwanJin 'David' Choi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Sungkyu Lee
 
Goggad 2008 y2008m10a_197
Goggad 2008 y2008m10a_197Goggad 2008 y2008m10a_197
Goggad 2008 y2008m10a_197Hyunjin Kim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VentureSquare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SeungBeom Ha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Muz Alive
 

Similaire à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8)

Digital music industry
Digital music industryDigital music industry
Digital music industry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
[Kca] 2013년 글로벌 디지털음악 시장 현황 2014.05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시장 전망 및 업계의 대응 전략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
디지털 음악의 미래에 대한 궁금증
 
Goggad 2008 y2008m10a_197
Goggad 2008 y2008m10a_197Goggad 2008 y2008m10a_197
Goggad 2008 y2008m10a_197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
Soundig_Almater_IR_SparkSquare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보고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
음악IT 스타트업의 제약조건과 디지털음악 산업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 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III.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IV.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Ⅴ. 시사점 및 제언 작성 유지연 / Private Curve 기획실장 (yoojiyun@hotmail.com) 이익주 / 정책연구실 산업정책팀 주임연구원 (ijlee@kocca.kr) 2014-03호(통권 80호)2014. 7. 15. 코카포커스
  • 2. 요약 1.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 영국은 타 유럽 국가들보다 빠르게 디지털화에 적응해나가며, 다양한 음악 온라인 서비스 운영 - 2012년 디지털 앨범 판매 수입의 피지컬 앨범 판매 수입 추월 ● ‌스트리밍 서비스와 앨범 다운로드의 강세 - 영국 음악 산업 중 2013년 스트리밍 판매 수입의 전년대비 41% 증가 - 영국 음악 산업 총 수입의 약 50%를 디지털 음악 수입이 차지하며 음악 산업의 중심 개편 - 2013년 디지털 앨범 다운로드 판매수입은 전년대비 19.5% 증가 ● ‌앨범 포맷 형태 와 음악 출판 산업계 수익채널의 다변화 - 피지컬 포맷의 수입은 감소(6.4%)하였으나, 피지컬 포맷 중 LP 판매수입 증가 - 음악 출판업의 다른 소스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 채널 다변화 도모 ● ‌라이브 음악 시장 강세 - 라이브 음악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불법 음악 유통으로 발생한 수입 감소 타격 상쇄 - 2009년부터 라이브 음악 시장의 가치가 레코딩 산업을 넘어서는 추이 보임 - 라이브 티켓의 온라인 판매가 약 90%를 차지 - 주요 도시 기반의 지역 라이브 밴드 구성 및 공연 활성 - 올림픽과 과잉공급으로 인한 페스티벌 수요 감소에 대해 관객 지향적인 새로운 형태의 페스티벌 추구 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 비즈니스 모델 구조 - ‌영국 음악 산업 구조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복잡히 연결되어있으나,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업으로 구분 3.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 UK Music이 구성되며 라이브 음악 시장 조직 통합 시도 - 2차 티켓 판매에 관한 규제 정책 논의 - 라이브 공연법 2012 시행과 추가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 ● ‌디지털 음악 정책 - ‌BPI, IFPI, NFIB 및 런던 경찰과의 협업을 통한 불법사이트 결제진행 금지방침과 광고업자들의 불법사 이트에서의 홍보 금지 협조 0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3. - 정부의 강한 입장 및 개입 필요 여론 제기 ● ‌디지털 경제법 2010 - 온라인 저작권 침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기술적 제재에 대한 기준 수립 - 개인의 인터넷 상에서의 자유 침해 등에 대한 반대 논란 직면 4.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급변하는 음악 산업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전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된 접근 필요 ● ‌라이브 산업 육성·강화 방안 필요 - 공연관련 규제 완화를 통해 창작자와 뮤지션들이 창조경제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음악 산업의 대표자 역할 및 리서치 강화 - 정치적·경제적으로 음악 산업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통합 조직의 효율적 구성 및 운영 필요 - 음악 산업의 잠재적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과 타 산업과 연계된 리서치 필요 0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4. I. 연구배경 및 목적 ○ 음악 산업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에 따라 가장 큰 영향 받음 - ‌콘텐츠 산업 중 음악 산업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디지털화에 따라 생산, 유통, 소비에 걸쳐 큰 변화 를 겪고 있음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 음악 산업은 전통적으로 앨범에 다수의 곡을 담은 음반이라는 상품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달 * 규모의 경제에 따라 싱글앨범의 판매 수익은 상대적으로 낮음 - 디지털화에 따른 유통·복제비용 감소로, 규모의 경제에 대한 장벽이 낮아지며 싱글앨범의 수요 증가 - 이로 인해 기존 음악 산업에서 지배적이었던 앨범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약화 ○ 음악 산업 생태계 변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지속적인 불법 음원 유통과의 문제에 직면 - ‌이를 통한 저작권 침해 이슈 증가는 기존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큰 위협인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 델의 창출 요구 ○ 음악 산업의 구조적 특징 - ‌디지털화로 인해 유통, 프로모션의 다양한 아웃소싱 기회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메이저 음반사 소유 유 통 시스템에 의존하는 수직화 구조 * ‌전 세계 음반 회사는 기존 5개에서 Sony Music의 BMG 인수 및 영국 음반사 EMI의 Universal Music Group 합병1) 으로 3개 메이저사(Universal Music Group, SonyBMG, Warner Music Group) 중심 구조 - ‌음악 산업은 광고수입에 비해 주로 음반 판매 수입과 로열티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이나, 온라인 음악 서비 스의 등장으로 산업 내 광고 수입 비중 점차 증가 ○ 음악 산업 유통구조 변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손쉬운 공유·소비를 통해 소비자들의 향유 혜택 증가 - 인터넷 음악 공유를 통해 아티스트들의 음악 판매 및 더 넓은 관객층에 대한 라이브 공연 어필 기회 증가 - ‌유튜브 및 SNS등의 활성화로 인해 개인 아티스트의 홍보 기회는 확대되었으나, 성공한 대부분의 아티스트 들은 여전히 메이저 레코드 회사 및 전문 투자 지원 기관을 통해 배출되고 있는 상황 ○ 음악 산업 소비 패턴 변화 - ‌메이저 음반사 중심의 기존 모델에서 보다 더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시장이 공개되는 등, 음악 산업의 디지털 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는 전통적인 방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플레이어들에게 영향을 미침 1) 레코드 사업 부분과 음악 배급 부분이 UMG에 인수, 퍼블리싱 부분은 Sony/ATV Music Publishing이 인수 0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5. - 디바이스 확대로 인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이용 증가는 오프라인 음반 매장의 존재 위협 - ‌SNS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공유하는 수단 제공 및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와 연동되어 음악 마케팅과 판매 에 대한 중요성 증가 ○ ‌이러한 국내외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및 비즈니스 모델 변화에 대해, 영국 음악 산업의 변화 및 정책 현황 분석 을 통해 국내 음악 산업의 발전 방안 모색 도모 Ⅱ. 영국 음악 산업계 현황 □ 음반 업계 현황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 - ‌영국은 유럽 국가 중 디지털화에 빠르게 적응해가며, 70개 이상의 합법 음악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등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임 - ‌레코드 레이블의 경우도 디지털 유통 채널을 통해 온라인 및 모바일 음악 서비스를 유럽 다른 나라들보다 빠 르게 시작 - ‌디지털 앨범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에 따라, 2012년 디지털 음악 판매 수입이 처음으로 일반 판매 수입 추월 영국 음악시장 포맷별 판매 수입: 2012-2013 단위: 천£표 1 2012 2013 증감률(%) 피지컬 포맷 싱글 2,148 2,254 -6.8 앨범 366,740 344,182 -6.2 뮤직 비디오 21,213 18,924 -10.8 합계 390,371 365,360 -6.4 온라인 싱글 127,365 121,716 -4.4 앨범 134,266 160,468 +19.5 뮤직 비디오 2,198 1,604 -27.0 합계 263,829 283,788 +7.8 스트리밍 서브스크립션 39,836 54,684 +37.3 광고 기반 14,526 19,042 +31.1 클라우드 - 3,014 - 합계 54,362 76,740 +41.2 * 출처: Tim Ingham(19 February, 2014). 재구성 0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6.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강세 - 영국 음악 산업의 2013년 스트리밍 판매 수입(7,674만 파운드)이 전년(5,436만 파운드)대비 41% 증가 - ‌디지털 음악 수입이 영국 음반 산업 총수입의 50%를 차지하여 디지털 음악을 중심으로 음악 산업이 개편되 고 있는 상황 - ‌디지털 싱글앨범 판매는 전년대비 4.4% 감소하였으나, 서브스크립션 스트리밍(subscription streaming)2) 서비스는 37.3% 증가 - 2013년 스트리밍된 수(74억 건)는 2012년(37억 건) 대비 2배 증가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대로 인해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체 영국 음악 산 업 성장 견인(전년대비 1.9% 성장)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수입액 약 7,674만 파운드 - ‌독립된 Official Streaming Chart의 등장(2012년 5월)은 디지털 스트리밍 포맷에 대한 레코드 비즈니스와 소비자 모두의 관심이 증대한 결과 ○ 앨범 다운로드의 강세 - 앨범 다운로드 판매수입은 전년(13,427만 파운드) 대비 약 19.5% 증가 * ‌2013년 바스틸(Bastille)과 같은 신인 영국 아티스트의 디지털 앨범 판매(Title: Bad Blood)와 디지털 편집 앨범, 디지털로만 발매 된 비욘세의 ‘프리미엄’ 에디션 앨범의 판매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 ○ 앨범 포맷 형태의 변화 - 2013년 CD와 싱글, 뮤직 비디오 판매 수입은 36,540만파운드로 예상치보다 낮은 6.4% 감소한 것으로 조사 - 영국 음반 산업 수입 중 피지컬 포맷3) 은 아직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여전히 중요한 포맷 - ‌LP 판매수익이 전년(2012년) 대비 49% 증가세를 보이며 1,210만 파운드의 수입 발생 및 2013년 총 앨범 수 입의 2.4% 차지 - LP 판매는 199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판매량을 보이며 2013년에는 전년 대비 판매수량 100.8% 증가 LP 판매량 변화: 2009-2013표 2 포맷 2009 2010 2011 2012 2013 2013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LP 0.219m 0.234m 0.337m 0.389m 0.781m 0.8% +100.8% * 출처: Stuart Dredge(2013). 재구성 □ 음악 출판 산업계 현황 ○ 수익 채널의 다변화 - ‌초기 음반판매량 감소 후 음악 출판4) 은 음반판매에 큰 영향을 받았지만, 기존 전통적인 모델 이외의 다른 소 2) ‌매월 잡지나 신문을 구독하듯, 소비자들이 온라인 스트리밍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해 소비자가 신청을 하면 업체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신 개념 유통 서비스 3) Physical Format : 음반 등의 제품을 디지털이 아닌 CD, LP 등의 물체에 담아내는 형태 4) 대부분의 메이저 레이블은 출판(Publishing) 부문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전체 수익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음 0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7. 스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 채널의 다변화 도모 - 음악 출판사들은 불법 침해로 큰 타격을 받았던 음반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음 - ‌음악 출판업은 사업 성격상 아티스트 개발과 음반 제작, 마케팅, 광고, 유통 등과 관련된 비용이 발생하지 않 아 음반사보다 높은 투자 수익률 창출 - ‌복제권 로열티 손실이 피지컬 앨범 판매 감소로 인해 발생하였으나, 디지털 다운로드 판매 증가로 인해 안정 적 상태 유지 - 음반 판매 수입이 가장 많고, 음악 출판 수입5) 이 그 뒤를 이으며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 - ‌특히, 유럽 국가들의 공연 저작권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영국의 경우 가장 높은 성장세를6) 나타내고 있음 2006-2010 유럽 주요 8개국 공연 저작료 성장세 (단위 US$ million)그림 1 120 100 80 60 40 20 0 UK Germany France Spain Italy Netherlands Switzerland Belgium 2006 2010 * 출처: IFPI (2011). □ 라이브 음악 산업계 현황 - ‌라이브 음악 산업계는 라이브 음악 성장으로 인해, 음악 산업이 불법 음악 유통으로 발생한 음반 수입 감소 타격 상쇄 - ‌디지털화로 소비자들이 새로운 아티스트를 찾아내는 작업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콘서트 산업에서도 더 많은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기회 마련 ○ 영국 라이브 시장의 강세 - ‌영국은 2009년 라이브 음악 시장 가치가 처음으로 음반 산업을 넘어서는 추이를 보이며 라이브 음악 시장의 강세를 보임 5) 라이브 공연, 라디오 방송, 영화 TV삽입곡 등에 대해 징수 6) [그림1]에 따르면, 2006년과 2010년 사이 18%가 증가하여, $11,110만의 수입 발생 0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8. 영국 라이브와 음반 시장 가치 비교 (단위:million £)그림 2 1500 1200 900 600 300 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Primary Tickets (PRS for Music) Recorded Music Trade Value (BPI) * 출처: Greg Parmley(July, 2011). ○ 라이브 티켓 시장 동향 - 영국에서 티켓 판매 점유율은 Ticketmaster가 가장 높으며, 그 뒤를 See Ticket이 차지 - ‌이외 The Ticket Factory, Ticketweb, WeGotTickets, Eventin UK 등의 업체가 나머지 시장에서 경쟁하 고 있는 상황 - 영국 티켓의 90% 이상이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며, 평균 티켓가격은 37파운드 ○ 지역 라이브 공연의 활성화 - ‌라이브 밴드들이 맨체스터, 글래스고, 리버풀과 같은 도시를 주요 거점으로 구성해가며, 각 지역별로 독특한 라이브 공연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 * 글래스고의 경우, 보통 1일 15회 이상의 밴드 공연 개최 - 지역별 라이브 음악시장 문화는 각각의 음악색이 다양하고 독특한 특징을 보임 * ‌같은 영국 내에서도 볼튼과 글래스고 사이에 라이브 음악 성격이 다르며, 런던의 음악이 스코틀랜드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정도로 지역 간의 차이가 큰 것이 특징 ○ 페스티벌 인기 상승 - ‌단독 콘서트의 계속된 티켓 가격 상승에 따라, 상대적으로 한 번에 많은 라인업을 볼 수 있는 페스티벌에 대 한 수요 증가 * ‌영국의 대표 페스티벌인 ‘Leeds Festival’과 스코틀랜드의 ‘T in the Park’의 경우 페스티벌 기간 동안 1일에 약 5∼10만 명의 관 객이 참여했고, ‘Glastonbury Festival’(영국 최대규모)의 경우 1일 약 10∼14만 명의 관객이 참여하는 것으로 집계 - 약 650만 명의 관광객이 2013년 영국의 페스티벌 및 공연 참관을 위해 약 220,000만 파운드 소비 08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9. * ‌2013년 한 해 콘서트 참가자들은 평균 602파운드를 소비하고 페스티벌은 평균 910파운드를 소비한 것으로 집계되며, 일반 관광객의 1인당 지출 600파운드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페스티벌의 위기와 대응 - ‌영국 페스티벌 시장은 지난 몇 년간 유사한 라인업으로 구성된 페스티벌 기획으로 차별성이 부족하여 음악 소비자들의 불만족을 가져왔고, 또한 이러한 페스티벌의 과잉 공급으로 인한 시장의 포화를 낳음 * ‌최근 몇 년 동안 지속된 경제 침체 위기와 대안 이벤트(ex. 2012년 런던 올림픽) 등으로 페스티벌의 수요 감소 - 결과적으로, 2012년 대형 페스티벌인 Sonicsphere UK을 포함한 많은 페스티벌이 취소됨 * ‌The Big Chill, GoGo Festival, LadyRock Festival, Pride House, Trowbridge Festival, Kelvedon Free Music Festival, Harvest at Jimmy’s, Titanic Lockdown 등이 취소 - ‌2012 런던 올림픽의 영향으로 무료 라이브 이벤트가 증가하여, 페스티벌 중심지인 영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 로 한 유료 콘서트 시장의 관객확보 난항 - ‌특히, 올림픽 여파 이외에 콘서트 시장의 포화, 아티스트 개런티의 상승 및 새로운 대형 헤드라이너 (Headliner, 주연)의 부재 등이 시장 침체 원인으로 지적 - ‌이에, 대형 페스티벌 브랜드들은 행사를 진행할 새로운 지역을 개발하여 성장을 모색하고 있으며, 틈새 페스 티벌이나 지역 부티크 페스티벌 등 관객과 가까이 호흡할 수 있는 형태의 페스티벌 등을 지속적으로 추구 Ⅲ.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영국의 음악 산업 관련 주요 플레이어 ○ 구조 - ‌영국 음악 산업의 구조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복잡한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나,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 업으로 구분 * 음반 산업의 핵심 활동으로 음반 상품(피지컬과 디지털) 유통과 저작권 관리 포함 - 음악 산업 구조를 이루는 각 플레이어들이 서로 얽혀 비즈니스 관계 형성 * ‌음악 출판사는 음반 판매와 라이브 공연에서 지불되는 로열티에서 가장 큰 수입을 얻고, 라이브 공연은 음반 판매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각 요소들이 상호 연결 ○ PRS for Music(The Performing Right Society for Music, 영국 음악 저작권 협회) - 음악 창작자와 음악 출판업자를 위해 공연과 방송 사용을 위한 실연권 관리 - 음반 복제권을 관리하는 MCPS(Mechanical-Copyright Protection Society)를 하부조직으로 설치 - 주요 업무는 회원들의 실연권(Performing Rights)7) 과 복제권(Mechanical Rights)8) 에 관한 로열티 징수 및 7) ‌실연권 (performing rights) : 음악 저작물을 상연 및 연주하는 것과 관련된 권리로 TV와 라디오에서와 같은 방송에서의 사용, 펍, 클럽, 호텔, 공연장 등에서의 공연,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 TV와 라디오에서의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해외 사용 등 포함 8) ‌복제권(mechanical rights) : 기계적으로 제작된 음악 저작물에 대한 저작자의 권리로 TV와 라디오에서 음악 저작물 사용, 오디오와 비디오 쥬크박 스 사용, 컴퓨터 게임, 영화와 비디오, 도서관에서의 사용, DVD 제작, 레코드 회사로부터 음악 상품 판매, 해외 사용 등 포함 09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0. 징수된 사용료의 분배 ○ 음악 출판업자(Music Publisher) - 저작자로부터 음악저작물 관리를 양도받아 곡을 관리하는 업무 담당 - ‌PRS for Music으로부터 징수되는 실연권(performing rights)과 복제권(mechanical rights)에 관련된 로열 티 이외에, 악보, 연극이나 오페라 등의 사용, 영화나 비디오 등의 음악 사용으로부터 수익 생성 ○ 창작자(송라이터, 작가 등) - 음악 창작 작업을 위해, 음악 산업 관련 다양한 단체와 관계를 맺고 회계사 및 변호사와 업무협력 진행 * ‌뮤지션 조합(Musician’s Union), PCAM(The Society for Producers and Composers of Applied Music, 실용음악 제작자·작곡가 협회), BASCA(the British Academy of Songwriters, Composers Authors, 영국 송라이터, 작곡가 및 작가 협회) 등과 협력 - 실연권, 복제권 등의 수익 외에 PRS Foundation(PRS for Music Foundation)의 지원금 획득 가능 ○ UK Music - ‌영국 음반 산업과 라이브 음악 산업의 공동 이익을 대변해주는 단체로, 다양한 음악 산업 관련 플레이어를 포함 * ‌MU(Musician’s Union), PRS for Music, BASCA, MPA(the Music Publishers Association, 음악출판협회), MMF(the Music Managers Forum, 음악매니저포럼), PPL(Phonographic Performance Limited, 레코드 공연 협회), BPI(British Recorded Music Industry), AIM(the Association of Independent Music, 독립음악협회) 등이 UK Music의 멤버 - ‌정치적 로비 활동 참여, 시장 트렌드 파악 및 다양한 리서치 수행을 통해, 음악 산업과 관련된 정책 수립 및 멤버들에게 이로운 새 법안 마련 등 추구 - ‌정부 차원에서 음악과 음악 저작권의 가치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추진 및 국가 경제 차원에 서의 음악 가치와 영국 창조 산업에서의 주요 역할에 대해 정치·경제 리더들을 대상으로 어필하는 역할 수행 * ‌전국 투어가 영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 Live Music Act 시행으로 전망되는 라이브 음악 시장의 효과, 음악 유산 투어리즘의 잠 재적 경제 효과 에 관한 리포트 등 발간 ○ PPL(Phonographic Performance Limited, 영국 녹음물 관련 징수기관) - 사운드 레코딩과 뮤직 비디오의 사용 허가 및 로열티 징수 담당 - ‌음악 콘텐츠의 해외 및 각종 온/오프라인 경로를 통한 사용에 대해 로열티를 징수하여 연주자와 레코드 회사 에게 사용료 분배 ○ 레코드 회사 - BPI 및 AIM 소속으로 도·소매업자와 편집 앨범, 해외 사용 등으로부터 수입을 얻어 연주자에게 분배 ○ 연주자 - ‌ISM(Incorporated Society of Musicians–연주자, 작곡자, 교사를 위한 단체) 소속으로 매니저, 에이전트, 회계사, 변호사, 콘서트 프로모터, 프로듀서와 비즈니스적으로 연결 10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1. □ 영국 음악 산업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표 3 주요 범주 구성 요소 창작자 (Content Creators) 뮤지션, 가수 작곡가, 송라이터, 작사가 음반 (Recorded Music) 레코드 레이블 음악 출판사 레코딩 스튜디오·스태프 온라인 음악 유통사업자 음반 디자인·제작 라이브 음악(Live Music) 음악 페스티벌 기획자 콘서트 프로모터 에이전시 프로덕션 티켓 에이전시 공연장 음악 출판 (Music Publishing) 음악 출판업 음악 단체 (Music Societies) 저작권 징수 단체 음악 매니저 음악 무역 단체 음악 프로듀싱 (Music Producing) 음악 프로듀서 레코딩 스튜디오와 스태프 * 출처: The UK Music (2013). 재구성 ○ 광의의 음악 산업 범주 및 요소 - 음악관련 제조·유통업, 음악 방송, 교육 및 각종 서비스업 등 * ‌음악 소매(디지털·오프라인 매장), 디지털 음악 서비스, 음악 방송, 뮤직 비디오 제작, 음악 장비와 음악 소프트웨어 제조업, 악 기 판매, 음악 잡지, 상품화 제작 및 판매·유통, 아티스트 변호사·회계사, 음악 교사, 경호, 케이터링(catering) 및 각종 라이브 공연과 관련된 서비스업 등 포함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분 및 역할표 4 구분 역할 음악 제작 작곡가, 송라이터 (song-writer), 뮤지션과 같은 음악 창작자의 작업 음악 출판사 (Music Publisher) 작곡자나 송라이터를 대신해 음반, 라이브 공연, 클럽이나 매장, 영화, 게임, 라디오, TV 등과 같은 곳에 음악사 용을 허락 해주는 역할 레코드 회사 (Record Label) •‌음반, 뮤직 비디오의 마케팅과 관련된 브랜드를 관리. 주로 생산, 제작, 유통, 마케팅, 프로모션과 음반과 뮤 직비디오의 저작권 관리 등을 담당. * ‌AR(artist repertoire)은 아티스트 스카우트를 담당하는데,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계약을 체결, 유지 하도록 하는 역할 수행 •‌음반사는 음반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때로는 음반 제작을 위해 아티스트에게 선급금을 지급하기도 하며 유 통, 마케팅과 프로모션 비용을 부담 * ‌아티스트는 음악 판매(CD 또는 디지털 음원)로부터 수익 일부를 받고, 복제권(mechanical rights)이라 불리 는 음반에 담긴 곡 사용으로 생기는 로열티와 다른 수입원(ex. 머천다이징 등)으로부터 수입 생성 •‌음악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다양한 채널을 가지고 있는데, CD와 같은 피지컬 포맷의 경우 기존의 유통 채널 인 음반 매장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유통되며, 라디오, TV, 영화, 라이브 공연, 비디오 플랫폼, 온라인 스토어, 음악 서비스 등을 통해서도 유통됨 * 출처 : Nicola Searle (2011). 재구성 11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2.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 변경 ○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 ‌뮤지션들의 전통적 수익원이던 라이브 공연의 수익이 음반 판매 수입으로 넘어가며, 음악 출판사(Music Publisher)와 레코드 회사에 의존해 수입을 얻고, 음악 출판사와 레코드 회사가 음악 산업의 주요한 게이트 키퍼(Gate Keeper)로서의 역할 수행 - ‌디지털 음악 상품의 등장으로 중간적 역할 없이 온라인을 통해 직접 음악 콘텐츠의 유통/판매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유통 방식과 창작기회 확대 * ‌음악 산업 디지털화에 따라 대형 음반사의 경험·노하우·네트워크 등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음악시장에서의 영향력은 유지 되나, 새로운 유통업자들의 등장으로 게이트 키퍼로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약화 및 유통시장 구조 재편9) ○ 저작권 단체의 역할 강화 -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회원들을 대신하여 저작권 징수 단체의 음반 사용 및 불법복제 등에 대한 저 작권 관리 기능 확대 - ‌저작권자를 대표하고 저작물 사용 허가를 담당하며, 저작권 요율 협상, 로열티 징수 및 분배에 대한 업무 등 영역 확대 ○ 공연 지원 플레이어의 역할 강화 - ‌라이브 공연 확대를 위해, 부킹 에이전트(Booking Agent)10) , 콘서트 프로모터(Concert Promoter)11) 및 공 연장 운영자의 플레이어로서 수행하는 역할 강화 영국 음악 산업 비즈니스 모델그림 3 * 출처: PRS for Music (2012C). 재구성 9) ‌기존 레코드 회사가 직접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음악 서비스 공급자와의 조인트 벤처 등을 통해 온라인 음악 사업을 시작하는 등 레코드 회 사와 인터넷/모바일 플랫폼 기반 음악 서비스 사업자와의 거래 증가 10) 공연자와 공연자의 공연을 조율 11) 공연의 마케팅, 티켓 판매 및 지역 공연장 운영자와의 조율 담당 12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3. Ⅳ. 영국 음악 주요 정책 현안 □ 라이브 음악 정책 ○ 라이브 공연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화 - 2011년 UK Music이 구성되며 라이브 음악 시장 조직 통합 시도 - 영국 음악 산업의 성숙화 단계에 대한 인식 상승 및 라이브 음악 산업의 중요성 인식 * ‌영국 정부의 라이브 음악 산업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2013년 음악 투어리즘이 영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리포트 발표 ○ 티켓 재판매(Ticket Resale) 규제 정책 - ‌새로운 온라인 경제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한 비즈니스 모델인 2차 티켓 판매(Secondary Ticketing)12) 에 관 한 논쟁 확대 - ‌실제, 2011∼12년 사이 영국 내 2백만 명 이상이 온라인 티켓 판매 사기로 864,000만 파운드 규모의 피해 발생 - ‌이러한 2차 티켓 판매 옹호하는 측에서는 2차 티켓 판매는 자유 시장 경제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며, 오히려 안전한 2차 티켓 구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온라인 티켓 사기나 안전하지 않는 암표 구매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충성스러운 음악팬들을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 * ‌하지만, 2차 티켓 판매는 아무런 투자 없이 단순히 올라가는 티켓 가격으로부터 수익을 얻는다는 점에서 잘못이라는 지적을 당하고 있음. 특히, 유명한 공연의 경우 1차 티켓 시장에서 초기 티켓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의도적으로 희소가치를 높여 2차 티켓 판매를 조장하여 수익을 올리는 관행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 - 즉각적인 정부의 간섭은 실행 가능성이 낮으나, 정책 규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 - ‌2차 판매 부분을 컨트롤하고 판매 사기를 근절할 수 있는 정부의 규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산업계와 정책 담당자들로부터 지속 제기 -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 티켓 재판매에 대한 규제 법안이 17분 만에 통과되어 시행되었던 사례가 있어 라 이브 음악 산업도 불법 판매 근절을 위한 강력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 ○ 라이브 공연법 2012(Live Music Act 2012) - ‌모든 공연에 정부허가를 받아야하던 기존 법률을 수정·보완한 라이브 공연법 201213) 제정으로 다양한 공 연 추진 - 음악 업계에서는 다양한 분야와 커뮤니티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이 법안 시행에 기대감을 나타냄 - ‌영국은 일반적으로 작은 공연장에서 커리어를 꾸준히 쌓아온 뮤지션들이 글로벌 차원에서 성공을 거두며 미 래 뮤직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가 될 수 있는 기반을 쌓는데, 이러한 작은 규모의 공연장들에게 자유로이 라 이브 공연을 열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은 결국 영국 음악 시장을 성장시킬 수 기회가 될 것으로 인식 12) ‌일반적인 티켓 판매처인 1차 티켓 시장(primary ticketing)이 아닌 매진된 공연의 티켓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Viagogo와 Seatwave와 같은 사 이트가 대표적 13) ‌2012년 10월부터 Live Music Act 2012 시행으로 영국과 웨일즈에서 200석 규모 이하의 소규모 공연장과 펍에서 8시에서 11시까지 앰프를 사용 한 라이브 공연에 대해, 지역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게 됨. 또한 앰프를 사용하지 않는 라이브 공연은 관객 수의 제한 없이 공연이 가능 13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4. - ‌또한, 영국 음악 시장 신(scene)14) 에서 영국 아티스트들에게 보다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며 라이브 공연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가져와 지역 사회 경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 - 영국의 라이브 음악 산업은 작은 펍에서의 공연과 잘 알려지지 않은 밴드의 음악을 듣는 사람들로부터 시작 - ‌라이브 공연법 2012은 영국 음악 시장 성장의 가장 중요한 기초인 풀뿌리 음악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산업 계와 정책적 측면의 시각에서 거시적으로 영국 음악 경제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법안 - 현재 관객 제한을 늘리도록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 중(기존 2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 □ 디지털 음악 정책 ○ 불법 음악 근절을 위한 노력 - ‌영국은 매달 약 7백만 명이 불법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불법 음악 유통 수 준이 높은 나라로 분류되며, 신규 온라인 음악 서비스들은 불법 사이트로 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상황 - 정부의 보다 강력한 입장과 개입 필요 •‌AudienceNet15) 조사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의 60%가 정부는 기업들이 불법 음악 유통 사이트에 광고하는 것을 막아야 하며, 불법 다운로드를 금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하여 창작 부문에 일자리를 더 보장해야한다는 의견 제시 •‌또한 61%의 응답자는 정부가 불법 다운로드와 관련된 법률에 대해 일반인들에게 교육을 보다 강화해야 한 다고 응답 - BPI는 광고업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저작권 침해 사이트에서의 홍보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권유 * 광고 산업의 Digital Trading Standards Group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진행 - ‌또한 BPI와 IFPI(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국제 음반 산업 협회)는 이미 런던 경찰과 NFIB(National Fraud Intelligence Bureau, 국가 사기정보국)와 함께 주요 신용카드 회사들 에게 불법 사이트에서의 결제진행 금지 방침 ○ 디지털 경제법 2010 (Digital Economy Act, DEA 2010)16) - ‌음반 부문에만 연간 약 20,000만 파운드의 수익 손실을 입고 있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를 줄이기 위한 목적 으로 제정 •‌이러한 막대한 손실은 음반회사가 지속적으로 신인 투자를 하고 영국 음악 산업에서 중요한 고용과 수출을 창출 할 수 있는 글로벌 차원에서의 성공 유지를 어렵게 만든다는 판단 반영 - ‌특히,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ISP)가 콘텐츠 불법 이용 등 저작권 침해 행위시 행할 수 있는 저작권 침해 공지 시스템 및 기술적 제재 기준 수립 •‌합법적 디지털 서비스 활성화와 소비자 교육도 저작권 보호에 중요한 요소이지만, 강력한 법적 저작권 강화 규정이 수반되지 않고서는 불법 다운로드 수준을 크게 낮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온 14) 영국 음악 산업의 특징은 뮤지션들이 작은 규모의 클럽이나 바에서 공연을 하며 음악 커리어를 쌓는 전통이 강함 15) 예슬 기술을 소비자의 시각에서 접근하며 분석하는 연구 조사 전문기관 16) ‌영국의 Digital Economy Act(디지털 경제법)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로 인해 영국의 창조산업이 입고 있는 막대한 피해를 줄이고 디지털과 기술 환 경의 변화로 인한 창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법률로 2010년 4월 법률로서 공포 14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5. 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해 단계적 대응(graduated response) 제안 •‌하지만, 더욱이 단계적 대응으로서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경고 서한 발송은 ISP에 의한 장기간 법적 분쟁과 불법복제 대응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재정 조달의 문제로 2015년까지 지연 - 하지만, DEA 2010은 초기부터 개인 사생활 침해와 자유 침해가 주요 이슈가 되어 반대 논란 직면 •‌계정 제한은 인터넷상에서의 자유 제한이며, 온라인 침해에 속하지 않은 사용자들조차도 부당하게 희생될 수 있다는 의견 - ‌최근 창조산업 협의회(Creative Industry Council)와 ISP는 DEA에 대해 증거가 불충분하며, 디지털 경제 법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 - ‌하지만, 온라인 저작권 침해는 창작자의 산물에 대한 지불과 창조적 투자에 대한 보상을 거부하는 것이기에, 음악 산업 이해관계자들은 지속가능한 인터넷 콘텐츠 생태계 형성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15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6. Ⅴ. 시사점 및 제언 ○ 새로운 시장 환경 변화가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창조 산업이 영국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그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최근 디지털화된 음악 산업 비즈니스 환경에 적절히 대응해나갈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전략들이 업데이트 되는 중 - ‌한국의 음악 산업도 문화·경제적 차원에서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책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 특히 디지털화된 환경은 음악 산업의 영역을 재구성하고 있기에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시 장 환경 변화의 현실이 정책에 반영되는 전략적 접근 필요 ○ 라이브 산업 육성·강화 방안 필요 - ‌영국의 풀뿌리 라이브 음악 시장의 생존을 위한 정책적 지원처럼, 아티스트 개발 및 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 이 더욱 절실 - ‌라이브 공연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 축소를 통해 장기적으로 창작자와 뮤지션들이 창조 경제에 공헌 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뮤지션들이 라이브 공연 기획을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고, 대중에게도 다양한 예술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따라서 한국에서도 라이브 음악 시장 육성을 위한 좀 더 세분화된, 작은 단위의 지원이 국내 음악 산업 발전 의 중요한 접근이 될 것. 성장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한국 라이브 음악 시장 육성을 위해, 국가를 대표하는 대규모의 라이브 콘서트 이외 소규모 스타트업 사업체 등에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라이브 시장에서 경 쟁력을 높여주는 방안 모색 필요 ○ 음악 산업의 대표자 역할 및 리서치 강화 - ‌UK Music 등의 음악 산업 단체의 노력처럼, 음악 산업계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합적 조직의 효율적 운영 과 음악 산업과 관련된 정책적 활동 참여 필요. * ‌시장 성장과 디지털 혁신은 다이내믹하게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전후 십 년 간 음악 산업의 변화 및 발생할 기술 혁신을 고려 해볼 때 더욱 급속하게 일어날 것이기에, 음악 산업은 좀 더 유동적으로 기술과 시장 변화에 대처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높 아지며,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지에 성공여부가 달림 - ‌또한 음악 산업의 트렌드 및 향후 잠재적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할 수 있는 리서치 데이터가 부족한 한국 음 악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기본적인 산업 데이터를 알 수 있는 통합적 데이터 발간 및 타 산업과 연계된 리서 치 등 필요 * ‌라이브 음악시장과 음악 페스티벌의 성장에도 국내 페스티벌에 관한 연구 조사가 미흡하여 이러한 리서치에 대한 관심 및 투 자가 더욱 필요 16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
  • 17. 참고문헌 •‌ Adam Liversage(2012). Digital revenues overtake physical in UK recorded music market. BPI. •Andra Leurdijk, et al.(2012). Statistical, Ecosystems and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Media and Content Industries. European Commission. •Bart Cammaerts, Robin Mansell, Bingchum Meng(2013). Copyright Creation: A case for promoting Inclusive Online Sharing.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BPI(2013). Digital Music Nation. https://www.bpi.co.uk. •Greg Parmley(July 2011). Talent’s Got Britain. IQ Magazine. •IFPI(2011).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2011. https://www.ifpi.org. •Lynne McDowell(2014). Vinyl revival continues as LP sales reach highest level in more than a decade. http://www.bpi.co.uk. •Nicola Searle(2011). Changing Business Models in the Creative Industries: The cases of Television, Computer Games and Music. The UK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RS for Music(2012 a). 2011 Financial review. https://www.prsformusic.com. •PRS for music(2012 b). Adding up the UK music industry 2011. https://www.prsformusic.com. •PRS for Music(2012 c). The Music Universe. https://www.prsformusic.com. •Stuart Dredge(2013). Daft Punk and David Bowie have helped UK vinyl sales double in 2013. The Guardian. http://www.theguardian.com. •Tim Ingham(19th February 2014). UK record industry income retyrns to growth in 2013. Music Week. http://www.musicweek.com. •UK Music(May, 2014 a). Copyright and Intellectual Property. http://www.ukmusic.org. •UK Music(May, 2014 b). Live Music Act. http://www.ukmusic.org. •UK Music(2013 a). Music Tourism’s Contribution to the UK Economy. https://www.ukmusic.org. •UK Music(2013 b).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core UK music industry. https://www.ukmusic. org. •UK Music Musician’s Union(2013). The Rocktober Report. https://www.ukmusic.org. •UK Praliament(October, 2012). Support for the creative economy. http://www.publications. parliament.uk. •Official Charts Company(http://www.officialcharts.com). 17 영국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정책 현황 분석 2014-03호(통권 8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