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e entreprise Scribd logo
1  sur  5
Télécharger pour lire hors ligne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이해
김진섭
2015년 10월 16일
요 약
불완전성 정리의 내용과 증명의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 1 절 서론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많은 책들이 시중에 출판되어 있다. 허나 대부분이 역사와 증명의 의미에 치중
되어 있고 실제 증명의 아이디어를 설명한 책은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외국 서적을 번역하면서 난해한
표현이 많이 나와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글에서는 불완전성 정리 증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크게
수학(mathematics)과 메타수학(meta-mathematics), 괴델수(G¨odel number), 메타수학의 수학화의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겠다. 본 글이 불완전성정리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제 2 절 수학(mathematics)과 메타수학(meta-mathematics)
보통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책들에서는 간략하게 증명의 개요만 언급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G : G는 증명불가능하다. (1)
만약 G가 거짓이라면 G는 증명가능하므로 참이된다. 이는 G가 거짓이라는 데 모순이다. 따라서 G는 참인데
G의 내용은 G가 증명불가능하다는 것이므로 결국 G는 참이지만 증명불가능한 명제라는 것이다. 이 설명을
보고 고개를 끄덕 인 후 증명이 끝난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제 내부에
명제 자신을 언급한 순환논리부분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고 사실 불완전성정리의 핵심부분도 이 부분이며
수학의 명제와 메타수학의 명제를 구분하는 것이 이해의 시작이 된다.
2.1 수학 명제와 메타수학 명제의 차이점
아주 간단한 수학 명제 하나를 살펴보자.
1 + 1 = 2 (2)
1
이 표현은 수학에 속한 표현이다. 이제 다음 명제를 살펴보면
“1 + 1 = 2”는 수학 명제이다. (3)
이 진술은 앞에 나온 수학명제에 대해 무엇인가를 주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수학이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
제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하게 x는 변수이다, “x = 1”은 방정식이다 들도 수학 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이다. 수학과 메타수학을 구별하는 것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 이 구별에 소홀한 것이 수
많은 역설이 만들어지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이제 다시 식 (1)을 살펴보면 “G는 증명불가능하다” 는 명제는
수학의 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가 되고 따라서 수학에서 쓰는 증명방법(귀류법)을 그대로 써서 대
충 주장하면 안되는 것이다. 괴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괴델수라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사하여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꾸었는데 괴델수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자.
제 3 절 괴델수(G¨odel number)
괴델수는 모든 기호, 변수, 명제, 명제묶음(증명)들에 유일한 숫자를 부여하는 것인데 몇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기호 괴델수 의미
∼ 1 아니다
∨ 2 또는
⊃ 3 · · · 라면 · · · 다
∃ 4 · · · 이 존재한다
= 5 같다
0 6 영(0)
s 7 바로 다음 수
( 8 왼쪽 괄호
) 9 오른쪽 괄호
, 10 쉼표
+ 11 더하기
× 12 곱하기
표 1: 상항기호
표 1의 기호들을 상항기호라고 하는데 이와 대응되는 개념은 변항(variable)기호인데 숫자 변항, 문장
변항, 술어 변항으로 나눌 수 있다. 숫자 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 문장 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의 제곱수,
술어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의 세제곱수를 부여하게 되며 예는 표 2와 같다.
이제 문장 (∃x)(x = sy) 를 살펴보자. 이것은 y 다음 수가 존재한다고 읽을 수 있으며 기본기호 하나하나
의 괴델수를 살펴보면 8, 4, 13, 9, 8, 13, 5, 7, 17, 9이며 문장 전체의 괴델수는 다음과 같이 소수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2
숫자변항 괴델수 대입 예
x 13 0
y 17 s0
z 19 y
문장변항 괴델수 대입 예
p 132
0 = 0
q 172
(∃ x)(x = sy):y의 다음 수 x가 존재한다.
r 192
p ⊃ q
술어변항 괴델수 대입 예
P 133
13은 소수이다.
Q 173
R 193
표 2: 변항기호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17
× 299
(4)
마찬가지로 증명에 대해서도 괴델수를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증명이 두 서술로 되어 있고 각 서술의
괴델수가 m과 n이라면 증명의 괴델수는 2m
× 3n
으로 표현한다. 이런식으로 모든 수학적 표현에 대해서
겹치지 않고 유일하게 괴델수를 부여할 수 있다. 한가지 예를 더 들면 괴델수 243,000,000은 26
×35
×56
으로
소인수분해 되며 지수부분인 6,5,6은 각각 0, =, 0에 대응되므로 결국 “0 = 0”이라는 수학명제를 나타내게
된다.
제 4 절 메타수학의 수학화
괴델은 괴델수를 이용하여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꾸는 데 성공하였는데 간단한 예를 들어보
겠다. “∼ (0 = 0)” 는 “0은 0이 아니다” 라는 단순한 수학 명제인 반면 “수학 명제 “∼ (0 = 0)”의 첫 번째
기호는 틸드(∼)이다.”는 수학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이다. 그런데 이 메타수학의 명제는 적당한 과정
을 거치면 수학명제로 바뀌게 되는데, 편의상 “∼ (0 = 0)”의 괴델수를 a라고 하고 표 1에서 “∼”의 괴델수가
1임을 기억하자. 그렇다면 첫 번째 기호가 “∼”이라는 것은 곧 a를 소인수분해했을 때 제일 작은 소수인 2
의 지수가 1임을 의미하게 되고 메타수학의 명제는 “2는 a의 인수이지만 22
은 a의 인수가 아니다.”와 같이
수학명제로 바뀌게 된다. 기호로 표현하기 위해 표현을 바꾸면 “y = z × 2인 z가 존재하고, y = z × 2 × 2인
z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 되며 실제로 이를 기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z)(sss · · · sss0 = z × ss0)· ∼ (∃z)(sss · · · sss0 = z × (ss0 × ss0)) (5)
3
(sss · · · sss0에서 s는 정확히 a번 나타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모든 메타수학의 명제를 괴델수를 이용하여 수학의 명제로 바꿀 수 있다.
제 5 절 불완전성 정리
이제 불완전성 정리를 천천히 이해해보자. “Dem”과 “Sub/sub”의 개념을 정의한 후 증명의 핵심 아이디
어로 들어가 보겠다.
5.1 Dem
“Dem”은 증명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Dem(x, z)”은 괴델수 x를 가진 문장묶음이 괴델수 z
를 가진 명제의 증명이다.”의 축약표현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의 괴델수가 m이고
피타고라스 정리의 괴델수가 n이라면 Dem(m, n)이라고 쓸 수 있는 것이다.
5.2 Sub/sub
Sub은 치환 혹은 대입을 의미하며 소문자로 표현한 “sub(x,17,x)”는 “괴델수 x를 가진 명제”에 등장하는
변수 y들에 전부 “숫자 x”를 대입해서 만들어진 명제의 괴델수로 정의한다(17은 y의 괴델수임을 기억하자).
한 편, s를 대문자로 표시한 “Sub(x,17,x)”는 괴델수가 아닌 명제 그 자체로 정의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식 (4)의 예를 다시 살펴보겠다. (∃x)(x = sy)는 앞서 설명했듯이 y 다음 수가 존재한다고 읽을 수 있으며
괴델수를 k라 하면 k =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17
× 299
가 된다. 이제 y대신 k를
대입한다면 수정된 명제는 (∃x)(x = sss · · · sss0)이 되고(s는 k + 1번 연속됨) s의 괴델수가 7임을 고려하면
k를 대입한 명제의 괴델수는 y부분에 해당되는 2317
부터 s로 바뀌어 식 (6)와 같이 된다.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7
× 297
× 317
× 377
× · · · (Pk+10)9
(6)
(Pk+10: k + 10번 째 소수)
얼핏 보기에 명제의 괴델수를 명제 그 자체에 대입한다는 것이 순환논리같은 느낌을 주는데 이것이 바로
괴델의 핵심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이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증명의 내용으로 들어가기로 하자.
5.3 불완전성 정리
불완전성 정리의 증명은 “괴델수 z를 가진 명제는 증명불가능하다”라는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꾼 후, 이 명제의 특별한 경우가 증명될 수 없다는 것을 보이는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식 (7)의 명제를
살펴보자.
4
∼ (∃x)Dem(x, Sub(y, 17, y)) (7)
위 명제는 “Sub(y ,17, y)” 의 증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증명불가능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메타수학
의 명제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괴델수를 이용하면 수학의 명제로 바꿀 수 있으며 수학 명제는 괴델수를 갖게
된다. 해당되는 괴델수를 n이라 한 다음 이 명제의 y를 n으로 바꾼 명제 G를 살펴보자(식 8)
G :∼ (∃x)Dem(x, Sub(n, 17, n)) (8)
명제 G가 바로 우리가 찾는 명제인데 이것의 메타수학적 의미를 살펴보면 “괴델수 sub(n, 17, n)을 가진
명제는 증명할 수 없다”이다. 이 메타수학 명제와 대응되는 수학명제의 괴델수를 g라고 하고 g는 어떤 숫자
일지 생각해보자. 놀랍게도 g = sub(n, 17,n)임을 알 수 있다. G는 괴델수 n을 가진 명제에서 y에 숫자 n
을 대입하여 만든 명제이므로, 이것의 괴델수 g는 정확히 sub(n, 17, n)의 정의와 일치하게 된다. 이제 G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괴델 수 g를 가진 명제는 증명불가능하다.”이고 즉, G는 증명불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제 맨 처음의 식 (1)으로 돌아가면 G에 대응되는 수학명제는 참이지만 증명불가능한 명제가 되어
불완전성의 정리가 증명된다.
제 6 절 마치며
필자는 고등학생때부터 괴델의 불완전성정리를 이해해보려고 괴델의 논문원본도 찾아보고 여러 교양서적을
많이 읽어보았었다. 그러나 논문을 다 보는것은 이해하기가 어렵고 교양서적은 겉핥기식으로만 나와있어서
최근까지도 증명의 핵심을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출판사 승산에서 나온 “괴델의 증명”을 읽으면서 한층 이
해수준을 올릴 수 있었다. 이 책은 외국서적을 번역한 것으로 번역하면서 생소한 단어와 표현들이 많이나와
읽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이번기회에 잘 풀어서 설명해볼 목적으로 글을 쓰게 되었다. 본 글이 논문과
교양서적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여 불완전성 정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5

Contenu connexe

Plus de Jinseob Kim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Jinseob Kim
 
Fst, selection index
Fst, selection indexFst, selection index
Fst, selection indexJinseob Kim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Jinseob Kim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Jinseob Kim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Jinseob Kim
 
Regression Basic : MLE
Regression  Basic : MLERegression  Basic : MLE
Regression Basic : MLEJinseob Kim
 
iHS calculation in R
iHS calculation in RiHS calculation in R
iHS calculation in RJinseob Kim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Jinseob Kim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Jinseob Kim
 
Case-crossover study
Case-crossover studyCase-crossover study
Case-crossover studyJinseob Kim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Jinseob Kim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Deep Learning by JSKIM (Korean)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Jinseob Kim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Machine Learning Introduction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Jinseob Kim
 
Deep learning by JSKIM
Deep learning by JSKIMDeep learning by JSKIM
Deep learning by JSKIMJinseob Kim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Jinseob Kim
 
GEE & GLMM in GWAS
GEE & GLMM in GWASGEE & GLMM in GWAS
GEE & GLMM in GWASJinseob Kim
 

Plus de Jinseob Kim (20)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
Unsupervised Deep Learning Applied to Breast Density Segmentation and Mammogr...
 
Fst, selection index
Fst, selection indexFst, selection index
Fst, selection index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
Why Does Deep and Cheap Learning Work So Well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
New Epidemiologic Measures in Multilevel Study: Median Risk Ratio, Median Haz...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
Win Above Replacement in Sabermetrics
 
Regression Basic : MLE
Regression  Basic : MLERegression  Basic : MLE
Regression Basic : MLE
 
iHS calculation in R
iHS calculation in RiHS calculation in R
iHS calculation in R
 
Fst in R
Fst in R Fst in R
Fst in R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
Selection index population_genetics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
질병부담계산: Dismod mr gbd2010
 
DALY & QALY
DALY & QALYDALY & QALY
DALY & QALY
 
Case-crossover study
Case-crossover studyCase-crossover study
Case-crossover study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Generalized Additive Model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Deep Learning by JSKIM (Korean)
Deep Learning by JSKIM (Korean)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Machine Learning Introduction
Machine Learning Introduction
 
Tree advanced
Tree advancedTree advanced
Tree advanced
 
Deep learning by JSKIM
Deep learning by JSKIMDeep learning by JSKIM
Deep learning by JSKIM
 
Main result
Main result Main result
Main result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Multilevel study
 
GEE & GLMM in GWAS
GEE & GLMM in GWASGEE & GLMM in GWAS
GEE & GLMM in GWAS
 

괴델(Godel)의 불완전성 정리 증명의 이해.

  • 1.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이해 김진섭 2015년 10월 16일 요 약 불완전성 정리의 내용과 증명의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 1 절 서론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많은 책들이 시중에 출판되어 있다. 허나 대부분이 역사와 증명의 의미에 치중 되어 있고 실제 증명의 아이디어를 설명한 책은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외국 서적을 번역하면서 난해한 표현이 많이 나와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글에서는 불완전성 정리 증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크게 수학(mathematics)과 메타수학(meta-mathematics), 괴델수(G¨odel number), 메타수학의 수학화의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겠다. 본 글이 불완전성정리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제 2 절 수학(mathematics)과 메타수학(meta-mathematics) 보통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책들에서는 간략하게 증명의 개요만 언급하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G : G는 증명불가능하다. (1) 만약 G가 거짓이라면 G는 증명가능하므로 참이된다. 이는 G가 거짓이라는 데 모순이다. 따라서 G는 참인데 G의 내용은 G가 증명불가능하다는 것이므로 결국 G는 참이지만 증명불가능한 명제라는 것이다. 이 설명을 보고 고개를 끄덕 인 후 증명이 끝난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제 내부에 명제 자신을 언급한 순환논리부분을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고 사실 불완전성정리의 핵심부분도 이 부분이며 수학의 명제와 메타수학의 명제를 구분하는 것이 이해의 시작이 된다. 2.1 수학 명제와 메타수학 명제의 차이점 아주 간단한 수학 명제 하나를 살펴보자. 1 + 1 = 2 (2) 1
  • 2. 이 표현은 수학에 속한 표현이다. 이제 다음 명제를 살펴보면 “1 + 1 = 2”는 수학 명제이다. (3) 이 진술은 앞에 나온 수학명제에 대해 무엇인가를 주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수학이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 제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하게 x는 변수이다, “x = 1”은 방정식이다 들도 수학 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이다. 수학과 메타수학을 구별하는 것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 이 구별에 소홀한 것이 수 많은 역설이 만들어지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이제 다시 식 (1)을 살펴보면 “G는 증명불가능하다” 는 명제는 수학의 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가 되고 따라서 수학에서 쓰는 증명방법(귀류법)을 그대로 써서 대 충 주장하면 안되는 것이다. 괴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괴델수라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사하여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꾸었는데 괴델수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자. 제 3 절 괴델수(G¨odel number) 괴델수는 모든 기호, 변수, 명제, 명제묶음(증명)들에 유일한 숫자를 부여하는 것인데 몇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기호 괴델수 의미 ∼ 1 아니다 ∨ 2 또는 ⊃ 3 · · · 라면 · · · 다 ∃ 4 · · · 이 존재한다 = 5 같다 0 6 영(0) s 7 바로 다음 수 ( 8 왼쪽 괄호 ) 9 오른쪽 괄호 , 10 쉼표 + 11 더하기 × 12 곱하기 표 1: 상항기호 표 1의 기호들을 상항기호라고 하는데 이와 대응되는 개념은 변항(variable)기호인데 숫자 변항, 문장 변항, 술어 변항으로 나눌 수 있다. 숫자 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 문장 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의 제곱수, 술어변항에는 12보다 큰 소수의 세제곱수를 부여하게 되며 예는 표 2와 같다. 이제 문장 (∃x)(x = sy) 를 살펴보자. 이것은 y 다음 수가 존재한다고 읽을 수 있으며 기본기호 하나하나 의 괴델수를 살펴보면 8, 4, 13, 9, 8, 13, 5, 7, 17, 9이며 문장 전체의 괴델수는 다음과 같이 소수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2
  • 3. 숫자변항 괴델수 대입 예 x 13 0 y 17 s0 z 19 y 문장변항 괴델수 대입 예 p 132 0 = 0 q 172 (∃ x)(x = sy):y의 다음 수 x가 존재한다. r 192 p ⊃ q 술어변항 괴델수 대입 예 P 133 13은 소수이다. Q 173 R 193 표 2: 변항기호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17 × 299 (4) 마찬가지로 증명에 대해서도 괴델수를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증명이 두 서술로 되어 있고 각 서술의 괴델수가 m과 n이라면 증명의 괴델수는 2m × 3n 으로 표현한다. 이런식으로 모든 수학적 표현에 대해서 겹치지 않고 유일하게 괴델수를 부여할 수 있다. 한가지 예를 더 들면 괴델수 243,000,000은 26 ×35 ×56 으로 소인수분해 되며 지수부분인 6,5,6은 각각 0, =, 0에 대응되므로 결국 “0 = 0”이라는 수학명제를 나타내게 된다. 제 4 절 메타수학의 수학화 괴델은 괴델수를 이용하여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꾸는 데 성공하였는데 간단한 예를 들어보 겠다. “∼ (0 = 0)” 는 “0은 0이 아니다” 라는 단순한 수학 명제인 반면 “수학 명제 “∼ (0 = 0)”의 첫 번째 기호는 틸드(∼)이다.”는 수학명제가 아니라 메타수학의 명제이다. 그런데 이 메타수학의 명제는 적당한 과정 을 거치면 수학명제로 바뀌게 되는데, 편의상 “∼ (0 = 0)”의 괴델수를 a라고 하고 표 1에서 “∼”의 괴델수가 1임을 기억하자. 그렇다면 첫 번째 기호가 “∼”이라는 것은 곧 a를 소인수분해했을 때 제일 작은 소수인 2 의 지수가 1임을 의미하게 되고 메타수학의 명제는 “2는 a의 인수이지만 22 은 a의 인수가 아니다.”와 같이 수학명제로 바뀌게 된다. 기호로 표현하기 위해 표현을 바꾸면 “y = z × 2인 z가 존재하고, y = z × 2 × 2인 z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 되며 실제로 이를 기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z)(sss · · · sss0 = z × ss0)· ∼ (∃z)(sss · · · sss0 = z × (ss0 × ss0)) (5) 3
  • 4. (sss · · · sss0에서 s는 정확히 a번 나타난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모든 메타수학의 명제를 괴델수를 이용하여 수학의 명제로 바꿀 수 있다. 제 5 절 불완전성 정리 이제 불완전성 정리를 천천히 이해해보자. “Dem”과 “Sub/sub”의 개념을 정의한 후 증명의 핵심 아이디 어로 들어가 보겠다. 5.1 Dem “Dem”은 증명을 뜻하는 demonstration의 약자로 “Dem(x, z)”은 괴델수 x를 가진 문장묶음이 괴델수 z 를 가진 명제의 증명이다.”의 축약표현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의 괴델수가 m이고 피타고라스 정리의 괴델수가 n이라면 Dem(m, n)이라고 쓸 수 있는 것이다. 5.2 Sub/sub Sub은 치환 혹은 대입을 의미하며 소문자로 표현한 “sub(x,17,x)”는 “괴델수 x를 가진 명제”에 등장하는 변수 y들에 전부 “숫자 x”를 대입해서 만들어진 명제의 괴델수로 정의한다(17은 y의 괴델수임을 기억하자). 한 편, s를 대문자로 표시한 “Sub(x,17,x)”는 괴델수가 아닌 명제 그 자체로 정의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식 (4)의 예를 다시 살펴보겠다. (∃x)(x = sy)는 앞서 설명했듯이 y 다음 수가 존재한다고 읽을 수 있으며 괴델수를 k라 하면 k =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17 × 299 가 된다. 이제 y대신 k를 대입한다면 수정된 명제는 (∃x)(x = sss · · · sss0)이 되고(s는 k + 1번 연속됨) s의 괴델수가 7임을 고려하면 k를 대입한 명제의 괴델수는 y부분에 해당되는 2317 부터 s로 바뀌어 식 (6)와 같이 된다. 28 × 34 × 513 × 79 × 118 × 1313 × 175 × 197 × 237 × 297 × 317 × 377 × · · · (Pk+10)9 (6) (Pk+10: k + 10번 째 소수) 얼핏 보기에 명제의 괴델수를 명제 그 자체에 대입한다는 것이 순환논리같은 느낌을 주는데 이것이 바로 괴델의 핵심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이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증명의 내용으로 들어가기로 하자. 5.3 불완전성 정리 불완전성 정리의 증명은 “괴델수 z를 가진 명제는 증명불가능하다”라는 메타수학의 명제를 수학의 명제로 바꾼 후, 이 명제의 특별한 경우가 증명될 수 없다는 것을 보이는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식 (7)의 명제를 살펴보자. 4
  • 5. ∼ (∃x)Dem(x, Sub(y, 17, y)) (7) 위 명제는 “Sub(y ,17, y)” 의 증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증명불가능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메타수학 의 명제이며 앞서 설명했듯이 괴델수를 이용하면 수학의 명제로 바꿀 수 있으며 수학 명제는 괴델수를 갖게 된다. 해당되는 괴델수를 n이라 한 다음 이 명제의 y를 n으로 바꾼 명제 G를 살펴보자(식 8) G :∼ (∃x)Dem(x, Sub(n, 17, n)) (8) 명제 G가 바로 우리가 찾는 명제인데 이것의 메타수학적 의미를 살펴보면 “괴델수 sub(n, 17, n)을 가진 명제는 증명할 수 없다”이다. 이 메타수학 명제와 대응되는 수학명제의 괴델수를 g라고 하고 g는 어떤 숫자 일지 생각해보자. 놀랍게도 g = sub(n, 17,n)임을 알 수 있다. G는 괴델수 n을 가진 명제에서 y에 숫자 n 을 대입하여 만든 명제이므로, 이것의 괴델수 g는 정확히 sub(n, 17, n)의 정의와 일치하게 된다. 이제 G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괴델 수 g를 가진 명제는 증명불가능하다.”이고 즉, G는 증명불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제 맨 처음의 식 (1)으로 돌아가면 G에 대응되는 수학명제는 참이지만 증명불가능한 명제가 되어 불완전성의 정리가 증명된다. 제 6 절 마치며 필자는 고등학생때부터 괴델의 불완전성정리를 이해해보려고 괴델의 논문원본도 찾아보고 여러 교양서적을 많이 읽어보았었다. 그러나 논문을 다 보는것은 이해하기가 어렵고 교양서적은 겉핥기식으로만 나와있어서 최근까지도 증명의 핵심을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출판사 승산에서 나온 “괴델의 증명”을 읽으면서 한층 이 해수준을 올릴 수 있었다. 이 책은 외국서적을 번역한 것으로 번역하면서 생소한 단어와 표현들이 많이나와 읽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이번기회에 잘 풀어서 설명해볼 목적으로 글을 쓰게 되었다. 본 글이 논문과 교양서적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여 불완전성 정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5